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4강 두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이번 글은 정화스님 강좌 4강의 두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그 전의 강의는 이 웹진의 지난 글을 확인해주세요.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4강의 책 범위| Ⅰ번 책:87~104쪽, Ⅱ번 책:89~107쪽]




그래서 여기서 말하는 숲이라는 말은 한편으로 말하면 도시와 상대되는 숲도 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말하면 내가 어떤 욕망의 코드를 가지고 있느냐.", 어떤 욕망의 코드를 씌웠느냐에 따라서 내가 숲에 사느냐, 도시에 사느냐 하는 것을 결정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 뒤 문장을 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색을 밝히는 여자의 손에 떨어지는 것보다는 차라리 살인자의 손에 떨어지는 것이 낫지 않아?’ 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여성으로 돼있어서 여성분들에게는 좀 미안하긴 합니다만, 이것을 쓰는 분이 남성이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대에는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었을 텐데, 요즘은 색을 밝히는 사람의 손에 떨어지는"으로 바꾸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욕망에 떨어져버리면 한쪽으로 치우친 사고에 의해서 결코 마음을 쉬기 어렵습니다. 그 욕망이 옆에 없으면 마음이 불편하고 그 욕망이 싫으면 흥분돼서 계속해서 왔다갔다하며 쉴 틈이 없습니다. 차라리 살인자에 떨어지면 내가 욕망의 코드 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속으로 자신을 조금이라도 살아볼 수 있다는 뜻에서, 이 책에서는 살인자 앞에 서는 것이 욕망의 앞에 서는 것보다 낫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내 마음을 쉬고 있으면 사건을 내가 원하는 욕망의 색깔을 입혀서 보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사건은 사건대로 그냥 존재하게 됩니다.


이렇게 사건이 사건대로 존재하는 것을 "청정"하다고 합니다. 물이 깨끗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대상이 이제 대상 그대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 그 전에는 대상이 내가 욕망하는 색깔이 거기에 입혀져서 내 눈앞에 나타나기를 바랐습니다. 그런데 내가 그것을 내려놓고 보면, 그냥 그 색으로 대상의 실제 만남이 됩니다. 이런 것을 청정하다고 합니다. 이런 정신세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사는 세계를 불교용어로는 "색계"라고 합니다. 청정한 사물사건의 본래 모습과 내가 만나는 세계입니다. 그 전에는 내가 사건을 어떻게 욕망하느냐가 사건을 규정하고 있었는데, 욕망이 쉬고 나면 그냥 그대로 만납니다. 화를 내는 사람을 만나면 , 저 사람이 화를 내고 있군."합니다. 다만 "너는 왜 화를 내? 화는 나빠, 화는 좋아 등등."의 것을 다 떠나서 아 저분은 지금 화가 났군요."라고 하는 겁니다. 반대로 칭찬을 하면 , 저분은 칭찬을 하는군요."라고 하고 내 마음이 동시에 들뜨지 않고 사건을 보니까 그 사건대로만 봅니다. 가치판단이 상당히 유보된 상태가 되는 겁니다.


이런 상태가 되면 될수록 나는 숲에 사는 것과 같습니다. 숲이라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상생과 상극의 순환의 관계가 가장 극대화된 세계를 뜻합니다. 상생과 상극의 순환이 극대화된 관계성을 보려면 사물의 모습만을 보지 않고 그 사물이 존재하게 된 배경을 함께 봐야합니다. 그 다음에, ‘그 사물과 내가 어떻게 접근하고자 하느냐하는 자신의 인지구조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런 관계에서 이런 것이 보이는게 아니고, ‘이런 관계성들이 보입니다. 상생과 상극의 관계성들. 사건의 존재성이라는 것은 무엇과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서 이름이 결정되는 것이라는 게 보이는 겁니다. 남편이라고 하면 우리는 당연히 남편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결혼하지 않은 남자는 절대 남편이라는 이름을 가질 수가 없지요. 그래서 남편이라는 이름은 결혼한 아내가 결정해주는 겁니다. 반대로 아내라는 이름도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 절대 가질 수 없지요. 결혼한 남편이 만들어주는 겁니다. 따라서 아내도 있고 남편도 있는데, 이것을 성립시키는 것은 이 두개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만일 법적으로 그런 것이 아니면 또 다른 이름을 갖게 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그 관계성을 보면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어떤 것 즉 남편이라는 것의 존재성은 아내라는 것이 규정해주고 있다는 것을 보기 때문에, 남편 하나만의 사건이나 존재는 비어있다는 것을 봅니다. 사람은 사람인데 비어있는 겁니다. 없어요. 그래서 이제 관계성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잘 보는데, 실제로 이런 일들이 집중상태에서 일어납니다. 보면, 대상을 주시했던 의지가 계속되면 갑자기 눈앞에서 대상이 사라집니다. 대상이 없는 것만 홀로 쭉 서있습니다. 세상은 없는 것을 아는 것만이 존재합니다. 이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이 대상을 규정해주는 대상 속에 의지가 가있는 게 아니고 대상을 이루는 관계성 속으로 의지가 가있으면, 내 안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그렇게 하는 행태가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어떤 때에는 그것을 아는 놈조차 스윽 사라져서 마치, 정말로 갑자기 깊은 잠 속에 쭉 떨어진 것 같은 그런 상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상태를 무색계라고 합니다. 우리가 청정이라고도 말할 수 없는 그런 세계, 이 세계가 마음 쉰다는 상태에서 함께 발현되게 됩니다. 인지의 3층 구조를 통해서 숲이라는 사건이 온전히 다 드러나게 됩니다. 그런데 도시"에서 우리는 아예 남편으로만 존재하기를 바라거나 아내로만 존재하기를 요구합니다. 지금 이 책에서 말하는 도시"는 우리에게 그것을 요구합니다. 도시노동자들은 대부분 다 생산시설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생산시설을 가진 사람을 자본가라고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동을 팔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지요. 노동을 판다는 것은 내가 팔고 싶어서 파는 게 아니고, 노동을 사갈 사람이 그래 내가 네 노동을 사주겠어."라고 말할 때 가치가 있는 것이 됩니다. 그래서 도시에 편입되는 순간 내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상대의 욕망이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느냐?’ 하는 것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자신의 삶을 전혀 살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제 음습한 곳에서 자신의 욕망을 펼치는 음란한 사건들이 펼쳐지기 때문에, 도시는 음란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니체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도시에 살면서 자신의 가치를 완벽히 전도시켜서 파는 가치가 아니고 존재하는 가치로 만들었을 때, 내가 "아 이 무슨 사회가 이렇지."라는 말과 더불어 다른 식으로 만들기 시작하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도시가 자본의 시장 논리에 의해 그렇게 움직이는데 그 시장 논리에 접근하고 있는 자신의 내용을 바꾸면, 도시의 사건이 다른 사건으로 자기와 다가오게 됩니다. 아까 말했지요? 내가 이 관계성을 다른 색으로 끌고 가면 내 존재성이 전과 다른 식으로 비춰지는 겁니다. 때문에 이 상태에서 충분히 숲의 순환적인 상생과 상극의 삶을 살 수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런 도시에서의 삶에 대해 이 책에서는 사실상 음란한 사람이 많다고 했습니다. 그것이 너무나도 팽창하다 보니까 나는 음란한 것도 싫어."라고 몸이 말합니다. 그래서 80년대 일본의 젊은이들의 정자 수를 조사했더니, 거의 평균이 7천만 개 정도로 떨어져서 후손을 낳을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떨어졌습니다. 보통 2~3억 개가 되어야 자식을 낳는데 상당히 좋다고 말하는데, 마지노선 정도에서 왔다갔다하고 있는 겁니다. 여기서 보면 나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어느 한계선까지는 몸이 거기에 적응해서 그래도 일을 하고 있지만, 더 이상 넘어가면 아 나는 그걸 포기할래."하고 무의식적으로 말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음란한 사건조차도 도시에서 일어나지 않고 사고로만 무슨 생각만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음란이 실제적 행위로 흘러가지 않고 머리속에서 계속 일어나는 것이지요. 이런 사람들이야말로 시궁창에 사는 사람이라고 니체는 말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내가 그런 삶을 전혀 원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순간 보면 시궁창의 정신을 가지고 살게 될 수밖에 없는, 그런 삶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니체가 그렇게 살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짐승처럼 살라고 이야기합니다.


 

#


짐승처럼 산다고 하면 사람들이 "아 어떻게 사람이 돼서 짐승처럼 살아?"하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사실상 짐승이야말로 자신의 현재를 가장 잘 산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사유한다는 것은 시간 축과 공간 축을 나누어서 사건들을 이해해가는 것입니다. 그것은 시간을 공간 축과 시간 축으로 나눠서 분별해서 사유하는 것이지요. 반면에 짐승은 현재성 속에 공간과 시간을 완벽하게 응축 시켜서 그 하나의 사건 속으로 자신을 집어넣습니다. 그래서 먹이가 탁 앞에 놓이면 바로 그 먹이와 나의 관계에서 자신이 살아온 모든 삶들을 탁 취해서 오로지 그것과만 접근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분별력이 전혀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짐승 같은 삶이 별것 아닌 것처럼 보여도, 앞에서 말하는 시궁창의 정신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서는 훨씬 더 순진한 삶을 살고 있고, 오히려 그런 삶을 통해서 시궁창의 정신을 넘어서서 초인이 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와 같은 삶은 앞에 말하는 음란한 욕망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순진하게, 순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 전에는 욕망이 일어나면 욕망이라는 것에 대해 이런저런 가치판단을 붙여놓고 아 이런 것이 왜 일어났어, 이런 것이 없어야 하는데." 하면서 자기에게 말했습니다. 그러면 자기가 가지고 있는 가치체계와 그 욕망이 안에서 계속 이렇게 부딪히면서 자기 스스로에 대한 연민을 넘어서 자기 존재의 부정까지도 가기 쉬운 겁니다. 그렇지 않고 아 나는 이런 감각이 일어났구나."라고 보기 시작하면, 그 감각은 전혀 좋고 나쁘고 하는 것을 하기 이전에 온전히 자신의 삶을 드러내 보여준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그런 생각이 없는 것이 순진한, 순전한 삶이 아니라 그런 생각에 대해 편안한 보기가 이뤄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욕망을 실천하려는 행동 양상이 다른 것을 여기서는 감각을 순진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각을 순진하게 만든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자신의 삶의 현재성에 온전히 충실해져서 지금 여기를 잘 사는 것입니다. 이어서 분별의 과정을 통해서 시공간을 확장시켜서 언제어디서나 그런 삶을 살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 보면 "이야 그런 감각이 일어나면 너 못된 놈."이라고 말을 하면서 그런 감각을 죽여야지."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런 사람들은 영혼이 더럽혀지고 영혼 자체가 발정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가끔 가다가 , 그런 감각이 일어나면 너는 어떻게 정신이 썩고 속이 더러워서 그런 것을 하고 있는 거야. 나처럼 거룩한..." 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바로 영혼이 더럽혀지고 영혼 자체가 발정난 사람이고, 머릿속으로 그런 생각만 계속 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아주 강력히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각적 욕망을 부정하는 게 아니고 감각적 욕망과 내가 어떻게 관계를 구성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감각이 일어나면, 그 전에는 이게 더러운 것이니까 빨리 내 몸에서 사라지기를 바랐다면, 그런 생각이 없으면 마치 어린아이가 옆에 와서 재롱을 떨듯이, 자기 내부적 감각이 일어날 때 그 감각을 흐뭇한 눈으로 바라보면서 재미있는 쇼가 벌어진 줄 알게 됩니다. 영혼이 순결한 사람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런 욕망을 갖지 말라고 하는 게 아니고 그런 욕망이 발현되는 쇼를 너무나도 즐겁게 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그런 사람들은 실컷 웃는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너무너무 좋아서 온전히 그것에 대해 포복절도할 만큼, 그 쇼를 즐길 수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에게는 순결이라는 의미가 갖춰야할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 게 아니고, 저절로 살고 있는 삶 그 자체가 온전히 순결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을 한다고 했습니다. ‘내가 순결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순결이 우리를 찾아왔어요."라고 합니다. ‘이렇게 찾아온 순결 손님에게 사랑을 베풀고 잠자리를 마련해드렸죠. 그 후로 그냥 같이 살았습니다. 여기 머물고 있는 싶은 동안 계속 머물게 해드리죠." 따라서 욕망을 보는 코드를, 완전히 하나의 즐거운 쇼가 내외부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거기에 대해 즐겁게 볼 수 있는 눈을 가진 사람이 초인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 [노마씨의 저널산책] 21세기 정치철학 교본 수유너머웹진 2019.04.21 123
147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생활사(史)와 역사의 균열 수유너머웹진 2019.03.22 84
146 [대화의 반려들] 해러웨이와 울프의 대담 - 반려종 위치부여 수유너머웹진 2019.03.05 256
145 [노마씨의 저널산책] 대지의 우화, 들뢰즈와 해러웨이[Part 2] 수유너머웹진 2019.02.16 198
144 [대화의 반려들] 해러웨이와 울프의 대담 - 사이보그의 시작2 수유너머웹진 2019.02.08 72
143 [노마씨의 저널산책] 대지의 우화, 들뢰즈와 해러웨이[Part 1] 수유너머웹진 2019.02.07 928
142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독일혁명의 패배의 깊이로 수유너머웹진 2019.02.07 73
141 [대화의 반려들] 해러웨이와 울프의 대담 - 사이보그의 시작1 수유너머웹진 2019.01.22 172
140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전후 일본’이데올로기의 근원에서 부각된 비-일본인들의 목소리들 수유너머웹진 2019.01.07 65
139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살아 돌아온 병사들의 트라우마 속에서의 생존 수유너머웹진 2019.01.02 39
138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일본자본주의는 이렇게 작동해왔다 수유너머웹진 2019.01.02 65
137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게으름과 근면의 관계를 스스로 분배하는 노동을 위해 수유너머웹진 2019.01.02 46
136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일본인 위안부’ 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시도 수유너머웹진 2019.01.02 62
135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폭동과 학살의 남성성(후지노 유코, <도시와 폭동의 민중사 – 도쿄 1905-1923>) 수유너머웹진 2019.01.02 45
134 [해석과 사건12] 해석학적 순환의 존재론 file nomadia 2018.08.12 1041
133 [해석과 사건11] 사건과 의미의 발생 [1] file nomadia 2018.05.23 4422
132 [해석과 사건10] '자기'의 해석학과 수동적 초월 file nomadia 2018.04.08 1348
131 번역 :: 살아 돌아온 병사들의 트라우마 속에서의 생존 file Edie 2018.04.02 682
130 번역 :: 일본자본주의는 이렇게 작동해왔다 file Edie 2018.03.02 1058
129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4회 file 김민우 2018.02.23 7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