메뉴보기 search

국제워크숍

지난 주말 한겨레 신문 북섹션에 실린 정희진샘의 서평을 공유합니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84392.html)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저들

등록 :2015-03-27 19:44수정 :2015-03-27 21:25

[토요판] 정희진의 어떤 메모


<유착(流着)의 사상>
도미야마 이치로 지음, 심정명 옮김, 글항아리, 2015
어려운 글은 없다, 익숙하지 않은 사유가 있을 뿐이라는 내 주장이 맞다면, 주디스 버틀러와 도미야마 이치로(富山一廊)가 대표적인 필자일 것이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숨 막히는 구체성과 당파성. 특히 도미야마의 문장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문장과 문장 사이가 운동한다. 그의 몸은 유(流)와 착(着)을 반복하면서 나아간다.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다. 말이 바로 실천이 되는 현장이 거기 있다.

그의 <전장의 기억>, <폭력의 예감>에 이은 3부작 <유착(流着)의 사상>이 출간되었다. 이 책 역시 구체성이 주는 밀도가 압권이다. 식민지 사람으로서 ‘나’의 의미를 고찰하는 3장은 루쉰으로 시작한다.(116쪽) 루쉰은 1926년 3·18 사건이 있던 날 “먹으로 쓴 허언(虛言)은 피로 쓴 사실을 감출 수 없다”, “피로 진 빚(血債)은 반드시 피로 갚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2년 뒤 “글은 결국 먹으로 쓰는 것이다. 피로 쓴 것은 혈흔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그것은 글보다 더 감동적이며 더 직접적이긴 하지만 색이 변하기 쉬우며 사라지기 쉽다”고 했다. “피”와 “먹”은 비유가 아니다. 글자 그대로다. 현실은 말로 구성된다. 실체를 실체로 만드는 것도 언어다.

나는 누구인가. 모든 사람이 이 질문을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물음은 내 경험과 사회의 시선이 일치하지 않을 때, 타인이 멋대로 나를 규정할 때 솟아난다. 나는 누구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은 “넌 누구냐?”라는 심문(審問)에 대한 일차적 반응이다. 식민자는 피식민자가 나는 누구인가를 스스로 상기하게끔 끊임없이 몰아붙인다.(124쪽) 이 질문은 면벽수도의 자기 탐구처럼 보이지만 실은 전면적인 폭력의 시작이다. 누구나 삶의 특정 시기에 이 물음이 요구되는 순간이 있다. 어떤 이들은 평생 이 질문과 씨름해야 한다. 다시 강조한다. ‘나는 누구인가’는 ‘넌 누구냐’이고, 그것은 ‘(나는 인간인데) 너는 뭐냐?’는 폭력이다.

저자가 일관되게 문제 삼는 것은 이러한 상황이 피억압자의 삶을 내내 뒤덮고 있는 신문(訊問)의 정치라는 사실이다. ‘여성’, ‘아줌마’, ‘성골(聖骨)과 진골(眞骨)’이 아닌 사람, 식민지 사람은 이중 메시지 상황에서 늘 자기를 설명하라는 요구에 시달린다. 이 지점이 중요하다. 도미야마의 질문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가 아니다. 그는 억압받는 사람이 취하게 되는 방어 태세에서 ‘새로운 인간’의 가능성을 찾으려고 한다.

고향은 계속 움직이는 자아의 다른 이름. 유착(流着)은 두 지역 사이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두 지역이라는 전제는 없다. 어디로 가느냐가 아니라 흘러간다는 출향(出鄕)이 중요하다. 출향의 끝에는 돌아올 수 없는 고향이 부상한다. 고향은 이탈 속에서 등장하고 상상 속의 미래 안에서 다시 한번 등장한다.(88~95쪽)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강요하는 저들에게 어떻게 맞설 것인가. 어떤 방어 태세를 취하면서 무엇을 확보해 나갈 것인가. 가장 흔한 답, 가장 쉬운 답, 그러나 불가능한 현실은 진정한 자아 찾기(나를 잘 설명하기)다. 이는 ‘우리’를 기존의 사고에 묶어둠으로써 현실을 고착시키려는 식민자의 논리에 부응하여 “저들의 계통”을 강화시킨다. 상대가 이미 나를 정의하는 권력을 갖고 있는, 속수(束手)의 상태에서 무슨 말을 하랴.

140749560651_20140809.JPG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다시 루쉰으로 돌아가자. 그가 “피”와 “먹”을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은 무엇일까. 그는 몸을 믿었다. 실천을 믿었다. 먹은 변신이자 번신(飜身)한 몸이다. 피는 내가 아니다. 피가 고인 상태의 몸은 없다. 말하고 쓴다는 행위, “먹”이 곧 몸이다. 실천 과정에서 변화하는 몸이다. 먹의 가능성은 미래를,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현재로 만들 수 있다.(a transformative present, 29쪽) 도미야마는 유착이라는 주제를 통해 이러한 현재 개념에 모든 것을 건다.

유착은 히트 앤 런(hit and run)이 아닐까. 치고 빠지기. 탈주(脫走). 탈주(奪走)면 또 어떤가. 정주는 주둔이 아니다. 정주는 항상 흘러가서 닿은 결과고, 또다시 흘러갈 수도 있다는 예감이다.(90쪽)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공개강연]도미야마 이치로와 함께 하는 수유너머N 국제워크숍 개강기념2/23/월 file [69] hwa 2015-02-06 3507
공지 제9회 국제워크샵 "포스트식민주의와 연루의 정치학" 본세미나(2/23/월~2/27/금) file hwa 2015-02-06 3334
공지 세미나 발제`후기`간식 당번표 [7] hwa 2014-11-28 2875
공지 [제9회 수유너머N 국제워크샵] 도미야마 이치로, 포스트식민주의와 연루의 정치학 사전세미나 공지 file [64] 수유너머N 2014-11-03 5988
공지 생명문화연구소 찾아오시는 길입니다. 수유너머N 2013-08-17 8140
311 결석계 리를빅 2010-01-27 5649
310 수유너머N 제4회 국제워크숍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6] 몽사 2010-04-07 8130
309 [제4회 국제워크숍] 다니가와 간 대담!! file 관리자 2010-04-21 4652
308 [그린비 블로그에서] 일본 공작자의 네트워크-마을 만들기 (신지영) file 국제팀 2010-04-24 4432
307 [수유너머 위클리] 이주자들의 공동체 -왜구들의 '동아시아'를 위하여 (이진경) file [1] 국제팀 2010-04-28 4275
306 [제4회 국제워크숍 전체 일정] 도래할 혁명, 혹은 잃어버린 혁명을 찾아서 [1] 국제팀 2010-04-28 4771
305 국제워크샵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과 대답 dostresmuchos 2010-04-29 4415
304 국제 워크샾 신청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국제워크샾팀 2010-04-30 4333
303 신청자 여러분 주목: 첫 주 숙제 file 관리자 2010-04-30 4209
302 혁명 dostresmuchos 2010-05-06 4248
301 그리스 민주주의, 그들도 우리처럼 file [2] G2NE 2010-05-07 24853
300 국제워크숍 2주차 자료 토요일에 발송하였습니다! (꼭 수정된 파일로 읽어옵시다) [2] 국제팀 2010-05-09 4133
299 국제워크샵 첫모임 후기: 어느 관점에서.... file [1] 여섯일곱더많은 2010-05-12 3876
298 "흠집이 있는 기막힌 황혼" -사토 이즈미의 타니가와론 (2주차 발제문) file 유심 2010-05-14 4256
297 1주차 발제문 file 사비 2010-05-16 3882
296 미이케 및 다이쇼 단광에 대해...ㅠㅠ(약간 추가 및 수정) file [1] bayja 2010-05-16 5573
295 2차 느낌. [2] 어처구니 2010-05-17 3335
294 국제워크샵 2주차 후기 [2] 꼬꾸댁 2010-05-17 3329
293 국제워크숍, 이번 주는 쉽니다. 국제팀 2010-05-19 3792
292 3주차_무를 씹어부수는 융합으로+공작자의 시체에 싹트는 것_발제 file 박수진 2010-05-28 36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