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
[칼슈미트 입문강의] 6강 세번째 부분
| 수유너머웹진 | 2016.08.31 | 5695 |
207 |
[해석과 사건7] 주체와 타자-코기토의 전복
| nomadia | 2017.09.05 | 5506 |
206 |
[해석과 사건11] 사건과 의미의 발생
[1] | nomadia | 2018.05.23 | 4146 |
205 |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1)-다나해러웨이 인터뷰
[4] | compost | 2017.10.10 | 4122 |
204 |
[해석과 사건4] 아르케는 아페이론이 아니다
| 수유너머웹진 | 2016.10.07 | 3709 |
203 |
[해석과 사건8] 데카르트와 프루스트-삼중의 질서와 타자의 왜상
| nomadia | 2017.11.08 | 2992 |
202 |
[헤러웨이] 선언의 사상가 다나 해러웨이
| admin | 2017.12.25 | 2930 |
201 |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3회
| 김민우 | 2018.01.20 | 1537 |
200 |
[헤러웨이] 선언과 함께하기-다나해러웨이 인터뷰(2편)
| compost | 2017.10.20 | 1381 |
199 |
번역 :: [칸트의 경험의 형이상학] 번역 _ 1회
| 김민우 | 2017.11.02 | 1283 |
198 |
[해석과 사건10] '자기'의 해석학과 수동적 초월
| nomadia | 2018.04.08 | 1224 |
197 |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하기(1)
| compost | 2017.12.31 | 1141 |
196 |
[해석과 사건9] [보론 1] 들뢰즈에게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란 무엇인가?
| nomadia | 2018.02.06 | 1052 |
195 |
번역 :: 일본자본주의는 이렇게 작동해왔다
| Edie | 2018.03.02 | 1050 |
194 |
[동영상]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 이진경
| oracle | 2020.09.05 | 994 |
193 |
[해석과 사건12] 해석학적 순환의 존재론
| nomadia | 2018.08.12 | 985 |
192 |
번역 :: ‘일본인 위안부’ 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의 시도
[2] | Edie | 2017.09.19 | 984 |
191 |
[노마씨의 저널산책] 대지의 우화, 들뢰즈와 해러웨이[Part 1]
| 수유너머웹진 | 2019.02.07 | 885 |
190 |
[해러웨이] 반려종과 실뜨기 하기(2)
| compost | 2018.01.03 | 849 |
189 |
[동영상]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 최유미
| oracle | 2020.07.07 | 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