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4강 네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이번 글은 정화스님 강좌 4강의 네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그 전의 강의는 이 웹진의 지난 글을 확인해주세요.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4강의 책 범위| Ⅰ번 책:87~104쪽, Ⅱ번 책:89~107쪽]







 15장은 ‘천, 그리고 한 개의 목표’ 장입니다.(Ⅰ:93, Ⅱ:96) 첫 번째 줄에 보면 ‘짜라두짜는 여러 지역, 여러 인민을 봤어. 여러 지역, 여러 인민의 선과 악을 봤지." 선과 악이라고 하면, ‘어떤 것이 선이고 어떤 것이 악입니까? 분명하니 이야기해주세요."라고 할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엔 ‘이것은 선이고 저것은 악"이라고 명료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사람을 죽이는 것이 도덕 기준에서 절대적으로 나쁘다고 이야기하지만, 전쟁터에서는 사람을 많이 죽이면 ‘너는 정말 훌륭한 일을 했어."라고 훈장을 계속 주지요. 기준이 전적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따라서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합니다. 선과 악에 대한 기준보다 이 세상에서 더 큰 힘을 휘두르는 존재는 못 봤다고요. 기준은 자신을 가지고 들락날락 합니다.


 그것이 뭡니까? 아까 외부에서 오는 눈이 나로 하여금 어떻게 살라고 이야기하는 겁니다. 우리는 어렸을 때 어른들은 전부 다 어린이가 원하는 힘을 가지고 있고, 그분들은 사건을 잘 판단하는 눈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태어나서 자기에게 접근해오는 외부는 자신의 삶을 판단하는 기준을 가지고 있는 대단한 존재인 것입니다. 그래서 그 대단한 존재의 판단에 어긋난 일을 한다는 것은 어린아이로서는 감히 상상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계속해서 잘 맞춰갑니다. 그러면 어떤 일이 벌어지느냐? 조화를 이루는 것이 아니고 내부의 자아가 온전히 억제되는 일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이것은, 외부의 힘은 절대적으로 크고 내부의 힘은 약해서 어린아이와 어른 사이에서 조화가 결코 이뤄지지 않습니다. 때문에 어른은 그걸 행해서 무엇인가 어른 같은 그런 느낌을 얻을지는 모르지만 어린아이는 그걸 통해서 자기 억제가 극대화됩니다. 그래서 지나가는 소리로, ‘야 너 어떻게 이런 말을 해?"라고 하면, 보통 때는 잘 넘어가는 말도 어떤 경우에는 자기억제를 해놓은 그 부위를 슬쩍만 건들면 내부적으로 폭발이 일어나서 화가 펑 나는 것이지요.


 그래서 그 삶의 기준을 정하는 선과 악의 기준은 자기 전 생애에서 어떤 때는 아주 조화롭게 되지만 많은 경우엔 부조화를 이루는 칼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육조스님께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기를 쫓아온 혜명 상좌에게, ‘그대는 왜 나를 쫓아왔는가?"라고 합니다. 이 과정을 잘 모르신 분들을 위해 잠깐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달마대사는 많이 들어보셨지요? 달마대사는 인도에서 옵니다. 그래서 선을 전합니다. 달마 이후로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 이런 순서입니다. 그래서 혜능이 여섯 번째, 육대조사입니다. 그런데 혜능은 묘하게도 머리를 깎기 전에, 그 안에서 충분히 공부를 잘 하기 전에 즉 스펙을 쌓기도 전에 깨달아버리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스펙을 잘 쌓아서 깨달았으면 그야말로 숭상을 받았을 텐데, 엊그제 들어온 뭣도 모르는 놈이 갑자기 깨달아버리면 ‘이 자리에서 30년 40년 살아온 나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이야?’라고 하는 말을 들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그런 분위기 속에서 가만 놓아두면 시기와 질투를 당해서 생명의 위험이 있을까봐 오조 홍인대사가 ‘야 너 빨리 도망가"라고 이야기합니다. 잠깐 들어보세요. 이야기가 옆으로 샙니다만. 도를 닦겠다고 오는 집단입니다. 그리고 오조 홍인이라는 강력한 사부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 밑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신출내기가 도를 깨달으니까 아무도 마음속으로 ‘정말 잘했어."라고 수긍을 못합니다. 도를 닦는다는 사회에서도 이런 일들이 쉽지 않습니다. 꼭 도만 해당하겠습니까? 사회의 다른 많은 분야에 그런 일들이 형성됩니다. 자, 그래서 니체는 그런 바운더리를 제발 벗어나서 살라고 합니다. 기준을 스스로 만들어 사는 고독자가 되라는 말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이런 데에 있습니다. 여하튼 혜능이 거기 있다가는 목숨이 위태로우니까 도망을 가는데, 어떤 놈이 와서 ‘우리의 법을 가지고 도망갔다."고 하며 ‘저놈 잡아서 혼을 내줘야겠다."하고 쫓아갑니다. 여럿 가긴 갑니다만 그 중 장군을 했었던 혜명이라는 스님 한분이 끝까지 쫓아옵니다. 그래서 더 이상 도망갈 데가 없어서, 법을 상징하는 자루를 여기다 놔두고 "가져가라"고 두고 목숨이 위태로우니까 숲 속에 숨어있지요. 그런데 ‘아 잘됐다."하고 이걸 들려고 하는데 못 듭니다. 소설이니까 그렇겠지요 허허. 그래서 혜명 상좌가 깜짝 놀랍니다. ‘아 이거 별거 아니니까 한대 쳐서 빼앗아가려고 했더니 안 되겠구나."하고 딱 마음을 내려놓고 ‘저는 이걸 가지러 온 게 아니고 법을 위해서 왔습니다."라고 빨리 서사를 바꿉니다. 그때 해주는 말입니다. ‘그대가 진정으로 법을 원한다면....", 우리는 선악을 잘 구별하라고 했는데, ‘....선도 선이라 하지 말고 악도 생각하지 말라." 사실 이렇게만 꼭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때 혜능이 혜명에게 한 말은 ‘선악을 생각하기 이전의 너의 본래면목이 무엇인가?"라고요.


 이때 선악은 이미 본래면목에서 한 발짝 색깔이 입혀진 것입니다. 그러니 다시 말해서 ‘그 색깔이 입혀지기 전에, 아까 네가 이것을 원했을 때’라는 겁니다. 어떻게 보면 원하는 것은 안 좋은 행위지요? 그런데 법을 위하는 것은 좋은 행위입니다. 그러니까 이 한순간에 좋고 나쁜 것이 자기의 행위 속에 다 드러난 겁니다. 그래서 ‘혜명상좌, 이런 행위 이전의 자네는 누군가?’ 라고 이렇게 묻습니다. 그 때 깜짝 놀라면서 ‘선도 악도 발현되기 이전의 자기"와 한순간에 계합이 됩니다. 그래서 덕분에 혜명스님도 깨달음을 이뤘다는 것이 그 이야기에 나옵니다. 


 자, 이처럼 가치평가가 일어나기 이전의 자기로 가는 것이야 말로 대단한 일인데, 세상은 그렇게 하지 않고 이미 밖으로 나타난 사건 즉, 본질적인 사건이 아니고 비본질적인 사건에 의해 생사가 왔다갔다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선과 악을 규정하는 규정자들이 있지요. 그 규정자들에 의해 세상이 휘둘리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 ‘인민은 가치평가를 하지 않고 존재할 수 없어."라고 이야기합니다. 내가 고독자가 되면 견딜 수가 없습니다. 고독자가 된다는 것이야말로 새로운 가치평가로 세상을 온전히 살아내는 능력을 뜻하는데, 그런 능력을 습관적으로 익혀본 적이 태어나서는 별로 없습니다.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가족의 품 안에 들어가면 가족의 품이 선악의 기준 틀이 됩니다. 어린아이는 그 선악의 기준 틀에서 각 가문마다 약간 차이는 있을지언정 근원적으로는 그 가문이 만들어놓은 가치평가 속에 들어가서 고독자로 자라나지 못합니다. 우리말에 이런 말도 있습니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고요. 아, 모난 생각을 하면 안 되는 줄을 너무 잘 알았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어렸을 때 들은 이야기 중에는 이런 것도 있지요. 겨드랑이 밑에 날개가 있어서 하룻밤 사이에 어디로 가는 사람이 있는데, 결과적으로 그런 사람들은 전부 다 관군에 잡혀서 시체도 어디로 갔는지 모르게 됐다는 이야기를 요. 어렸을 때 여러 번 들었을 겁니다. ‘가치평가 밖으로 나가면 너는 살 수 없어."라고 계속 이야기하는 겁니다.


 아마 이 가치평가와 사회현상으로 약간 비슷한 것이 내부고발자입니다. 내부고발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정착하고 있는가를 보면 선과 악 속에 들어가지 않는, 존재성이라는 것을 살피기가 대단히 어렵지요. 그것이 우리를 대단히 옥죄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벗어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렵습니다. 더구나 그것에 대한 미덕이 역사에 켜켜이 쌓여있어서 어디에서는 뭐라고 말하고, 율법서는 뭐라고 말하고, 독일에서는 뭐라고 말하고, 어디에서는 또 뭐라고 말하고 등등. 계속해서 가치평가를 부여하고 그렇지 않으면 너는 살 수가 없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런 일들이 지금까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그렇게 가치체계나 선악을 구별하는 것은 그냥 하는 게 아니고 그런 것을 통해서 우리 삶에 에너지를 덜 소비하고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그런 일을 했던 것이었는데, 우리가 만들어놓은 가치였던 것임에도 불구하고, 만든 자는 어디로 가버리고 만들어진 사물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창조자가 피조물이 되고, 피조물이 창조자가 돼서 우리로 하여금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게 했던 전도된 생각, 그래서 허망한 생각이라고 말을 합니다.


 본래의 사람이라는 말은 니체가 생각할 때는 가치평가라는 일을 스스로 능동적으로 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당신이 사람으로 살려면 창조자가 돼서 가치평가를 하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만일 가치평가를 하지 못한다면 사람이라는 의미를 상실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태어난 어린이가 스스로 세상에 자기 가치평가를 만들어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배경이 되는 것은 좋은데, 만들어진 가치판단을 전해주면서 ‘그렇게 살아"라고 말하는 것은 사람처럼 잘 사는 것처럼 보여도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본래적 의미를 상실한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가치평가가 없다면 만물은 껍질만 있게 돼."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아마 어떤 시인은 껍데기는 가라고 이야기를 했는지 모릅니다. 우리 사이를 뒤덮고 있는 것들이 굉장한 것처럼 보여도 껍데기만 있는 것이죠. 그래서 니체는 말합니다. ‘잘 들어 자네. 자네 그런 사람 아니지 않는가? 자네야말로 창조적 인간이야. 가치관이 바뀌었다는 것은 창조자가 바뀌었다는 것을 뜻해. 창조자가 돼야만 사람은 기존의 창조자를 파괴할 수 있어."라고 이야기합니다. 기존의 창조자를 파괴하는 것이야말로 생물이 역사를 두고 살아온 근본 생명의 법칙입니다. 우리 내부적으로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하는 메뉴얼이 잘 갖추어져 있고 그 메뉴얼대로 실천하는 것이 가장 가치 있는 일처럼 내부적으로 잘 저장되어 있지만, 환경의 변화가 오면 스스로 그런 것들을 잘 바꿉니다. 또한 부모는 자식이 태어날 때 ‘너는 나처럼 살지 말고 환경과 접해서 너 스스로 네 인생을 만들어라."라고 하면서 후성유전체를 완벽하게 오픈시켜줍니다. 자기 자신이 만들어놓은 습관 등등, 유전자의 스위치의 켜지고 꺼짐 등등을 자기는 갖추고 있지만, 이 갖추어진 후천적 체계를 자식들에게 절대 물려주지 않고 그것을 자식들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전해주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식들이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가서 다른 세계를 창조해내는 것이 너무나 분명한데 우리는 그런 것에 대해 마음 편히 보지 못하지요. 그래서 그런 일을 젊은 사람들은 꼰대의 눈이라고 그렇게 부릅니다. 허허. 꼰대의 눈을 내려놓고, 10분간 휴식하겠습니다.

 

 

(4강 1부 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 [칼 슈미트 입문 강의] 2강 세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2.25 36
47 [칼 슈미트 입문 강의] 2강 두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2.18 50
46 [칼 슈미트 입문 강의] 2강 첫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2.12 84
45 [칼 슈미트 입문 강의] 1강 질의 응답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2.04 50
44 [칼 슈미트 입문 강의] 1강 다섯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1.28 69
43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5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1.25 8
42 [칼 슈미트 입문 강의] 1강 네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1.20 65
41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5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1.18 14
40 [칼 슈미트 입문 강의] 1강 세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1.13 66
39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5강 첫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1.11 13
38 [칼 슈미트 입문 강의] 1강 두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1.06 89
37 [칼 슈미트 입문 강의] 1강 첫 번째 부분 수유너머웹진 2015.10.31 212
36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4강 여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0.29 20
35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4강 다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0.22 14
»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4강 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0.15 22
33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4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10.07 12
32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4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9.30 17
31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4강 첫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9.23 20
30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다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9.16 6
29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9.09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