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강 두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이번 글은 정화스님의 2강 원고의 두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참고로, 이 코너의 앞에 업로드된 첫번째 ~ 다섯번째 강의는 1강을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올린 것 입니다.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계속)


이와 같이 정신의 모습을 세 번 탈바꿈 하는데, 기본적으로 우리가 수행을 한다거나 하는 것들은 니체의 말마따나 정신의 탈바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행의 ""은 정신활동입니다. 인지활동이지요. 이것을 이렇게 물어보면 대부분 사람들이 다 이라고 합니다. 이때 우리는 왜 이것을 컵이라고 부를까?’하고 물을 때, 아까 말한 대로 낙타에서 사자로 가려는 뭔 일이 벌어집니다. 당연히 컵이라고 하는데, 왜 이것은 컵일까? 하고 묻는 겁니다. 아기가 이 컵을 보고 재밌어서 가지고 놀다가 옆에 뭐가 있으면 콕콕 찍습니다. 컵이 바로 못을 박는 도구로 바뀌는 겁니다. 어린아이에게는 다른 양상으로 다가오기 시작하는 겁니다. 이렇게 볼 때, 물론 이것자체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이것의 이름을 결정하는 것은 이것 자체와 어떤 사람이 어떻게 만나느냐가 이것의 이름을 결정합니다. 나는 이것을 컵으로 부른다는 것은 나는 이것을 컵으로 쓰고 싶다.’는 겁니다. 나는 이것을 장난감으로 본다는 것은 나는 이것을 장난감으로 가지고 놀고 싶다는 겁니다. 이것으로 못을 박겠다는 것은, 나는 이것을 망치로 쓰고 싶다는 겁니다. 그래서 사물의 이름은 인간 사이에서 사물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그 사물을 어떻게 쓰고 싶으냐 하는 욕망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을 여기서 보면 낙타지요? 대부분 사람들은 나를 낙타라고 부릅니다. 누가 부릅니까? 지배 계급이 우리를 낙타라고 부릅니다. 제발 너희들은 생각을 갖지 말고 내가 말하는 대로 무거운 짐을 지고 살아달라고 말하는 겁니다. 그런데 갑자기 왜 나는 낙타인가? 하고 물으면서 그 투사된 욕망이 나에게 있는 게 아니고 외부적 조건에 있는 것인 줄 탁 보는 순간, 나에게 오는 외부적 욕망의 코드가 단절됩니다. 드디어 내가 낙타로 안보이기 시작합니다. 마찬가지로 내가 외부를 볼 때도 마찬가지로, "아 나는 외부를 어떻게 봤던가?" 아마도 내 욕망을 투사해서 외부를 보고 있었구나. 즉 외부의 이름에 의해 보였던 사물들의 성격은, 내가 어떻게 욕망하고 있느냐가 그 사물의 이름과 성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낙타의 세계는 불교에서 말하는 욕망의 세계, 물론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욕망의 세계인 욕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욕계가 더 이상 나에게 쓸모없어 질 때, "도대체 나는 왜 이런가?" 라고 자기 자신이 세상을 보던 기존의 프레임을 내려놓고 "도대체 무엇인가?" 라고 보기 시작할 때 사물에서 욕망이 떨어져 나갑니다. 예를 들어 만원짜리를 자기 아이가 가지고 놀다가 찢어버리는 경우라면, 나는 속은 상하겠지만 그것가지고 크게 혼을 내지는 않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아주 비싼 무엇을 속없는 아이가 탁 깨뜨립니다. 100만원짜리라고 할까요? 그러면 만원짜리를 깨뜨렸을 때 느끼는 심리적인 동요보다 100배 까지는 아니어도 2~3배 정도는 강할지 모릅니다. 그런데 그것이 이 지구상에 거의 없는 어떤 것이라고 말해지는 것이라면, 더군다나 그것이 나를 상징하는 어떤 것이라고 이야기되는 것이라면 자기를 잃은 것처럼 그렇게 화가 날 것입니다. 그런데 아까처럼 여기에 투사하는 욕망을 걷어놓고 보면, 그저 나와 다른 양상으로 만나고 있는 어떤 것들일 뿐입니다. 그러면 이것이 나에게 내 심리적 상황을 요동시키지 않는 상태가 나옵니다. 사물이 그저 나와 만나는 상태로, 내가 욕망에 쫒기거나 심리적 동요가 일어나지 않고 사물과 사람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진 세계를 색계라고 합니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줄 아는 눈을 가진 세계입니다. 이렇게 되면 사물들의 존재양상이 비치기 시작합니다.



스님은 위의 컵과 같은 대상을 내 욕망에, 내가 붙인 이름에 얽매이지 않고 바라볼 수 있는 경지를 말씀하십니다. 

나아가 뒤에서는 관계 자체를 보는 경지가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출처: "Wikipedia mug".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위키미디어 공용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Wikipedia_mug.jpg#/media/File:Wikipedia_mug.jpg



우리는 여자, 남자라고 하면 너무나 당연히 여자는 여자, 남자는 남자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상 남자가 없다면 여자라는 이름을 가진 것도 없습니다. 특히 남성이 가진 Y염색체가 양성 모두가 갖고 있는 X염색체보다 정보량도 100배쯤 적고, 크기도 아주 작다고 합니다. 게다가 계속계속 조금씩 정보가 부스러져간다고 합니다. 지금 속도대로 간다면 앞으로 25만년 정도가 지나면, Y염색체가 지구상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어떤 학자의 말에 의하면요. , XY가 만나서 후손을 만들 수 있는 체계가 사라지는 겁니다. 반면에 어떤 다른 학자는, "아니다 Y염색체만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정보가 있기 때문에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25만년이나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니까, 알 수 없는 일이지요 허허. 만약 Y염색체가 없어진 25만년 뒤라면, 우리가 여성이니 남성이니 하는 말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엄마나 아빠라는 말도 너무나 당연한 말입니다. 엄마나 아빠는 자식이 없는 순간 아무도 엄마나 아빠라는 이름을 갖지 못합니다. 아내, 남편, 모든 이름들이 그렇습니다.


계속해서 어떤 존재가, 내가 어떤 욕망을 통해서 이름이 붙여지고 그 이름을 떼어내면 그런 것과는 상관없이 있습니다. 또 다른 양상으로는 이런 이름의 관계성처럼 세계가 보이지 않는 관계성으로 연결되니까, 세계의 보이지 않는 관계성에 대한 눈을 뜨게 됩니다. 이런 세계를 무색계라고 합니다. 보통은 관계성은 눈에 안 띄잖아요? 관계를 맺고 있는데, 부모와 자식이 있으면 부모가 있고 자식이 있다고 하지, 부모를 만들어준 자식이 함께 이런 연결성 즉, 도를 가지고 서있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게 보통입니다. 그런데 무색계에서는 그런 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욕망과 색계와 무색계라는 것을 통해서 세계가 어떻게 이뤄지는가에 대한 정신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

이런 것들은 요즘 우리들이 자각을 통해서 이해 된 것이고, 우리의 몸은 이런 것을 이해하기도 전에, 혹은 몸 스스로가 이해하면서 계속해서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어떤 여성분이 여성 단독으로는 처음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탔습니다. 그분은 유전자의 자리바꿈을 발견하셨습니다. A라는 부분에 있던 유전자가, 다시 보니까 B라는 부분에 가있더랍니다. 그런데 이분이 이 말을 하기 전까지 유전학자들은 단 한번도 A에 있던 정보가 B로 갈 수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런 게 옥수수 연구를 통해서 현실적으로 드러나게 된 겁니다. 그런데 기존의 사고를 통해서 도대체 이해되지 않는 일들이 벌어지니까, 이분은 기존에 있는 사고를 전부 내려놓습니다. 기존에 있는 모든 사고들을 아무리 조합해봐야 지금 이 이일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다 내려놓고 나니 뭐가 받아들여지냐 하면, 유전자가 자리바꿈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받아들여지는 겁니다. 그 전까지 유전자는 절대로 자리바꿈 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생각으로는 자리바꿈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 겁니다. 그래서 가만히 옥수수 밭에 앉아서 고민합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모르겠다..."하고 앉아있으니까 옥수수가 이렇게 말해줍니다. "원래 유전자가 자리가 바뀌어요." 라고요. 그분 책에도 이렇게 나옵니다. "옥수수가 말해줘요."라고요. 진짜 옥수수가 말해주는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풀리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옥수수 밭에 앉아서 고민을 했던 겁니다. 그런데 그분이 옥수수 밭에 앉아서 하는 것이나 걸어가면서 했던 것이나, 그 행법이 불교에서 말하는 "워킹 메디테이션"이나 "좌선 수행" 비슷한 행위를 자기도 모르게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자기도 모르게 고대 승려들이 수행했을 때 썼던 방법을 하고 있더라는 겁니다.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정신활동을 내려놓으면 거기에서 다른 답이 나오는데, 그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이처럼 우리의 관계를 구성해줄 때 전혀 다른 양상들이 현실적으로 일어나는데, 그런 일들은 자각하기 이전에 우리 몸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던 겁니다.

 


#

이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암컷 쥐가 수컷 쥐를 짝으로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방법은 수컷 쥐가 어떤 냄새를 풍기는가?’로 판단하는 겁니다. 그런데 그런 좋은 냄새를 풍기는 수컷 쥐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될 텐데 몇 마리가 있다면, 어떤 수컷 쥐가 먹이를 더 많이 물어오는가? 보니, 먹이를 더 많이 물어오면서 자기에게 호감이 가는 냄새를 풍기는 수컷 쥐와 짝짓기를 한답니다. 쥐들만 그런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스위스의 무슨 베른에 있는 대학에서 청춘남녀들을 데리고 실험을 해봤답니다. 남자들에게 런닝셔츠만 입고 한 여름에 운동장에서 계속 뛰게 만듭니다. 땀이 잘 묻은 이 셔츠를 비닐봉지에 그대로 넣어두고, 아주 코가 예민한 젊은 여성들에게 나눠줍니다. 어떤 땀 냄새가 마음에 드느냐? 라고 물었더니, 전부 다 놀랍게도 서로 달랐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뭐냐 하면, 자기와 다른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는 수컷에서 나는 냄새를 좋아하는 겁니다. 쥐도 그렇고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남녀가 만나서 결혼할 때, 그 상대방의 면역체계가 직접적으로 자기에게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후손에게는 영향을 줍니다. 물려주는 거지요. 내가 짝짓기를 할 때 알게 모르게 내 후손들이 어떻게 하면 병에 덜 걸리고 잘 살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결정해가는 겁니다. 의식이 하는 일이 별로 없지요? 왜냐하면 후각 망울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가장 일찍 형성된 지각활동인데, 의식에 잘 잡힐 때는 이미 그 일이 벌어지고 난 다음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것보다 더 놀라운 일이 있습니다. 이 면역체계를 결정하는 유전자는 몇 가지 분자들의 조합으로 일어나는데, A라는 분자는 백가지 사슬을 가지고 있고, B라는 유전자는 열 가지, C는 네 가지, D는 하나의 사슬만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이 조합되면 면역 세포가 되는데, 이때 부모로부터 전혀 물려받지 않은 면역 활동도 이 안에서 하나씩 꺼내서 조합을 시킵니다. 그러면 부모에게 전혀 물려받지 않았던 새로운 면역 세포를 만들어 내는 겁니다.



, 그러니까 세상은 우리가 알기도 전에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동시에, 외부적 인연에 따라서 항상 자기를 변이시켜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은 변이가 잘 안됩니다. 낙타는 변이가 잘 되지 않고, "정말 너는 착해, 너는 훌륭해"라고 들은 게 쌓이면 극단적인 사람은 아이히만처럼 되고 맙니다. 아이히만은 유태인을 학살했을 때 아주 모범적인 공무원이었습니다. 위에서 내려온 공문서의 명령을 그렇게 잘 실행하는 공무원이었습니다. 그런데 너무나 평범한 이웃집 아저씨처럼 생겼습니다. 자각 없는 공무원 활동은 큰 문제가 된다는 겁니다. 이 책에도 공무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요? 그러면 도라는 것은,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듯이 통루라고 했는데, 이런 것들이 그런 것입니다. 이전에는 전혀 없었다가 새로운 면역체계를 만들어가면 도의 모양을 새로 만들어내는 겁니다. 언제 만들어집니까? 만일 일정한 양상으로 병원균이 계속 들어오면 전혀 새로운 면역체계를 만들 필요가 없는데, 갑자기 다른 놈이 들어오는 겁니다. 낙타로 살다가 외롭기 짝이 없는 사막을 만나지 않으면 "나 그런대로 잘 살았어"하면서 사자가 될 이유가 전혀 없는데, 다른 병이 쏙 들어오는 겁니다. 그때 정신을 바짝 차리고, "아 내가 나를 스스로 물어서 정신을 바꿔내지 않으면 안 되겠다."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이렇게 정신을 바꿔서 어린아이까지 가면 어떤 상태가 되느냐 하면, 자기 가는 곳마다 그곳이 삶의 진리를 실천하는 곳이고, 그 삶의 주인공이 된다고 임제 스님은 이야기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이렇게 부릅니다. "수처작주 입처개진"이라고요. 가는 곳마다 주인공이 되면, 자기가 있는 곳마다 다 진실한 삶의 자리가 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자기 자리는 진실한 자리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뭔가 진실한 자리가 있고 그 자리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생각들을 하는데, 이런 자리는 대체로 낙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것을 이 책에서는 "천년 동안 만들어진 가치관"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사실상 천년동안만 만들어진 게 아니지요. 훨씬 오랫동안 우리들에게 그런 가치관이 있고, 그런 가치관이 우리에게 명령을 하지요. ‘너는 마땅히 이렇게 해야 하느니라."라고요. 책에서는 아예 명령하는 사람의 이름을 그렇게 지었습니다. "마땅히 너는 ~할지어다."라는 이름을 가진 거대한 용. 힘센 용이 항상 우리에게 "너는 ~을 해야 하느니라."라고 말합니다.



#

그런데 사자가 되면 그 말을 탁 물고, ‘나는 이것을 의지해"라고 말합니다. 이것도 옛날 선서에 많이 나옵니다. "돌을 던지면 개는 돌을 쫓아가고 사자는 돌을 던진 사람을 문다."고 말입니다. 사자가 되는 것은 돌을 던지는 사람을 물어서 승리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이 일은, "니가 ~을 말하는 것은 다 헛소리고, 내가 니 얘기를 따라 하는 것도 다 헛소리"라고 말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그런데 이 헛소리라는 것을 알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천상의 노래"라고 번역된 [바가바드기타]라는 책이 있습니다. 간디의 마지막 시대에 함께 인도의 독립운동을 했던 분인데, 여러 가지 정치적인 이유로 감옥에 갇혀있으면서 바가바드기타를 해석해 책으로 낸 것이 한글말로 번역된 것이 있습니다. 번역판 제목은 [천상의 노래]입니다. 바가바드기타의 바가바드라는 말이 천상이고, ‘기타노래니까, 직역을 한 것이죠. 그런데 그 중간에 보면 이런 대목이 나옵니다. 요즘 교육은 너무나 서로 간에 경쟁을 시켜서 그것이 사람을 만들고 사람을 살게 하는 교육이 아니라는 말이 나옵니다. 여기까지 들어보면 아마 수긍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그 뒷말을 들어보면 그런가?" 하실 겁니다. ‘그런데 우리 힌두교에서 이야기하는 이 교육은 얼마나 좋은가? 아버지가 나무에 올라가서 과일을 따는 직업을 가졌으면, 아버지가 신으로부터 과일 따는 직업을 의무로 부여받은 것이다. 아들은 그것만 따라하면 된다."라고요. 그러면 그 부여받은 영역들은 다른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들어오면 안 됩니다. 소를 잡는 백정이 과일을 따먹으러 올라가면 신의 의무를 저버리는 행동을 하는 것이라 벌을 받게 됩니다. ‘그러면 거기에는 절대 경쟁도 없고 교육도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얼마나 좋은가?’라고 이야기하는데, ‘아 나는 나무에서 과일을 안 따고 나가서 IT를 하고 싶어"하면서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사실상 인도가 이미 현실적으로는 그런 전통이 깨져있지요. 인도의 각 주마다 우리나라의 카이스트 같은 대학이 있어서 굉장한 IT역량을 나타내고 있다고 합니다. [천상의 노래]라는 책처럼, 우리로 하여금 그 안에 숨어있는 내용은 카스트 밖으로 가는 것이라도, 어느 순간이 되면 이처럼 낙타가 되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들이 있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를 니체가 하고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 [노마씨의 저널산책] 21세기 정치철학 교본 수유너머웹진 2019.04.21 123
147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생활사(史)와 역사의 균열 수유너머웹진 2019.03.22 84
146 [대화의 반려들] 해러웨이와 울프의 대담 - 반려종 위치부여 수유너머웹진 2019.03.05 256
145 [노마씨의 저널산책] 대지의 우화, 들뢰즈와 해러웨이[Part 2] 수유너머웹진 2019.02.16 198
144 [대화의 반려들] 해러웨이와 울프의 대담 - 사이보그의 시작2 수유너머웹진 2019.02.08 72
143 [노마씨의 저널산책] 대지의 우화, 들뢰즈와 해러웨이[Part 1] 수유너머웹진 2019.02.07 928
142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독일혁명의 패배의 깊이로 수유너머웹진 2019.02.07 73
141 [대화의 반려들] 해러웨이와 울프의 대담 - 사이보그의 시작1 수유너머웹진 2019.01.22 172
140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전후 일본’이데올로기의 근원에서 부각된 비-일본인들의 목소리들 수유너머웹진 2019.01.07 65
139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살아 돌아온 병사들의 트라우마 속에서의 생존 수유너머웹진 2019.01.02 39
138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일본자본주의는 이렇게 작동해왔다 수유너머웹진 2019.01.02 65
137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게으름과 근면의 관계를 스스로 분배하는 노동을 위해 수유너머웹진 2019.01.02 46
136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일본인 위안부’ 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시도 수유너머웹진 2019.01.02 62
135 번역 :: [가게모토 츠요시] 폭동과 학살의 남성성(후지노 유코, <도시와 폭동의 민중사 – 도쿄 1905-1923>) 수유너머웹진 2019.01.02 45
134 [해석과 사건12] 해석학적 순환의 존재론 file nomadia 2018.08.12 1041
133 [해석과 사건11] 사건과 의미의 발생 [1] file nomadia 2018.05.23 4422
132 [해석과 사건10] '자기'의 해석학과 수동적 초월 file nomadia 2018.04.08 1348
131 번역 :: 살아 돌아온 병사들의 트라우마 속에서의 생존 file Edie 2018.04.02 682
130 번역 :: 일본자본주의는 이렇게 작동해왔다 file Edie 2018.03.02 1058
129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4회 file 김민우 2018.02.23 7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