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5강 두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이번 글은 정화스님 강좌 5강의 두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그 전의 강의는 이 웹진의 지난 글을 확인해주세요.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계속>



20번, ‘자녀와 결혼’입니다.(Ⅰ:110, Ⅱ:115) 앞에 이런 말을 합니다. ‘형제, 자네에게 묻고 싶은 말이 있어. 자네의 영혼이 얼마나 깊은지 알아보기 위해, 추를 내리는 기분으로 질문하는 거야."라고 합니다. 그대의 영혼이 얼마나 깊은가? 라고 합니다. 결혼이라는 문제는 살아보신 분들은 대체로 이런 저런 경험을 했기 때문에 대충 아시긴 하겠지만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여기서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사고의 연속적인 삶의 패턴을 후손에게 물려주는 식으로 결혼을 선택한다는 것은 전혀 결혼답지 못한 결혼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즉, 후손이 온전히 창조적으로 살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켜주는 겁니다. 그렇게 하려면 때가 되면 자기 품안에서 자식들을 온전히 다 내보내고 마치 자식이 없는 것처럼 볼 수 있는 힘을 길러놓아야만 합니다. 만일 그렇지 않고 자식에 대해 이런 저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자식 입장에서는 보살핌 받아 좋을 것처럼 보여도, 다른 한편으로 보면 부모가 쳐놓은 울타리 밖을 결코 가볼 수 가 없어서 창조적인 대물림으로 자녀가 될 수 없다는 말을 합니다.


이때 창조적인 대물림이 되기 위해서는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승리자가 되어야한다고 합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승리자라는 것은 뇌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연속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다른 상황이 오면 그것을 창조적으로 변할 수 있는 힘을 갖고서, 바로 전 찰나까지의 도덕적 기반을 온전히 파괴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자신을 정복한 사람, 자신의 감각의 지배를 받지 않는 주인, 이런 사람들이야말로 결혼을 창조적으로 할 수 있고 후손들을 창조적으로 낳을 수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


이처럼 먼저 자기 자신을 온전히 만든 사람이야 말로 결혼을 잘 한 사람이라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자기 몸이 그 자체로 숭고한 줄 아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땅이라고 하면 별것 아닌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몸을 숭고하게 볼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자신의 미래를 창조적으로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몸 그 스스로를 보면 얼마나 무의식적인 상황에서 창조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가?’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잠깐 이야기하면, 지난번에 한번 이야기했습니다만 면역세포라는 것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면역세포를 만드는 정보가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외부의 침입자가 들어오면 정보를 적당히 섞어서 새로운 면역세포를 만듭니다. 이때 네 가지 것을 조합을 해서 외부의 침입자와 맞는 모양을 만듭니다. 이런 것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하는 게 아닙니다. 면역세포로 가능한 조합의 경우의 수는 굉장히 많습니다. 이런 것은 내부적으로 지금도 우리 몸 안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혀 부모로부터 물려받지 않은 정보지만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다른 자료를 가지고 지금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들어서 자신의 삶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머리로는, 분석의 뇌로는 전혀 할 수 없는 것들이 이 숭고한 몸이 스스로 움직이면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이것보다 더 창조적인 것이 어디 있는가? 몸이야말로 창조자를 창조하는 창조의 중심’이라는 것을 잘 아는 것. 이것이야말로 자기 자신을 잘 아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몸이 자기스스로 후손을 창조할 때 만들어진 도덕적 기반에 대한 것을 한발 물러서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낳은 자식 그 자체는 온전히 부모와는 다른 형태의 정보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즉, 온전히 새로운 정보를 가지고 태어나서 창조적 실제가 된 겁니다. 그런데 거기에 대놓고 그 창조적 실체를 전부 다 억눌러서 전혀 창조적인 삶을 살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의식의 활동이라는 것이 미래를 예측하면서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몸이 가지고 있는 온전한 창조성을 덮는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에, 몸을 존중하는 눈으로 보는 사람이야말로 결혼을 잘 하는 사람이고, 자녀를 잘 둘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자, 이렇게 하는데 사실상 우리가 결혼할 때는 그렇게 결혼하지 않고 아주 훌륭한 사람이나 저 사람이 아니면 안 되는 그런 사람을 만난다고 하지요. 하지만 그 사람을 그 사람대로 전혀 보지 않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그 사람에게 씌워 보기 때문에, 조금만 지나면 그 이미지가 자신을 배반하는 것을 바로 만나게 돼서 고통스런 열병을 만나게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고통스런 열병을 탁 만났으면 바로 그것을 잘 알아채서 씌워진 이미지를 벗겨내면 되는데, 그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면서 자신과 상대로 하여금 계속해서 고통스런 열병 속으로 가게 하는 사람은 몸을 창조적으로 기르지 못한 사람입니다. 이미지를 벗겨내서 넘어서게 되면 자신과 상대를 사랑하면서 온전한 넘어서기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사랑의 쓰디쓴 잔을 마시기는 어렵긴 하지만 그것을 잘 마시기만 하면 좋은 결혼과 좋은 의지를 실천하는 일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자녀와 결혼"이라는 장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21번째, ‘자발적 죽음’장입니다.(Ⅰ:114, Ⅱ:119) ‘살아야할 때 살지 못한 인간은 죽어야 할 때 죽기 힘들어."라는 말들이 뒤에 나옵니다. 사실상 우리가 살자고 하거나 죽자는 의지적 작용은 지난번에 말씀 드렸듯이 빙산의 일각의 한 톨의 얼음입니다. 그러나 다만 이런 의지가 나올 때는 내부에서 온전한 상호 협의를 통해서 이 의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보면 굉장히 작지만 이것이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반대로 이 의지가 이쪽으로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런데 내부적으로는 다세포 생물과 단세포 생물의 차이는 죽음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하느냐에 달렸습니다. 박테리아 같은 단세포 생물은 아주 짧은, 15분이나 몇 분 안에 계속해서 자기 몸을 분열을 시키면서 새로운 삶을 만들어냅니다. 그렇게 빨리 하는 이유는 외부와 적응할 때 자기가 가진 현재의 정보를 15분 이상 가지고 있으면 외부에 적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빨리빨리 바꿔서 정보를 계속 새롭게 만들어내는 겁니다. 그래서 눈도 없고 귀도 없고 아무런 감각기관도 없는데 입만 벌리고 죽 있으면 안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이 에너지만을 통해서, 잠깐사이에 자기 내부의 정보체계를 바꾸면서 계속해서 분열해나갑니다. 이런 분열의 정보체계가 바뀐 것을 보면서 그것을 박테리아의 성 선택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어느 날 이런 박테리아들이 여럿 모여서 다세포 생물이 됩니다. 그런데 다세포 생물들은 죽음이 한 세포가 능동적으로 ‘나 죽을래."라고 할 수 없도록 연결망을 갖게 됩니다. 반대로 외부에서 오는 리스크도 세포의 수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 인간은 60조개의 세포가 되었으니까, 외부의 리스크가 60조분의 1로 줄어든 겁니다. 이렇게 우리가 모여 있는 것은 각 세포들이 잘 살아가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들이 어느 순간이 지나면 더 이상 그런 네트워크로 삶을 지탱할 수 없을 때 이때 약속을 했습니다. ’같이 흩어지자‘고요. 우리말로 하면 "같이 죽자."입니다 허허. 미생물의 관점에서 보면 죽었다고 말하기도 어렵고 살았다고 말하기도 어려운 그런 상태가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는 우리가 흔히 죽었다고 말하지만 미세한 세포의 형태에서 보면 우리가 이 연결망으로서는 더 이상 함께 지탱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게 죽을 때가 딱 되면 우리 몸 전체가 "이제 우리 흩어질 때가 됐어."라고 하는데, 아, 안 죽으려고 하는 것이지요. 그러면 죽어야 할 때 죽지를 못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살아야 할 때 살지 못한 인간들입니다. 왜냐하면 자기 삶이 어떤 것인가를 잘 보지 못하고 항상 살모사에 물린 삶만 살다 보니까 제 삶을 제대로 살지 못했기 때문에, 죽을 때가 돼서도 죽을 때인지 살아야 할 때인지 분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죽음을 상실로 받아들여서 생명의 내용을 전혀 돌아보지 못하는 겁니다. 이렇게 죽기조자 힘들어 하고 있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삶이 최종적으로 하는 것은 죽음이야 말로 가장 아름다운 축제로서 삶의 완성을 이야기해준다고 합니다.


삶이라는 것은, 다세포생물은 여러 가지 세포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가장 왕성하게 자신의 삶들을 살아가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더 이상 그런 식으로 살 수 없는 상태가 왔기 때문에 우리 이제 흩어지자고 말했는데, 이때 흩어지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때 흩어짐이라는 것은 ‘다른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우리가 한번 건강하게 살아보자."는 말과 같습니다. 그런데 죽음을 상실로 받아들이면 그것들이 연결해낸 새로운 다세포의 모양의 삶들을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축제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됩니다. 이런 죽음은 오직 상실일 뿐이라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죽어야 할 때 죽고 싶지 않습니다. 이 안에서 ’때가 됐어. 우리 흩어져."라고 말함에도 불구하고 ‘아 나는 안 흩어져."라고 말하는 것은, 여기서 일어난 조그만 의지적 작용이 마치 삶의 전부인 양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삶을 잘못 본 사람들은 축제를 축제로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축제를 축제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목표와 후계자를 가진 사람입니다. 우리 세포체의 죽음이라는 것은 안에서 보면 다른 생명체를 만들어내는 목표를 가지고 있고. 이런 것들이 자신의 삶을 이어가는 새로운 후계자인줄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들의 죽음은 새로운 생명체를 불려가는 신선한 일들을 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미 시든 화관을 머리에 쓰고 그것이 마치 전부인 양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니체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짜라두짜가 친구에게 말합니다. ‘자네의 죽음이 사람과 땅에 대한 모독이 되지 않기를." 죽음의 상실의 의미라는 것은 사물과 땅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 실체와 어긋난 생각이기 때문에 땅과 사람을 모독하는 것이 됩니다. 그렇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장 소중한 영혼에 대고 간청하건대 ‘제발 그러지 말라."고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야기를 합니까? ‘마치 해가 떨어지고 나서도 노을이 세상을 감싸듯, 죽음에 이른 자네의 정신과 미덕은 여전히 빛나야 해. 그렇지 못하면 자네의 죽음은 비참한 죽음이니.’ 즉, ‘죽음이 정신의 미덕의 가장 극점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려는 덕의 꽃으로 빛나는 줄을 모르는 것은, 죽음을 가장 비참한 상태로 받아들이는 것이니 그이는 나의 친구가 될 수 없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죽음을 전혀 상실의 두려움으로 받아들이는 게 아니고, 훌륭한 정신과 창조적 미덕의 새로운 발현으로 받아들이고, 그것 스스로가 자신의 후계자를 찾아서 황금의 공을 전달하는 것처럼 받아들이라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뭐라고 이야기합니까? ‘나는 자네가 그런 황금 공을 가지고 노는 것을 볼 생각이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바꿔 말하면 그런 삶 속에서는 보는 게 아니고 그런 삶을 사는 사람 자체가 짜라두짜가 되기 때문에, 한 짜라두짜가 그 안에 다른 창조적 짜라두짜와 같이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마치 죽음으로 다가오는 것처럼 다가온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도시의 목소리 듣기 수유너머웹진 2016.11.13 47
107 번역 ::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_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6.11.04 83
106 번역 :: [특집번역] 루이 알튀세르,「브레히트와 맑스에 대하여」(1968) 3 수유너머웹진 2016.10.31 43
105 번역 :: 실재의 정치 : 들뢰즈 루소 강의_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6.10.25 293
104 번역 ::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_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6.10.17 126
103 [해석과 사건4] 아르케는 아페이론이 아니다 수유너머웹진 2016.10.07 3761
102 번역 ::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 수유너머웹진 2016.10.07 103
101 번역 :: [시몽동X번역기계] 시몽동과 빅데이터 - 마지막 수유너머웹진 2016.09.30 9
100 [칼슈미트 입문강의] 6강 여섯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09.28 139
99 [칼 슈미트 입문 강의] 6강 다섯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09.21 217
98 [해석과 사건3] 우회-아낙시만드로스 수유너머웹진 2016.09.12 350
97 [칼 슈미트 입문 강의] 6강 네번째 부분 [1] 수유너머웹진 2016.09.07 199
96 [칼슈미트 입문강의] 6강 세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08.31 5705
95 [해석과 사건2] 파르메니데스와 헤라클레이토스 수유너머웹진 2016.08.29 314
94 [칼 슈미트 입문 강의] 6강 두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08.24 55
93 번역 :: [시몽동X번역기계]시몽동과 빅데이터 - 5번째 수유너머웹진 2016.08.22 50
92 [칼 슈미트 입문강의] 6강 첫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08.17 172
91 번역 :: [특집번역] 루이 알튀세르,「브레히트와 맑스에 대하여」(1968) 2 수유너머웹진 2016.08.15 13
90 [해석과 사건1] 왜 사건의 철학이며 해석의 철학인가? 수유너머웹진 2016.08.08 487
89 번역 :: [시몽동X번역기계]시몽동과 빅데이터- 4번째 수유너머웹진 2016.08.01 1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