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너머N웹진

[블로그] 라캉을 이야기할 자격에 대해 말하다

조회 수 12419 추천 수 0 2011.02.14 02:53:15

lacan001.jpg


  톡 까놓고 이야기해 봅시다. 제가 여기서 라캉에 대해 말해도 될까요? 저 같은 사람도 ‘자격’이 있을까요? 아시다시피 라캉의 주저인 『에크리』는 여전히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난해한 도식과 말로 뒤덮인 그 책은 벌써 꽤 오랫동안 ‘근간’이라는 말에 묶인 상태이지요. 저는 『에크리』를 전혀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외국어에 완전히 까막눈인데다 사전을 뒤집으며 책을 읽을 만큼 바지런하지 못한 까닭입니다. 그나마 각종 라캉 개론서를 통해 『에크리』의 악명을 곁눈으로 겨우 확인한 정도라고 할까요. 불어의 기초는커녕 영문 독해력도 갖추지 못한 제가 언감생심 라캉을 넘보는 건 우스운 일일 지도 모릅니다. 아무래도 제 라캉 독해는 ‘문자 그대로의 라캉’에 도달하기는커녕 장님이 코끼리 다리를 더듬는 이야기가 되기 십상이겠지요. 솔직히 말해서 저는 아직도 라캉을 잘 모릅니다. 정신분석을 전공하지도 않았고 심리학에 조예가 있는 것도 아니니 그 방면에 내세울 것도 없네요. 라캉의 유일무이한 번역서인 『세미나11』을 탐독하고 있다지만 정말 딱 거기서 벽에 막히는 정도입니다. 애매한 말로 단언하는 라캉의 발화는 인정사정 보지 않으니까요. 제 『세미나11』을 펼쳐보면 그리 두껍지 않은 책에 노랗고 빨갛게 줄 쳐지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그만큼 모르는 것 투성이란 말이겠지요. 저는 (라캉의 녹음된 음성을 들어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 http://www.valas.fr/Telechargements-Freud-Lacan-audio-et-liens-videos,027) 라캉의 걸걸한 목소리에 의지해서 겨우겨우 라캉의 흔적을 쫓고 있는 사람일 뿐입니다. 의지하기엔 그마저도 멀리서 희미하게 들리는 목소리지만 말이죠. 억독도 이런 억독이 없을지 모릅니다. 누군가는 당신이 말하는 라캉의 권위가 고작 그것에 의거한 것이냐고, 그건 결국 라캉에 대한 맹신이 아니냐고 따져 물을 수 있겠지요. 틀린 말이 아닐 겁니다. 저는 정말 ‘고작 그것’에 의거해서 라캉에 대해 말하려는 참이니까요. 멀리서 부르는 라캉의 선의를 믿지 않고는 저의 무능력한 라캉 논의는 한걸음도 전진할 수 없을 겁니다. 그러니 라캉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자격을 일반적인 조건으로 따진다면 아무래도 저는 실격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겠네요.

  그런데 다른 누군가는 오히려 논의에 있어 자격이 무슨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자신이 이해한 바를 이야기해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주변에 충분히 많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특히 자신이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와 마주쳤을 때, 사람들은 스스로를 옹호하며 그런 논리를 펼치는 경우가 많지요. 그러므로 저의 무지에도 불구하고 저 역시 라캉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자격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옹호하실 분이 계실 겁니다. 어쨌든 저는 라캉과 관련된 몇몇 개론서를 읽었고 정신분석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었다는 이유를 거기에 덧붙일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그런 일반적인 인정을 통해 제가 말했던 ‘자격’의 문제가 충족될 수 있을까요? 아마도 그런 식의 인정은 자격의 문제를 잠시 보류하는 것일 뿐일 겁니다. ‘보류’가 자격에 관한한 부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운전면허를 갱신하듯 자격 문제에 있어 근본적인 것이라 할 수 있겠지요. 자격은 언제나 타자에 의해 부여(인정)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임시적이며 항상 타자를 향해 되물어져야 하는 것이지요. 자격은 개인이 무언가를 갖추는 것이 아니라, 타자에 의해 갖추어짐의 위치에서 탄생하는 ‘주체’의 문제인 것입니다. 자격과 관련해서 통용되는 조건들이 무의하다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자격의 주체는 개인이 갖춰야할 조건을 기준으로 결정되기에 앞서 항상 타자의 지점, 즉 타자의 욕망과 관련된 지점을 통과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자격은 누군가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증명하는 것’이라는 통속적인 격언은 그런 의미에서 자격이 타자의 욕망과 관련해 ‘스스로를’ 증명하는 것이라 읽어질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결국 라캉을 읽고 라캉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자격이란 뭘까요?


  Jacques_Lacan_002.jpg  images.jpg

 

  저는 이미 라캉의 선의를 믿으면서 논의를 진전시켜보리라 공언한 바 있습니다. 자칫 우스꽝스러워 보일 수 있는, 실제로 종교적으로 보이는 이 선언은 사실 자격의 문제에 관한한 아주 중요한 지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자격의 문제가 (타자의) 욕망의 문제로 이어지는 이상 라캉에 관한 자격은 라캉의 욕망을 가로지를 필요가 있지요. 분석가의 자격을 결정하는 교육 분석이 그러하듯이, 라캉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사람은 라캉의 욕망과 대면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캉은 과연 무엇을 욕망할까요? (이 질문에 도달한 사람은 이미 라캉의 욕망에 직면한 셈이겠지만) 그것은 바로 분석(가)의 욕망이며 정신분석을 계시한 프로이트의 욕망입니다. 라캉은 라캉주의자임을 자처하는 사람들 앞에서 자신(만)은 프로이트주의자임을 공언한 바 있지요. 그는 프로이트의 선의를 믿고 정신분석을 계시한 프로이트의 자격을 긍정함으로서 프로이트로의 회귀를 성공적으로 이행해냈습니다. 프로이트의 욕망 앞에서 라캉은 프로이트의 토대가 됨으로써 프로이트를 논할 수 있는 자신의 자격에 대한 검증한 셈입니다. 이는 영구적인 자격이 아닐 겁니다. 욕망 앞에서 무엇을 욕망하는가를 묻는 한에서 생겨나는 임시적인 자격입니다. 그야말로 ‘자격의 주체’가 탄생하는 순간이기도 하지요. 앞서도 언급되었지만 임시적이라는 사실이 부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자격 문제에 있어 본질적인 것이었지요. 정신분석에 관한 박사 학위가 프로이트를 논하는 라캉의 자격은 확증해주는 것이 아닙니다. 언뜻 충분해 보이는 자격은 국제정신분석협회가 (라캉의 진술대로라면) 라캉을 ‘파문’함으로써 무효인 것으로 밝혀졌지요. 라캉의 자격은 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신분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세미나를 통해) 행위로서 반복하였을 때에만 확인됩니다.



  세미나는 정신분석의 실천 자체의 일부를 이루며, 그 실천 내부에 있으면서 그 실천을 이루는 한 요소, 즉 정신분석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미나11』, 13쪽



  라캉의 세미나가 라캉이 기존에 하던 것을 재개하는 것일 뿐이면서도 동시에 그것의 완전히 새로운 단계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정신분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하나의 실천으로서 자신의 자격을 되물었기 때문입니다. 반복되는 세미나는 프로이트의 욕망이란 이름으로 자신의 난처한 토대를 드러냅니다. 라캉은 말합니다. 진리는 프로이트가 가진 무언가다. 계시자로서 프로이트는 확실성의 토대가 되는 불가능한 원인에 다름 아닙니다. (프로이트가 분석에서 매번 발견하는 무의식의 원장면이 바로 그 불가능한 원인이지요.) 라캉은 바로 그 지점에 자신의 자격을 놓습니다. 그리고 다시 말합니다.

  


  진리란 곧 진리를 뒤쫓는 무엇입니다. 또한 진리는 바로 악타이온을 뒤쫓던 개들처럼 여러분이 제 뒤를 쫓아 달려가는 곳이지요. 아르테미스 여신의 은신처를 찾게 되면 저는 아마도 사슴으로 변할 테고 여러분은 저를 잡아먹을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우리에겐 아직도 시간이 좀 더 남아 있습니다.

위의 책 , 285쪽


therapytales_lacan.jpg

  그러나 이젠 결론을 지을 시간이네요. 죄송하게도 쓸데없이 길기만한 자격에 관한 논의였습니다. 변명일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그저 라캉의 행위를 반복하고자 했을 뿐입니다. 그것이 저의 자격을 긍정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며, 불가능한 길이기 때문이지요. 라캉의 욕망에 제가 주체로서 응답하는 이상, 저는 저의 끝없는 무지에도 불구하고 저는 라캉에 대해 말할 자격을 갖춘 주체로서 발견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물론 그것을 발견하는 것은 제가 아니겠지요. 무의식이 거기에 있으므로 거기에 가야한다는 프로이트의 선언을 따라 누군가는 파편과 같은 저의 자격을 발견할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라캉의 선의를 믿고 논의를 진전시키기엔 라캉의 목소리는 저 멀리서 들려오는 로렐라이의 노랫소리를 닮았습니다.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이지요. 파도와 바위 앞에 자살적으로 맞서는 행위, 그래서 논의의 진전은 아무래도 다음을 기약해야할 것 같습니다. 분석이란 무엇인지, 선의란 무엇인지, 뭐든 만나야 할 것이라면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되겠지요. 억압된 것이 회귀하듯이 말입니다. 이상 열혈 라캉주의자 박모군이었습니다.


지루루

2011.02.14 02:56:52
*.231.117.111

  쓰려던 글은 아니었는데 막상 라캉에 대해 입을 떼기가 쉽지 않네요. 아직 잘 몰라서이기도 하고요. 차라리 프로이트에 대해서라면 쓰기가 쉬울지도 모르겠어요. 지젝처럼 라캉은 분석 실천으로 이해해야지 이론 자체로 정리하려면 잘 안 되는 거 같기도 합니다. 비평을 써야지 했는데 이론을 파고들어버린 저의 자책 OTL./ 쓰다보니 라캉이 라캉처럼 말하고 라캉처럼 쓴 것이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 걸 알게 되네요. ㅎㅎ

  편집점은 못 찾아서 그냥 그림 몇 개 붙였습니다.ㅡㅡ. 

2011.02.14 13:30:03
*.113.38.253

우웅.. 멋져요^^ 계속 할 이야기가 많을 듯... 앞으로도... 활약해주세요~~

타마라

2011.02.16 15:29:54
*.231.123.101

남아있는 시간에 더 많은 라캉 얘기를 듣고 싶군요.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2017년 2월 21일, ‘수유너머 n’을 해체합니다 [2] 수유너머N 2017-02-21 3902
공지 [강사인터뷰] <국가, 고전으로 읽다> 강사인터뷰 2탄 file 수유너머N 2016-12-27 1929
공지 [강사인터뷰] '비체' 페미니즘 - 구조에서 수행적 반복으로 file 수유너머N 2016-12-23 2763
공지 [강사 인터뷰] 《김시종: 어긋남의 존재론, 혹은 잃어버린 존재를 찾아서》 강사 인터뷰 2탄 file 수유너머N 2016-12-20 2857
공지 [강사 인터뷰] 《김시종: 어긋남의 존재론, 혹은 잃어버린 존재를 찾아서》 강사 인터뷰 1탄 file 수유너머N 2016-12-16 2843
공지 [강사인터뷰] 실천철학으로서의 해석학-리쾨르 해석학의 주체,언어,시간 file 수유너머N 2016-12-14 8227
공지 [강사인터뷰] 국가, 고전으로 읽다 강사인터뷰 1탄(홉스, 스피노자, 헤겔) file [1] 수유너머N 2016-12-12 2130
공지 우리는 ‘위안부’ 협상 타결이 무효임을 선언한다! 수유너머N 2016-01-08 10440
78 다케우치 요시미와 루쉰의 만남 해피 2011-02-16 9635
77 불편하다, 7080코드 file 2011-02-16 13183
76 정확한 거리두기가 성취한 영화미학 <아무도 모른다> file 만 세 2011-02-15 9868
75 [2/22 화요토론회] "미디어의 변화와 출판의 민주주의" - 유재건 file vizario 2011-02-15 13310
» [블로그] 라캉을 이야기할 자격에 대해 말하다 file [3] 박모군 2011-02-14 12419
73 [미드] 감히 욕망하라! / 섹스앤더시티 file [1] 이파리 2011-02-13 13376
72 [블로그] 억압받는 사람들의 토론연극 - Augusto Boal file 수유너머N 2011-02-13 12745
71 [블로그] [이진경 서평] 벽암록,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file 수유너머N 2011-02-06 10327
70 [불온 통신 3호] 연대의 쾌감을 위하여- 집중 세미나 소개 file hwa 2011-02-05 9785
69 [불온 통신 2호] 불온한 인문학이 선택한 두 권의 뜨거운 책 -맑스의 『자본』 들뢰즈의 『안티 오이디푸스』 file 불인강 2011-02-05 11682
68 브로콜리 너마저 - 소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노래 file [2] 수유너머N 2011-02-04 13461
67 [블로그] 세대론으로 보는 매리는 외박중과 시크릿 가든 file [1] 타마라 2011-02-01 10175
66 [미드의 사회학, 미드의 철학] 다섯번째 강좌, 스파르타쿠스 file [5] 해피 2011-01-29 96346
65 [불온 통신 1호] 내 친구, 불온한 인문학 강사팀을 소개합니다. file [5] 2011-01-28 10884
64 [2/8, 화요토론회] 한국경제의 신자유주의화와 계급적 재생산 구조의 변화 (장진호) file [1] vizario 2011-01-26 19527
63 [블로그] 우파는 부패로 망하고, 좌파는 분열로 망한다 수유너머N 2011-01-26 9640
62 [블로그] <증여론>을 읽는 한 방법 file [1] 타마라 2011-01-24 10398
61 [블로그] 미네소타 창녀에게서 온 카드 / Tom Waits -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file [6] 이파리 2011-01-23 41354
60 [미드의 철학, 미드의 사회학] 네 번째 강의 <트루 블러드> file [4] uoy 2011-01-22 268273
59 [1월 25일 화요토론회] 2000년대를 살아간다는 것 - 허우샤오시엔의 '밀레니엄맘보'와 '까페뤼미에르'를 중심으로 file [5] 꾸냥 2011-01-22 1040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435 수유너머 104 / 전화 (070)827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