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동영상] 나를 찾아가는 물음, 그 문학여정 (8강) / 송승환

2015_나를 찾아가는 문학여정2_편집.jpg

 

▶▶강좌를 클릭하면, 관련 동영상으로 이동합니다.

일시 강사 나를 찾아가는 물음, 그 문학여정 (8강) 길이 비고 출처
2015년 송승환

1강 시가 내게로 왔다! -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1:55분

샘플강의

아트앤스터디
// // 2강 삶, 답이 없는 질문! - 파블로 네루다

1:52분

유료

//

// //

3강 나는 떠난다! 저 무한과 영원으로! - 아르뛰르 랭보

1:52분 유료 //
// //

4강 젊은이의 고독과 예술 - 제임스 조이스

1:48분 샘플강의 //
// //

5강 서울, 이상과 우울 - 김승옥

2:01분 유료 //
// //

6강 고향, 애수의 여정 - 가와바타 야스나리

1:51분 유료 //
// //

7강 시골에서 도시로! 도시에서 시골로! - 체사레 파베세

1:56분 유료 //
// //

8강 가족, 이해와 연민 - 유진 오닐

1:47분 샘플강의 //
관련도서

비평집 『전체의 바깥』, 송승환, 2019, 문학들 

비평집 『측위의 감각』, 송승환, 2010, 서정시학

 

나를 찾아가는 물음, 그 문학여정

문학 작품 안에서 도전과 모험, 사랑과 절망을 마주한다. 네루다에서부터 김승옥까지 종횡 무진 문학 기행. 시와 소설, 희곡을 넘나들며 어떻게 문학을 통해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이번 강좌는 우리가 꿈을 꾸면서 미지의 세계 혹은 도시를 향해 떠났던 삶의 기원, 그 여정과 회고에서 겪은 방황과 모색, 고독과 희열, 젊음과 늙음, 그리고 노동과 가족의 의미를 살펴본다.

 

문학으로 동행하는 '성숙한 인간'을 향한 여정

우리는 저마다의 꿈을 성취하기 위해 고향을 떠났고 그 미지의 삶을 이루기 위해 도시로 왔다. 우리는 어디에도 쉽게 고향이라고 말할 수 없는 도시에 살고 있다. 그렇게 우리가 시골에서 도시로, 도시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동안 우리는 꿈을 잃었고 삶의 고향과 삶의 의미를 잃었다.

그러나 우리가 소년과 소녀였을 때, 우리에게는 꿈이 있었고 도전과 모험이 있었다. 지금과 다른 삶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지금과 다른 삶을 위한 도전 속에서 고독과 희열, 사랑과 이별, 도전과 실패를 경험하면서 삶은, 답이 아니라 어떻게 할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 라는 질문의 연속이었으며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모색과 성찰의 과정이었음을 알고 있다. 그 과정이 곧 성숙한 인간이 되어가는 여정이었음을 알아가고 있다.

이번 강좌는 그 소년과 소녀, 그들이 꿈꾸는 미지(未知)로의 모험에 동참하고 그들이 겪는 도전과 모험, 이상과 우울, 성공과 좌절의 행로 속에서 성숙해가는 한 인간의 삶을 살펴볼 것이다. 이번 강좌를 해 우리는 한 편의 시 속에 담긴 삶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묻고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고뇌하는 내면의 풍경과 희곡 속 주인공의 눈물이 다름 아닌 우리들의 것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강사소개 :: 송승환 (시인, 문학평론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3년 『문학동네』 신인상 시부문과 2005년 『현대문학』 신인추천 평론부문에 각각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겸임교수와 계간 『시와 반시』 편집위원을 역임하고 현재는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교수로 재직하면서 계간 『작가세계』와 『문학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드라이아이스』 (시집, 문학동네,2007)
『측위의 감각』 (비평집, 서정시학, 2010)
『클로로포름』 (시집, 문학과 지성사,2011)
『김춘수와 서정주 시의 미적 근대성』 (국학자료원,2011)
『당신이 있다면 당신이 있기를』 (시집, 문학동네, 2019)
『전체의 바깥』 (비평집, 문학들, 201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8 [칼슈미트 입문강의] 6강 세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6.08.31 5705
207 [해석과 사건7] 주체와 타자-코기토의 전복 [1] file nomadia 2017.09.05 5603
206 [해석과 사건11] 사건과 의미의 발생 [1] file nomadia 2018.05.23 4423
205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1)-다나해러웨이 인터뷰 [4] file compost 2017.10.10 4158
204 [해석과 사건4] 아르케는 아페이론이 아니다 수유너머웹진 2016.10.07 3761
203 [해석과 사건8] 데카르트와 프루스트-삼중의 질서와 타자의 왜상 file nomadia 2017.11.08 3125
202 [헤러웨이] 선언의 사상가 다나 해러웨이 file admin 2017.12.25 2986
201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3회 file 김민우 2018.01.20 1596
200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다나해러웨이 인터뷰(2편) file compost 2017.10.20 1443
199 [해석과 사건10] '자기'의 해석학과 수동적 초월 file nomadia 2018.04.08 1349
198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1회 김민우 2017.11.02 1293
197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하기(1) file compost 2017.12.31 1234
196 [해석과 사건9] [보론 1] 들뢰즈에게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란 무엇인가? file nomadia 2018.02.06 1174
195 [동영상]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 이진경 file oracle 2020.09.05 1095
194 번역 :: 일본자본주의는 이렇게 작동해왔다 file Edie 2018.03.02 1058
193 [해석과 사건12] 해석학적 순환의 존재론 file nomadia 2018.08.12 1041
192 번역 :: ‘일본인 위안부’ 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시도 [2] file Edie 2017.09.19 990
191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 하기(2) file compost 2018.01.03 943
190 [노마씨의 저널산책] 대지의 우화, 들뢰즈와 해러웨이[Part 1] 수유너머웹진 2019.02.07 928
189 [동영상]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 최유미 file oracle 2020.07.07 92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