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네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제목인 <네 번째 강의>는 편집자가 임의로 부여한 것입니다. 정화스님의 실제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좀 더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즉 이번 글은 정화스님의 1강 원고에서 네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니체도 짜라두짜를 통해서 잠자는 사람에게 무엇인가 잠깨는 이야기를 합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나는 인간을 사랑합니다.’라고요. 그런데 실제로 별로 세력이 없는 종교이긴 합니다만, 가장 늦게 형성된 종교 사상 중에 하나로 ‘동학’이 있습니다. 서학에 상대된 개념으로 동학이지요. 동학은 ‘짜라두짜 같은 대단한 지혜를 가진 사람이 잠자는 인간을 사랑한다는 것’은 지혜를 가진 사람의 말이긴 하지만, 이것은 아직 인간을 온전히 파악하지 못한 말이라고 합니다.


 동학의 대표적인 말이 ‘사람이 하늘’이지요. 사람이 짜라두짜라는 말입니다. 사람이 짜라두짜다. 다만 이 짜라두짜는 하늘로 올라가있는 사람이 아닙니다. 니체는 앞에서 잠자는 사람들을 은근히 노예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동학에서는 깨어나고 봤더니 노예인 사람이 없는 겁니다. 그래서 존재가 억울하지 않습니다. 여기 부모님들도 많이 계시지만, 부모님이 자식들에게 공부 잘해라, 출세해라, 하는 이야기가 사실상 그것들이 표면상으로 바람직해 보이기 때문이기도 할 겁니다. 하지만 보다 내부의 바람을 보면 세상에는 출세하지도 않고 돈을 많이 못 번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이런 사람들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서 존재로서 인정받지 못하지요. 무시를 당하고 뭔가 억울한 것이 많은 겁니다. 돈을 많이 벌라는 말은 돈이라는 가치체계에 들어가라는 말보다는, ‘나는 어떻게 살다보니까 그렇게 됐지만, 너는 억울한 일을 당하지 말고 살아라’는 겁니다. 좀 권력을 가진 사람이 되라는 겁니다. 바꿔 말하면 세상이 쓸데없는 것을 표준으로 삼아서 억울한 사람을 많이 만들어내고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동학은 뭐라고 말합니까? ‘나는 인간을 사랑합니다.’라고 말하는 게 아니고, ‘인간이 하늘입니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아마 세상의 종교 중에서 이렇게 인간을 하늘 높이 올리는 걸 교시로 삼은 종교가 있을까 싶습니다. 물론 잘 모르기 때문에 알 수는 없습니다만.



동학농민운동 당시 전봉준이 쓴 격문. "사람이 하늘이다"라는 동학의 정신은 "사람을 사랑한다"라는 말보다 더 근본적일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Sabaltongmoon" by Twenty rebel leaders of Jeongeub, Gobu, and TaeinLife time: All hanged in March 1895. - Original publication: November 1893, in Song Daeho"s houseImmediate source: http://ko.wikipedia.org/wiki/%EB%8F%99%ED%95%99_%EB%86%8D%EB%AF%BC_%EC%9A%B4%EB%8F%99. Licensed under 퍼블릭 도메인 via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Sabaltongmoon.jpg#/media/File:Sabaltongmoon.jpg



#

 자, 어쨌거나 짜라두짜가 인간을 사랑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노인이 뭐라고 합니까? ‘아 인간은 사랑할만한 존재가 아니다.’고 이야기합니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다. 반면에 신의 세계는 완전한 존재다.’라고요. 완전한 존재는 변이가 없는 상태입니다. 변이가 없다는 건 시간 밖에 있는 겁니다. 그래서 이것을 영원이라고 그렇게 말합니다. 영원을 산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것을 아무도 실제적으로 경험해본 사람도 없고, 본 사람도 없고, 제대로 들은 사람도 없습니다. 그냥 어디에서 그렇더라 하고 이야기할 뿐입니다.

 자, 한번 바꿔보세요. 그러면 이제 뭡니까? 영원을 사는데, 시간 밖에서 영원을 살려고 하지 않고 시간 속에서 영원을 살려고 해본다고 합시다. 생명이 유전자를 후손에게 남겨주려고 하는 것은 시간 속에서 영원을 사는 방법을 획득한 겁니다. 무엇을 획득했느냐 하면, 과거의 정보를 계속해서 가공해서 새로운 환경에게 적응시키는 능력을 만드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 안에 들어있는 이 세포의 역사는 최소한 40억년입니다. 두 번째로, 이 세포를 이루고 있는 물질성으로 이야기하면 138억년입니다. 그전까지는 137억년이라고 했는데, 계속해서 우주를 연구해보니까 근래에 나오는 물리학 책에서는 1억년이 더 늘어났더군요. 더 나아가서 우주는 순환적 우주라고도 합니다. 그 이전에는 빅뱅이라는 시점적 우주를 가지고 세계를 해석했는데, 요즘에는 서서히 순환론적 우주를 말합니다. 암흑에너지를 가지고 우주를 살피면 우주는 순환론적이면서 영원한 시간속에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영원한 시간은, 완전한 존재가 변이 없이 시간 밖에 있는 영원성이 아니고, 자신 스스로가 시간이 되는 것에서 영원함입니다.


 인간은 어제와 오늘과 내일을 생각해보면 완전하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그 완전하지 않은 것, 사람은 우연과 변이성입니다. 새로운 길을 만들어가는 능력으로서 인간의 본 특성을 삼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것이야말로 시간 속에서 영원을 사는 현존이 된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서 말한 노인의 이야기는 언뜻 들어보면 그럴 듯하게 보이지만 머릿속에서 나온 추상적 사고로 현실적인 삶의 밖에 있는 그런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노인이 ‘불완전한 인간을 사랑하면 네가 부서질 거야.’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짜라두짜는 그런 인간과 함께 있는 것이야말로 그 변이 속에서 영원을 사는 것인 줄 알기 때문에, 그 속으로 내려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10분간 쉬었다 계속 내려가도록 하겠습니다.



(1강 1부 끝)


(1강 2부 시작)



 이어서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성자라고 하는 노인께서 세상에 내려가지 말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인간이란 어떤 것인가 하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짜라두짜가 성자에게 묻습니다. 성자는 숲속에서 무엇을 하고 지내십니까? 하고 묻습니다. 그랬더니 성자는 신을 찬양하며 지낸다고 합니다. 에리히 프롬이라는 사람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책 제목은 ‘건전한 사회"인데, 제 2장에 보면 사회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은, 특히 유럽인들은 신의 완전성을 이야기합니다. 더 이상 흠이 없는 완전무결, 전지전능 등등으로 신을 찬양합니다. 그러고는 그런 개념을 나에게 붙여놓으면 우리는 늘 부족한 것 같습니다. 생각하면 할수록 또 더 부족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표면쯤에 부족한 것이 있다가, 점점 땅속까지 자기의 부족함을 피부로 느낍니다. 그래서 신과의 거리가 굉장히 멀어집니다. 그러면서 신을 숭배합니다. 나는 저 밑의 자리에서 위대하신 신을 숭배하는 겁니다. 숭배하면 할수록 어떻게 됩니까? 신과 나의 거리는 점점 멀어집니다.



신을 찬양하다보면, 그와 동시에 나의 모자람을 발견합니다. 늘 부끄럽고 그래서 좌절합니다. 니체는 이런 좌절 메커니즘을 고발합니다. 그것이 계략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좌절하지 마라고 합니다. 

출처: http://seriduri7.tistory.com/m/post/752



 부족하다는 말을 계속 하면 자신을 부족하다고 여기는 인식채널을 강화시킵니다. 그래서 나는 늘 부족하게 됩니다. 궁극적으로는 그렇게 모든 사람이 신으로부터 소외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이 만난 신들은 전부 다 우상이 됩니다. 프롬은 그래서 현존하는 신앙행위는 전부 다 우상숭배를 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많이 들었던 이야기지요? 특히 불교에 있던 사람들은 많이 들었던 이야기입니다. 


 이런 우상숭배를 하면 할수록 어떻게 되느냐? 신이 인간에게 아무런 뭐가 없게 됩니다. 그러면서 신이 모든 인간사회의 역사에 개입하며 전지전능하고 완전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인들이 2차 대전이나 일본 등등에게 많은 억울한 일을 당합니다. 이렇게 억울한 일을 당하는데, 그런 일을 행하는 사람에게 잘못이 크다면 벌이 거기로 가야하는데, 이상하게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이 벌을 받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보다 가해자가 더 나쁘다면 신이 나를 버리지 않고 가해자를 버려야 하는데, 억울한 나에게 어려운 일이 생기는 걸 보니 나를 버린 겁니다.


 그래서 이제 우리에게서 나쁜 점을 찾습니다. 그 나쁜 것이 게으른 DNA등등으로, 그런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그 전제가 그렇게 내려지는 순간 우리는 그렇게 되면서 계몽되어야할 존재로 이야기되는 겁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그런 행위를 하는 사람이 늙은 성자입니다. 열심히 신앙 일을 하면서 자신은 신으로부터 소외되어 우상숭배를 하고 있고, 그 우상숭배는 자기를 더욱 못난 놈으로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니체가 말합니다. ‘아, 저 사람은 산 속에서 혼자 살더니 신이 죽었다는 소리를 아직도 듣지 못했구나." 라고 말입니다.


 이 부분을 생각해보면, 땅 속까지 자기의 부족함을 느끼면서 신을 숭배하던 사람이 다시 위로 올라오는 겁니다. 아까 말한 불완전성이 현재를 완전히 살아내는 생명의 활동 방법입니다. 물론 이건 니체의 말이 아닌 저의 말입니다.


 우리 몸은 태어나기로는 자기 생년월일로 태어납니다만, 엄마 아빠가 자기에게 정나와 난자를 통해 유전자 등등을 물려줍니다. 그런데 지금 엄마 아빠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것은 금생이 처음입니다. 그런데 그 정자와 난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역사성은 아까 말한 대로 40억년을 지나온 것입니다. 그 40억년동안 지구의 역사가 굉장히 오래됐고 그만큼 변화도 굉장히 많았습니다. 그래서 30억년 전에 필요했던 정보가 지금은 필요하지 않게 되고, 20억년 전에는 필요했던 것이 10억년 후에는 필요하지 않게 되고, 40억년 전에는 없었던 것이 40억년 후에는 새롭게 생겨나는 등의 일이 일어납니다. 우리의 눈만 하더라도 생명의 역사 속에서 생겨난 것입니다. 그래서 정자와 난자가 만난 것은 처음이지만, 동시에 삶에 들어있는 역사성으로 보면 완벽하게 우주의 역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생명체가.


 그런데 생명체가 이렇게 살아내는 방법 중에는 과거에는 아주 유용하게 쓰였지만 지금은 유용하게 쓰이지 않는 것들이 있다면 스스로가 정보를 삭제시키는 것이 있습니다. 생물은 DNA상에서 그 정보를 지울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명은 세상을 잘 압니다. 공간의 불변성처럼 보이는 ‘공간성’이나, 시간의 ‘변이성’을 살아오면서, 자신을 어떤 때에는 변하지 않는 듯이, 어떤 때는 변한 것처럼 살아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겁니다. 물론 그렇게 살아가도 살기 어렵긴 합니다만, 그렇게 살아가는 겁니다.


 따라서 모든 생명체들이 그 시대의 환경과 가장 적절한 생명활동을 하도록 자신을 끊임없이 만들어가기 때문에, 정지 상태의 완전성이라는 것은 생명의 세계에서 존재할 수 없습니다. 생명만 그러느냐? 하면 우주 또한 그렇다고 요즘은 이야기합니다. 왜냐하면 우주의 대부분인 4분의 3정도가 암흑에너지라고 해서 전혀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것을 연구하다보니 우주가 계속해서 확장되어 우주바다에 아무것도 없는 수준이 되면 그 암흑에너지가 희한한 역할을 하게 된답니다. 더 이상 외부와 어떤 신호도 연관성도 가질 수 없는 관계가 되는 순간, 여기에서 갑자기 새로운 우주가 거품처럼 튀어나온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들도, 아무것도 없어지는데 동시에, 그것이 정보의 최소한의 끈까지 놓아진 순간에 뭔가 새로운 정보채널을 만들면서 우주가 순환하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을 볼 때 신을 숭상하면서 자신을 보는 게 아니라 아까 동학에서 말하는 자신의 부족성이 결코 부족한 것이 아닌 쪽으로 보는 것, 이것이야말로 초인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 초인이 우리의 본래 모습인줄을 모르고 하늘에 대고 숭배하는 저분은 신이 죽은 줄을 전혀 모르는 몰지각한 사람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자, 나는 세상에 나가서 신이 죽었지만 모든 생명체가 그 자체로 초인인줄을 이야기해줘야지 합니다. 신을 숭배하는 게 아니고 당신들은 초인이 되십시오."라고 말입니다.



#

 그런데 우리는 초인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너무나도 많이 들어왔습니다. 금생에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사실상 태어나면 자기 스스로가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니까 부모의 눈치를 보는 것부터 시작해서 사회의 눈치를 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안에 억울한 일이 쌓이지요. 아까 얘기한 분이 스물세 살이라고 했습니다만, 사실 스물세 살도 생명의 후손을 전하는 역사에서 보면 상당히 늦었죠. 이팔청춘이라고 해서 열여덟 살만 되면 빨리 후손을 만들어야 그 역할을 다 할 텐데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해 그 역할을 못하니까 머리가 지금 쥐가 날겁니다. 허허허. 그래서 서른이 넘어서 점점 그 역할에 왕성한 것이 사그라지고 ‘뭐 결혼할 필요가 있어?’하는 생각을 하게 돼서, 30대가 넘은 사람들에게 ‘당신은 결혼을 하겠습니까?’ 하고 물었을 때 40%정도가 별로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 안에는 16세에서 30세까지, 안에서 왕성하게 끓고 있는 활동이 어떤 식으로 억압되어있기 때문에 그것을 포기하는 그런 역할이 나타날 수도 있겠습니다. 거기에 더해 외부에서 오는 압력들은 의식적으로 받아들일 때가 훨씬 더 강력합니다. 그래서 스트레스를 주는 그런 힘들은 우리 신체를 전혀 다른 식으로 만들어냅니다. 남성이 자기 자식을 만들어내려면 한번 부부관계를 맺었을 때 정자 수가 2억 정도 나와야 아주 왕성한 활동을 한다는데, 지금 2~30대의 스트레스를 아주 많이 받는 남성들은 7천만 마리 정도 밖에 안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 이하로 떨어지면 후손을 만들어낼 수 없을 정도로, 생리적 사건에 계속 그런 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역사를 한편으로 보면 이 사회가 없에가고 있는, 그런 역할까지도 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와가지고 우리가 기존에 있었던 신-여기 있는 신은 사실상 자본이지요-그런데 이 신이 드디어 우리를 배반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젊은이들이 "뭔가 삶이 이런 것이 아닌데"라고 해서, 삶의 형태를 찾아 만들어 내는데, 아마 이런 삶의 형태는 노자가 말하는 "소국과민"이라는 작은 공동체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소국과민이 얼마나 작은 것이냐 하면, 이웃나라의 닭소리가 자기 집안에 들릴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바꿔 말하면 부락단위의 공동체가 그 마을이 됐을 때 가장 국가로서는 건전한 국가가 되고, 몇 명 안 되는 사람들끼리 사는 형태야 말로 참 좋은 국가 형태라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이 죽었는데 그것을 모르고 있고 우리는 그 신을 향해 열심히 다가가고 있지요. 그 신이 우리를 배반합니다. 스트레스를 주면서 너는 후손조차 낳지 말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빨리 우리 내부에서 죽은 신을 끄집어서 밖으로 버리지 못하면 40억년을 살아간 생명의 역사가 더 이상 진전하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 [해석과 사건9] [보론 1] 들뢰즈에게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란 무엇인가? file nomadia 2018.02.06 1168
127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3회 file 김민우 2018.01.20 1595
126 [번역-동물권리선언] 동물과 비장애인중심주의 file 큰콩쥐 2018.01.12 779
125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 하기(2) file compost 2018.01.03 943
124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하기(1) file compost 2017.12.31 1231
123 [헤러웨이] 선언의 사상가 다나 해러웨이 file admin 2017.12.25 2986
122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2회 file 김민우 2017.12.05 694
121 번역 :: 게으름과 근면의 관계를 스스로 분배하는 노동을 위해 file Edie 2017.11.20 659
120 [해석과 사건8] 데카르트와 프루스트-삼중의 질서와 타자의 왜상 file nomadia 2017.11.08 3123
119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1회 김민우 2017.11.02 1293
118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다나해러웨이 인터뷰(마지막 편) file compost 2017.10.28 750
117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다나해러웨이 인터뷰(2편) file compost 2017.10.20 1439
116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1)-다나해러웨이 인터뷰 [4] file compost 2017.10.10 4158
115 번역 :: ‘일본인 위안부’ 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시도 [2] file Edie 2017.09.19 990
114 [해석과 사건7] 주체와 타자-코기토의 전복 [1] file nomadia 2017.09.05 5600
113 번역 :: 폭동과 학살의 남성성(후지노 유코, <도시와 폭동의 민중사 – 도쿄 1905-1923>) [1] file Edie 2017.06.18 695
112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한국전쟁 시대의 "공작자"들의 문화=정치 수유너머웹진 2016.12.23 42
111 [해석과 사건6] "홀림"-목적론과 결정론 수유너머웹진 2016.12.04 232
110 [칼 슈미트 입문강의] 7강 첫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11.23 389
109 [해석과 사건5]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 [1] 수유너머웹진 2016.11.20 57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