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차_쪽글_맑스의 단락의 효과

조회 수 482 추천 수 0 2016.06.14 12:15:11

인사원_ 20161학기_ 이데올로기와 주체_ 정정훈선생님

 

맑스의 단락의 효과

12주차_쪽세이_20160613 _이미라

 

부르주아는 노동과정과 국가의 관계를 두 개의 현실로 분리시킨다. 노동과정과 국가는 “16~17세기의 이행국면의 개시 이래 비지 사고의 모든 운동이 이론적 담론을 통해서 뿐 아니라 특히 수직이등분선적인 물질적 제도들의 증설을 통해 서로 격리시키려 한 두 개의 현실이다.(대중들의 공포, 287, 이하 쪽수만 표시함)이었다.


노동과정과 국가는 각자 자신의 역사, 자신의 요원, 자신의 사회적 종국 목적을 지니고 있기에, ‘분리된 둘이 다시 매개되기 위해서는 이 필요했다. 노동과정과 국가라는 두 개의 현실 사이에 비지 이데는 매개의 전 체계를 형성했는데, 그 매개 속에서 법이라는 자원이, 특히 공과 사의 구분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287.15) 법에 따를 때, 노동과정은 사적활동이다. 역으로 국가는 공적 활동에 의해 조직된다. 국가의 실존이 체현하는 원리는 ““총체성, 중앙권력의, 공통의 법의 필연성을 표현하며 상이한 정치적양태들에 따라 조직된다.“(2881.)


발리는 또한 매개가 필요한 이유로서 소유를 제시한다. 소유제도라는 불가피한 존재로 인하여 노동과정과 국가라는 두 극 사이의 거리는 일련의 매개에 의해서가 아니면 뛰어넘을 수 없다. 이는 소유가 노동과정과 국가라는 두 현실 각각에 합체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합체는 하나가 다른 하나로 환원될 수 없는 전적으로 상이한 두 양태를 따라 이루어진다. 한편으로 소유는 인간의 욕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동을 지휘 한다”. 다른 한편 소유는 법적 재가를 받는데, 이때 소유는 개인의 실존을 지휘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주체로서의 개인들 혹은 시민이나 공민으로서의 개인들에게 속하는 권능이나 능력으로 나타난다.


지배 이데의 형태인 정치경제학은 노동과정과 국가의 분리를 실천적으로 조직해 주고 또한 분리에 과학적 기초를 부여해준다. 정치경제학는 생산영역에 소유와 노동의 등식을 부과하는 방식과 보충적 매개의 도입이라는 반식을 통해 분리를 정당화시킨다. 먼저, 생산영역에 소유와 노동의 등식을 부과하는 방식. ‘소유와 노동의 등식이란 생산적 노동이 소유 일반의 기원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노동이 소유의 기원이 된다는 사실은 소유자들의 이해관계와 논리에 따라 노동의 조직이 만들어지는 것을 정당화시켜준다. 다음, 보충적 매개의 도입을 통한 시장개념의 확대 방식. 소유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른 노동 조직의 정당화를 재정당화 시키기 위해 효용, 생산과 소비의 균형관계와 같은 보충적 매개들을 도입하고 그리하여 시장 개념을 확장하는 방식이 있다.


부르주아의 분리의 논리를 통해 우리는 그들이 계급이나 계급투쟁을 다루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비지경제학자들이 계급, 계급투쟁과 같은 의념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의도는 이 의념들을 분리된 두 측면들 중의 한 측면으로 격리시키는 데 있다. 노동과 경제는 통일하고, 정치는 분할한다는 식으로, 혹은 그 반대의 방식으로 말이다.

노동과정과 국가의 관계에 대한 엠의 연구 작업은 한마디로 말해 통일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맑스의 통일작업은 근원성은 노동과정 분석 바로 그 속에 적대라는 정치적 의념을 도입했다는 사실이다. ‘적대라는 의념을 노동과정의 역사적 경향을 설명하는 원리로 삼았다는 사실은 계급을 계급투쟁의 효과로서 사유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되어준다. 계급들의 실존과 동일성 그 자체는 계급투쟁의 경향적 효과이다

 

이러한 통일작업을 발리는 단락이라고 규정한다. 단락은 전기의 합선처럼, 정상적인 시스템이라면 결합할 수 없는 두 가지가 결합하여 이전과는 질적으로 전혀 다른 상황(불꽃?)을 발생시키는 것을 뜻한다. 발리가 부르주아지의 분리에 반대하여 노동과정과 정치를 통일시킨 엠의 작업을 단락이라고 규정한 이유는, 맑스의 통일작업이 우리로 하여금 사회적 표상의 자명성에 반대하여 사고하도록하기 때문이고, 사회유기체의 토대정상을 분리하는 제도적 거리를 특정한 방식으로 부정하도록 강제하기 때문이다.”(289)


한편 맑스의 단락은 종래의 토대-상부구조라는 토픽을 흔들어 놓는 테제이기도 하다. 이는 맑스의 단락테제의 도출근거로 제시되는 자본3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의 다음의 진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 따르면, 노동과정에서의 착취관계가 정치적 지배-종속관계를 결정하고, 이 지배-종속 관계는 생산으로부터 직접적[무매개적]으로 발생하지만 또한 생산에 규정적으로 반작용하게 된다. 생산관계 자체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 공동체의 전체구조와 동시에 그것의 종별적인 정치적 형태는 이 종별적인 경제적 형태에 토대를 둔다. 그리하여 사회구조와 정치/국가 형태는 언제나 직접적 생산자에 대한 생존 조건 소유자의 직접적 관계에 근원적 토대를 두고 있다. 착취관계로서의 노동관계는 무매개적으로 경제적이고 동시에 정치적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발제와 간식 배정표 수유너머N 2016-03-18 2563
공지 [과목1] 이데올로기와 주체 (정정훈) 수유너머N 2016-02-17 2671
116 인사원 에세이 수정본... file id 2016-07-30 816
115 인사원에세이 수정본 file 의횬 2016-07-26 738
114 수정에세이_지금 혁명의 장소는? : 평등자유명제 _미라 file uglyonion 2016-07-25 637
113 [기말에세이-수정] 최유미 file 카본 2016-07-25 530
112 인사원 에세이 마감합니다. [1] 몽사 2016-07-03 537
111 에세이 올립니다. file [1] 종견 2016-07-03 521
110 저는 아직 작성중이지만 올립니다... file [1] id 2016-07-03 475
109 에세이 올립니다 file 의횬 2016-07-03 402
108 에세이_평등자유명제_미라 file uglyonion 2016-07-03 392
107 기말 에세이 한샘 file 한샘 2016-07-03 359
106 기말에세이-빅데이터와 팩티시즘 file 최유미 2016-07-03 364
105 에세이 file 국희씨 2016-07-03 345
104 14주차 발제문 올립니다. file 초고리 2016-06-24 362
103 13 file id 2016-06-20 336
102 13주차 쪽글 file 의횬 2016-06-20 329
101 14주차_발제_보편적인것들_대중들의공포5부_미라 file uglyonion 2016-06-20 520
100 [쪽글 #13] 최유미 file 최유미 2016-06-17 371
99 [13강 쪽글] 희국 file 국희씨 2016-06-15 317
» 12주차_쪽글_맑스의 단락의 효과 uglyonion 2016-06-14 482
97 결석계 종견 2016-06-13 32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435 수유너머 104 / 전화 (070)827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