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세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제목인 <세 번째 강의>는 편집자가 임의로 부여한 것입니다. 정화스님의 실제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좀 더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즉 이번 글은 정화스님의 1강 원고에서 세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

 자신이 외부에 접속하는 접속장치를 수시로 변할 수 있게 만들어놓으면 굉장히 다양한 길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혜 있는 사람은 지혜를 가득 채우고 난 다음 그 지혜가 비워지기를 갈망하고, 그 지혜가 완전히 비워졌을 때 세상으로 내려온다고 니체는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혜란 얻어짐과 동시에, 그 자신을 완전히 비워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열반을 무득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얻은 것 같은데 아무런 얻은 게 없는 상태인데, 그것은 앞서 말한 대로 우리의 길 자체도 비어있음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이 접속장치, 요즘 말하는 인터페이스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외형적으로 봤을 때, 남성은 남성으로 생겼고, 여성은 여성으로 생겼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 가운데에는 여러 다른 성들이 현실적으로 존재합니다. 우리의 성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DNA정보는 무엇입니까? XX와 XY지요? 저도 남자는 계속 XY고 여자는 XX인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선생님의 책을 읽다보니까 성이 7가지가 있답니다. 그 7가지가 무엇인지는 몰랐어요. 그러다가 다른 책을 읽다보니까 그 7가지가 나옵니다. 어떻게 나오느냐 하면,


XX

XY

XXY

XYY

XXYY

X


이렇게 7가지입니다. 다만 이 Y하나 있는 성은 현실에서는 거의 찾기 힘듭니다. Y는 X에 비해서 자궁에 착상해서 자기 자신을 살아낼 수 있는 힘이 너무나 적습니다. 정보량에서 한 100배 정도 적거든요. 그래서 대부분이 거의 유산하는데, 그래도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XXY가 굉장히 많은데, 650명 중에 1명 꼴로 많이 있습니다. 서울 인구가 1천 300만이라고 하면, 2만명이 XXY인 겁니다. 물론 X나 Y염색체들의 조합만으로 성이라는 정체성이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가지고 있을 때 이것이 뇌와 내부적 지각체계를 제대로 구성해야합니다. 이때 뇌하수체라는 곳에서 내부에서 들어온 신호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결정하는 수용체가 다른 식으로 만들어지면 이것도 다른 식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XXY인데도 뇌하수체에서 다른 수용체를 만들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XX라고 하는 성적인 사유체제와 다른 생각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성이라는 것이 이처럼 다양합니다.


 모든 생명체들은 이처럼 길을 만들면서 이때 필요한 영역을 만듭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오랜 역사상으로 보면 어떤 경우든지 자신을 변이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지 못하면 생존에 대단히 불리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모든 생명체들은 살아온 정보의 역사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이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보의 역사성을 가고 있는 것에 너무 치우치면 고정적 사고 채널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정보의 역사성을 변화시키는 쪽에 너무 치우치면 허구적 사건에 취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두 개를 적절한 때에 꺼내 쓸 수 있는 능력을 지혜라고 합니다. 그 지혜는 다 비워지기를 원하는 사람에게만 형성이 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짜라두짜가 인간이 됩니다. 그렇게 인간이 된 초인이 드디어 세상 속으로 내려갑니다. 세상 속으로 내려갈 때 만난 어떤 분이 이런 말을 하죠. 방랑하던 친구가 보니까 너무 많이 달라졌네? 산에 올라갈 때는 재를 가지고 올라갔더니 산에서 내려올 때는 불을 가지고 내려왔네. 자네 조심하게 자칫하면 세상 사람이 자네를 방화범으로 잡아갈거야. 라고 이야기합니다. 니체는 그리스 문헌을 연구하던 문헌학자였습니다. 그런 니체가 어느 날 갑자기 현재의 자기를 넘어서지 못하는 벽에 부딪혔을 때 갑자기 그런 상태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때 인식의 전환이 옵니다. 벽에 부딪혔을 때 전환이 오는 거죠. 그러더니 유럽의 종교사상철학을 통째로 날리는 사건이 자기 머릿속에서 떠오릅니다. 유럽에 불을 지른 사람입니다. 처음에는 옛날 사람들이 말해놓았던 진리라는 찌꺼기를 가지고 산에 올랐는데, 어느 날 봤더니 그 찌꺼기 속에서 불을 피워내더니 그 찌꺼기, 그 재가 완전히 불이된 상태로 넘어옵니다.


 이 이야기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건 아니겠습니다만, 어떤 선사가 제자에게 화로를 주면서 ‘이 안에 불이 있는지 찾아보게’했습니다. 제자는 ‘이 안에 불이 없습니다.’라고 합니다. 그래서 선사가 그 화로를 계속 저어보니까 안쪽에 조그마한 불씨가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너 왜 불이 있는데 없다고 하느냐?’라고 말하는 순간, 갑자기 깨달은 사람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타고남은 재가 불로 작용할 수 있는 그 불을, 재속에도 만들어놓습니다. 우리가 재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길입니다. 재는 불이 될 수 있는 다른 능력을 감추어놓고 있습니다. 보통은요. 다시 말해서 ‘재’라고 하는 것으로만 살아지는 게 아니고, 거기에 무언가를 붙이기만 하면 그 불이 지금까지 있던 모든 형상화된 종교사상철학을 다 태우고 새로운 불로 활활 타오르는 것을 상징적으로 말해서 ‘갈 때는 재를 가지고 가더니 내려올 때는 유럽에 불을 지른 방화범으로 처벌 받을 만큼의 것을 가지고 내려오네.’하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세상에 무엇 하러 가느냐고 물어봅니다. 그러면서 거기에 가면 잠에 취한 놈들만 살고 있다고 합니다. 세상에 뭐 하러 가느냐. 이런 이야기를 할 때 부처님이 깨달은 이야기와 조금 비슷한 사건이 됩니다. 부처가 6년간 고행을 하지요. 당시의 종교사상가들을 중국말로 ‘사문’이라고 하는데, 우리말로는 ‘자유사상가’입니다. 자유사상가의 반대말은 노예사상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노예사상가는 사실상 사상가라고 할 수 없겠지요.



타고 남은 재에서 길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출처: "Campfire scar 08319" by Walter Siegmund - Own work. Licensed under CC BY 2.5 via Wikimedia Commons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ampfire_scar_08319.JPG#/media/File:Campfire_scar_08319.JPG


#

 근래에 유럽에서 귀족이나 왕의 정치에서 자본가들의 정치로 넘어갈 때, 자본가들이 대규모 공장을 세울 때 가장 큰 문제는 노동력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사람들이 전부 다 귀족이나, 교회나, 왕가의 노비로 있는 겁니다. 이 사람들을 자유롭게 만들지 못해서는 자기 공장에 와서 일할 사람이 없는 겁니다. 그래서 사람들보고 ‘너 왜 노예로 사느냐? 자유롭게 살아라.’라고 말할 수 있는 어떤 배경이 됩니다. 실제로는 전혀 자유롭지도 않고, 단지 ‘그쪽에서 노예 하지 말고, 우리 공장에 와서 좀 나은, 그런 노예상태로 살아라.’라고 할 때의 자유와 비슷합니다. 저기에서 메였던 것을 이쪽서 다시 메이게 하는 겁니다. 그런데 말을 살짝 바꿔서 좋아 보이는 면만을 강조해서 ‘너 굉장히 자유스럽지 않느냐?’라고 말하는데, 생산수단이 없는 노동자들은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들 앞에 다시 포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됩니다. 따라서 우리 스스로가 생산수단을 갖는 쪽으로 자신을 만들어내지 않으면, 아무도 자유롭게 되지 못합니다. 바꿔 말하면, 자유란 온전히 자신 스스로가 자신의 삶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를 가져야 하는 겁니다. 그런 발전기를 가지지 못하면 자유롭게 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지요.


 자, 그런데 이렇게 자유로운 사람들은 눈을 번뜩이고 있습니다. ‘어떤 놈이 나에게 와서 포승줄을 채우려고 하는가?’ 하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짜라두짜를 본 사람이 말한, ‘세상에는 잠에 취한 사람들만 있다’는 말은, 세상에는 그렇게 눈뜨고 있는 자유로운 사람이 없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겁니다. 다 잠만 자고 있는 데에 뭐 하러 가느냐? 라고 하는 겁니다.


 부처님 시대의 자유사상가들은 사상에 포획된 사람들이죠? 브라만 사상에 포획된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당신의 존재성을 결정해주는 것은 신’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그 사상 안에 있는 사람에게는 의무가 있습니다. 그 사람들의 이름만 들어보면 이런 식입니다. ‘나무에 올라가서 과일을 따먹는 집안의 누구.’ 이런 식입니다. 나무에서 과일을 딸 수 있는 권리를 신이 주는 거라고 보는 겁니다. 대신 이 사람은 그것만을 해야지 그것을 하지 않고 ‘생각’을 하면 신의 의무를 저버리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이제 혼이 나는 거지요. 아무 생각 없이 계속해서 대대로 과일만을 따먹고 살아야 한다는 겁니다. 이런 생각을 브라만이라고 하는 종교사상가들이 당시 인도사람들에게 퍼뜨린 겁니다. 사상의 노예처럼 돼있는 겁니다. 사람들이 그런 사상에 메여 잠이 들었는데, 후에 새로운 인도 사회가 다가왔을 때 변화된 인도 사회를 선도적으로 리드할만한 역량을 가진 세력들이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가진 것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쥐고만 있었지 이것을 내려놓고 새로운 길을 모색할 사람이 없었던 겁니다.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쥐고 있는 무언가를 온전히 내려놓은 사람들이지요.


 이렇게 해서 이제 그 당시에 노예적 사유체계에 들어있던 사람들을 자유롭게 만드는 사람들이 여럿 나오는데, 그중의 한 분이 부처님입니다. 부처님이 말한 ‘온전한 자유를 획득했다’는 것은 사유의 통로가 진짜로 새롭게 생겼다는 겁니다. 시냅스의 연결들이 완전히 다르게 만들어졌다는 겁니다. 더군다나 그 시냅스의 연결은 굉장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의 설법을 들으면 A라는 사람을 만났을 때는 A라고 말했다가, B라는 사람을 만나면 정 반대로 A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왜 여기서는 이런 말을 하고 저기서는 저런 말을 하냐고 물어보니까, 사람이 다른데 어떻게 똑같은 이야기가 다 통할 수 있겠느냐고 합니다. 이것을 응병여약應病與藥 이라고 합니다. 병이 다르면 약이 다른 것이지, 어떻게 하나의 약이 만병통치약처럼 그렇게 나올 수 있느냐? 라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도 계속해서 만병통치약을 찾고 있습니다. 허허.


 그런데 이 만병통치약을 찾는 생각이 너무나도 굳건해서 ‘아 내가 세상엔 만병통치약이 없다는 말을 해주긴 해줘야겠는데, 누가 그 말을 믿을 것인가?’라고 생각하니까 부처님이 너무 암담한 겁니다. 그래서 ‘에이 나만 알고 말지.’라고 생각을 했더니, 안에서 다른 생각들이 일어났더랍니다. ‘아, 그러지 말고 가서 좀 이야기 좀 해요. 혹시 압니까? 누가 들어나 줄지? 그러면서 세상을 보면 당신의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능력들이 물속에 잠겨있는 연꽃 같은 사람이 있고, 물의 표면까지 올라온 연꽃 같은 사람이 있고, 각기 다른 양상들이 있으니까, 그런 인연에 따라서 당신의 이야기를 들을 사람이 있겠습니다.’라고 하는 생각이 일어나서 부처님이 세상에 나온 겁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9.02 16
27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26 5
26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첫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19 11
25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여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15 13
24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다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05 13
23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29 7
22 [왕초보통계학] 행복한 사람의 비교 혹은 행복해지는 비교 수유너머웹진 2015.07.27 14
21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22 12
20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15 7
19 [왕초보통계학] 돈은 행복을 위한 합리적 전략인가? 수유너머웹진 2015.07.13 15
18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첫번째 [1] 수유너머웹진 2015.07.08 50
17 [왕초보통계학] 화폐와 고독한 개인 수유너머웹진 2015.07.06 11
16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다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01 22
15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6.29 17
»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6.26 15
13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5.22 15
12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첫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5.11 45
11 [왕초보통계학] 첫번째 이야기: 왜 통계를 아는 것이 중요한가? 수유너머웹진 2015.04.20 14
10 번역 :: 급진적 뚱보들: 뚱뚱한 사람도 중요하다![part 2] 수유너머웹진 2014.12.15 10
9 번역 :: 급진적 뚱보들: 뚱뚱한 사람도 중요하다![part 1] [1] 수유너머웹진 2014.12.12 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