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_웹진강의 :: 웹진으로 하는 강의, 인터넷강의입니다!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두 번째 강의





녹취 및 정리: 황호연 / 수유너머N 세미나 회원 





*제목인 <두 번째 강의>는 편집자가 임의로 부여한 것입니다. 정화스님의 실제 강의는 총 5회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강 한 강이 한 편의 글이 되기에는 매우 긴 편이라, 독자분들이 보기 편하시도록 좀 더 세분하여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즉 이번 글은 정화스님의 1강 원고에서 두 번째 부분임을 알려드립니다. 


#

 

, 첫 번째 장으로 가보겠습니다. 첫 장에서는 위대한 태양을 찬탄합니다. 그런데 그 태양이 다른 모든 생물들에게 빛을 주기는 하는데, 그 빛을 받는 다른 생명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번 생각해봅니다. 그러고는 태양이시여 위대하신 신인 태양이시여, 당신의 기쁨도 사그라지겠지요.’라고 이야기합니다. 이것을 삶의 관계성까지 확대한다는 것은 대단히 비약일지도 모르겠지만, 태양은 그 자체로 기쁨으로 존재하는 게 아니고 그 기쁨을 받고 있는 외부적 사건과 만났을 때 기쁨이 존재한다는 것과 비슷합니다.



*정화 스님께서 강의 교재로 사용하신 책은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지』(백석현 옮김, 야그 출판사, 2007년)입니다. 현재 절판되었고, 이 책을 개정해 다른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 있습니다.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박성현 옮김, 심볼리쿠스 출판사, 2012년)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으신 분들은 Ⅰ.『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와 Ⅱ.『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정동호 옮김, 니체편집위원회 감수, 책세상 출판사, 2000년), 그리고 그 외 번역본들 중 편한 것을 참고하셨습니다.

*녹취록에서는 강의 중에 언급된 위 책 두 권(Ⅰ,Ⅱ)의 해당 부분을 스님이 말씀 하신 것을 참조하여 재구성해서 옮깁니다. 페이지 표시는 가독성을 위해 옮긴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만 하였습니다.

* 페이지 표시의 예: Ⅰ번 책의 36쪽, Ⅱ번 책의 38쪽은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 (Ⅰ:36, Ⅱ:38)



사실상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기본적으로 삶을 함께사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이것을 공생(共生)이라고 하지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 사람이나 다른 생물들이 산다고 하는 것의 현실적인 이유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후손에게 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전정보를 전하고 나면 살아있는 것들이 거의 자기 의무를 다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이든 사람들은 삶의 의무를 다했는데 뭐 때문에 사느냐? 하는 질문이 나오는데, 묘하게도 생존의 DNA뿐만 아니라 문화적 DNA가 우리 삶을 함께 얽어냈습니다. 그래서 가로줄과 세로줄을 얽어서 옷감을 짜듯이, 생명의 DNA와 문화적 DNA가 얽혀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른들은 문화적 DNA를 잘 길러야 합니다. 요즘에는 문화적 DNA를 기르는 역할로 인문학이 굉장히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정의도 많겠습니다만, 인문학이란 사람사는 이야기인데, 그것을 글로 풀어놓은 것이지요. 그래서 인문人文이 됩니다. 그런데 그냥 이야기들은 어지간해서는 다음 세대까지 전해지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어떤 것이 우리에게 가치 있게 다가오고 전해지느냐 하면, ‘아무것도 없는 것 같은 게 그대로 존재로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드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가 우리에게 인문이라는 의미로 역사성을 가지고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인문이란 그냥 이야기가 아니라, ‘그 이야기 속에 들어있는 삶의 가치가 다른 무엇을 입혀놓은 것이 아닌, 그 상태에서 존재성을 드러내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입니다.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도 그런 이야기들이 나오지요. 그러한 것들이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산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생명의 정보인 DNA를 전달하는 것도 있기는 하지만 DNA의 공생과정에서 일어나는 문화적 연결성에서 그 가치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이야기,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일만한 그런 이야기가 아마 인문의 이야기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그 인문의 이야기는 그 기본이 지금 우리를 보고 있는 현실적인 삶의 기본 양상을 바탕으로 해야 합니다. 그냥 아 무엇이다.’라고 들으니까 저 이야기는 정말 나를 잘 이야기해줬어라고 하지만, 그 이야기의 기반이 황당하다면 사실상 뒤끝이 별로 안 좋을 확률이 많습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기본적인 펙트를 잘 이해해야하는데, 그 기본 펙트에 대한 가장 많은 이해를 가진 사람들이 현실에서는 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물리학이나 생물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은, 그분들 자체가 무슨 도인은 아닙니다만 삶을 보는 가장 기초적인 펙트를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그것을 통해서 우리가 삶을 어떻게 해석하며 그 해석을 우리 인간에게 얼마나 가치 있는 삶으로 연결시킬 것인가? 하는 것은 철학자나 종교인의 다른 몫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기본적으로 도라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두 가지 경계를 연결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저절로 이라는 것이 들어있습니다. 공동이라는 장소가 도의 기본적인 배경입니다. 생명들도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그렇게 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대한 태양도 그 태양빛을 받는 모든 것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이가 위대한 태양이 되는 것이지, 그렇지 않다면 별 의미 없는 이야기와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이 길이라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여러 가지 배경을 통해서 만들어지지요. 이때는 다른 가능성들도 많습니다. 길이 만들어진 것에서 결과적으로 보면 어느 하나의 길이 됩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A라는 길이 났을 때에는 다른 길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른 길들은 전부 다 감춰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어느 날 보면 A길은 사라지고 BC라고 하는 길들이 계속 생겨납니다. 이처럼 우리 삶 속에는 길들이 중첩적으로 갖춰져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중첩적으로 갖춰져 있는 길들을 불교 용어로는 공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번 강의의 홍보물에 공이라고 써져있어서 저도 이런 이야기를 해봅니다 허허.

 

이렇게 중첩적으로 갖춰져 있기는 하지만 드러날 때에는 사실상 한 가지만 드러납니다. , 이것은 여러분이 물리학 책을 읽어보시면, 양자의 현존성과 비슷할 것입니다. 책 제목에 천재라고 쓰여 있는 물리학자의 말입니다. 여기서 제가 빛의 입자를 하나 쏘면, 어디 가서 탁 꽂히면 아 저게 이 통로로 갔겠다고 예상하는데, 저것이 저런 결과로 밝혀지기 전까지 이 빛 알갱이 하나가 저쪽까지 가는 과정들은, 우주에 있는 모든 가능한 길들을 다 간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결국 다른 길들은 가고 오면서 상쇄되어 자기의 길을 스스로 지워버립니다. 지금 보이는 이 길만 상쇄되지 않는 겁니다. 그런데 관측자가 저기에 있지 않고 여기에 있으면, 저쪽 길은 상쇄되고 여기에 있는 길이 상쇄되지 않아 드러나게 됩니다. 즉 양자는, 쏘는 것과 관측자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그 길만이 유일한 길처럼 나타나기는 하지만, 실제로 가고 있는 길들은 전체를 다 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드러난 길들은 이 길이지만, 다른 길들은 없는 것처럼 그렇게 있습니다.

 

그래서 중첩된 길이지만 드러나지 않는 형태로 있는 것, 이런 것들이 관계성에서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양과, 태양빛을 받는 모든 존재들도 이와 같은 관계로 공생의 관계인데, 이것은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인 양자로부터 생물처럼 60조개의 세포가 있는 것들에 이르기까지 어떤 것들도 그렇게 살지 않는 것은 하나도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그런데 구체적으로 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아까 말한 대로 빛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은 나에게서 일어납니다. 그런데 이 빛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요즘말로 하면, 신호가 외부에서 오기는 오는 것인데, 그것을 파악하는 것은 가 하고 있습니다. 뇌의 어느 한곳에서 신호가 파악되는 게 아닙니다. 굉장히 여러 곳에서 동시에 오는 신호들을 각기 자기의 역할을 분담해서 정보를 모아서 최종적으로 무엇인가 표상을 만들어내는 겁니다. 그런 과정에 0.2초에서 0.5초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소리가 사람의 귀에 들어가서 언어의 개념을 만들어내기까지는 0.2초에서 0.5초 정도 걸리는 겁니다. 소리를 그 즉시 파악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거지요. 바꿔 말하면 소리는 개념적으로는 동일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시간상으로는 전부 다 다른 양태로 자기와 만나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공간의 만남이라는 것은 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 그 자체가, 우리에게 정보의 시간성을 만들어주고 있다는 겁니다. 이것 자체는 순수한 공간의 역할인데, 공간에서 일어난 사건은 그 사건을 통해서 각기 다른 시간을 살게 해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말 하나를 파악하는 모든 내용들은 전부 다른 시간에 파악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때 가장 중요한 것은, 천억 개가 되는 뇌의 신경세포들이 어떤 시냅스로 연결을 하느냐, 어떤 시냅스의 길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시냅스를 통해서 본다는 사건 하나가 발생하려면 기본적으로 서른세 군데 이상이 함께 동업적 활동을 해야 합니다. 그 중에 하나만 바뀌어도 전혀 다른 인식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 째 영역이 작용을 딱 그치면, 다른 서른두 군데가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어도 본다는 사건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세 번째 영역이 작용을 그치면 본다는 사건은 발생하되 빛이라는 해석체계가 사라집니다. 이처럼 여러 군데가 함께 작용하기 위해서는 이 길들이 아주 잘 열려있어야 합니다. 길을 열지 않으면 그 사건을 제대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 몸 안쪽에서는 우리가 모르는 상태에서 수시로 손을 잡아 활동하면서 막힌 길을 뚫기도 하고, 지금 있는 길들을 튼튼하게 하면서, 그 시간에 자기를 잘 살도록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따라서 이렇게 삶에서 일어나는 생명의 빛을 보기 위해서는 밖으로 가지 않고 이제 내부로 향해야합니다. 밖에서 오는 것을 해석할 때는 이미 시간상으로 과거를 해석할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내부로 향하게 되면 시간의 현존성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눈을 감고 귀를 닫고 멍하게 있는 상태로 가면 갈수록 초인이 되는 첩경에 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말들을 이 책에서는 이렇게 풀어놨습니다. 지혜를 나누고 지혜의 기쁨을 느끼게 하려면 사람들이 세상 깊은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고 합니다. 저녁에는 빛이 보이지 않는 깊은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고요. 지하세계로 넘어가야합니다. 사실상 이 세계에서 가장 지하세계는 묘하게도 우리 몸 자체입니다. 우리 몸 자체만큼 정보가 현존성으로 드러나 있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를 알려면 우리가 지각으로 드러나야 하는데, 그 지각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아까 외부에서 오는 것을 눈에 비치는 순간부터 해서 0.2초에서 0.5초 정도 걸린다고 했는데, 그 이전부터 작용하고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건을 통해서는 아무것도 감지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 영역을 무의식의 영역이라고 해놓았습니다. , 의식화되지 않은 영역인데,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비유가 있습니다. 이런 빙산 중에서 10분의 1정도가 떠있지요. 그 일각 중에서 아주 조그마한 얼음 하나가 의식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의식조차도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하지만, 의식을 다 안다 하더라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의식은 모두 알 수는 없습니다.

 


빙산은 위에 드러나 있는 것보다 잠겨 있는 부분이 훨씬 더 큽니다. 

드러나 있는 의식보다 무의식이 더 난해한 것처럼 말입니다.

사진 출처: "Iceberg at Baffin Bay" by Tech. Sgt. Dan Rea, U.S. Air Force - http://www.af.mil/shared/media/photodb/photos/040520-F-0000C-003.jpg. Licensed und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Iceberg_at_Baffin_Bay.jpg#/media/File:Iceberg_at_Baffin_Bay.jpg  



그래서 이 세상에서 가장 어두운 것은 묘하게도 자기 자신입니다. 우리는 생명의 여러 역사를 거쳐 외부 사건들을 접하는 것이 생존에 필요했기 때문에 계속해서 그런 정보들을 많이 축적해왔습니다. 외부가 실재든 실재가 아니든 나름대로 파악할 길을 만들어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내부에 대해서는 그런 길을 만들어본 역사가 별로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내부의 길을 찾다가는 굶어죽기 딱 알맞기 때문에, 자신의 내부를 찾으려면 굶어죽지 않을 정도로 놀고먹어도 될 수 있는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야하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을 때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가진 것을 탈취해서 자기만 배불리 살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을 그런 것과 상관없이 나란 무엇인가?’하고 안쪽으로 자기를 보는, 그런 사건들이 생겨납니다. , 식량이 쌓여있어서 몇 사람은 놀고먹어도 될 시기에 이런 사람들을 후원하는 그룹들이 생겨나는 겁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이 멍하게 되는 사건을 통해서 진실로 나는 무엇인가?’를 찾는 일을 하는 겁니다.

 

이런 점들을 참고해보면, 깊고 어두운 곳으로 가야합니다. 깊고 어두운 곳은 여기서 말한 대로 지각되지 않는 세계인데, 지각되지 않는 세계의 대부분은 무의식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깊은 곳으로 내려가는데,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듯이 그렇게 내려갔을 때 우리는 자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이런 과정을 통해서 충만한 지혜를 얻은 사람들은 드러난 길을 지혜로 삼지 않는, ‘가능한 수가 많은 사람들입니다. 드러난 길만 가지고 그것이 길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일단 그것이 길임에는 분명하지만, 다른 길들에 접속했을 때 여기에서 제대로 된 지혜적인 지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접속장치를 못 만들어 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9.02 16
27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26 5
26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3강 첫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19 11
25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여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15 13
24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다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8.05 13
23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29 7
22 [왕초보통계학] 행복한 사람의 비교 혹은 행복해지는 비교 수유너머웹진 2015.07.27 14
21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22 12
20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15 7
19 [왕초보통계학] 돈은 행복을 위한 합리적 전략인가? 수유너머웹진 2015.07.13 15
18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2강 첫번째 [1] 수유너머웹진 2015.07.08 50
17 [왕초보통계학] 화폐와 고독한 개인 수유너머웹진 2015.07.06 11
16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다섯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7.01 22
15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네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6.29 17
14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세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6.26 15
»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두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5.22 15
12 [정화스님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부 1강 첫번째 수유너머웹진 2015.05.11 45
11 [왕초보통계학] 첫번째 이야기: 왜 통계를 아는 것이 중요한가? 수유너머웹진 2015.04.20 14
10 번역 :: 급진적 뚱보들: 뚱뚱한 사람도 중요하다![part 2] 수유너머웹진 2014.12.15 10
9 번역 :: 급진적 뚱보들: 뚱뚱한 사람도 중요하다![part 1] [1] 수유너머웹진 2014.12.12 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