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_철학.예술 :: 철학과 예술 분야의 리뷰입니다!


20세기의 힘, 실재를 향한 열정-이진경

수유너머웹진 2015.03.05 14:31 조회 수 : 14

20세기의 힘, 실재를 향한 열정

(바디우, 세기, 이학사)

이진경/수유너머N 회원

 

 

 

복제가 원본을 초과하고, 원본 없는 복제가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시대, 진리나 주제을 말하는 게 촌스러운게 되어 버린 포스트모던 시대에, 바디우는 기꺼이 진리와 주체를 말한다. 헤겔은 한 시대의 대세가 된 것을 시대정신이라 명명하며 개인을 넘어선 정신의 힘을 말한 바 있지만, 바디우는 그에 거스르는 반시대성’(니체)의 편에 서 있는 셈이다. 그의 철학에서 가장 중심적인 개념인 사건진리가 바로 그렇다.


그가 말하는 사건이란 9시 뉴스에 매일 나오는 그런 것이 아니다. 있어도 평소엔 보이지 않던 것들이 어느날 갑자기 솟구쳐 오르는 것, 혹은 예상하거나 기대하지 않았던 것이 갑자기 도래하는 것, 그게 바디우가 말하는 사건이다. 가령 80광주사태같은 것이 그렇다. 바디우에겐 아마 685월혁명이 그랬을 것이다. 물론 기존의 상황이나 지식에선 설 자리가 없는 것이기에, 그 사건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에 그것의 도래를 볼 줄 아는 이에게만 그것은 사건으로 온다. 그렇지 않은 이들에게 그것은 그저 지나가는, 별 거 아닌 거’, 아무것도 아닌 거에 지나지 않는다.


어떤 것이 누군가에게 사건이라 함은 그 이전과 이후의 삶이 결코 같을 수 없음을 뜻한다. 하지만 그것은 기존의 틀이나 지식에서 벗어난 것이기에, 그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는 모호하기 마련이다. 사회적으로는 더욱 그렇다. 기존의 통념이나 지식으로 그 사건을 해석하게 되는데, 그 때 그 사건에 고유한, 전에 없던 특이성은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런 해석에만 맡겨두면, 그 사건은 전에 없던 면모를 잃고 기존의 어떤 것에 맞춰지게 된다. 내란음모 사건이 되거나, 간첩의 선동에 놀아난 폭동, 혹은 늘상 있던 데모 같은 게 되고 만다.



그걸 사건으로 체험했다면, 이런 해석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 사건의 특이성을 지우려는 시도, 통념적인 해석과 대결하며, 그 사건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그 의미를 보이게 하기 위해 지배적인 해석과 싸우게 된다. 때론 거리에서, 때론 조직에서, 때론 분석적인 글로, 때론 항의의 함성으로. 이처럼 기존의 지식이나 관념 안에 자리를 갖지 않기에, 그런 지식이나 관념에 간극을 만들고 그것과 대결하며 그것의 자리를 만들어가는 활동을, 그런 활동의 충실성을 바디우는 진리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이처럼 충실성을 갖고 사건의 진리를 만들어가는 이를 ‘주체라고 말한다.


이런 사건과 유사하게, 기존의 체계 안에 자리가 없지만, 그렇기에 기존의 체계에 균열과 간극을 만들어낼 수 있는 어떤 것을 정신분석학(라캉)에선 실재라고 부른다. 이는 우리가 통상 현실이라고 말하는 것과 아주 다른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사는 현실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믿는다. 현실을 고려하거나 알라고 말할 때에도, 현실이란 알 수 없는게 아니라 알 수 있는데 미처 생각지 못한 것, 그래서 좀만 신경 쓰면 알 수 있는 것이다. 그 현실은 대개 지배적인 가치의 체계나 질서를 뜻한다. 가령 현실적으로 생각해라는 말은 현실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돈이나 지위, 남들 흔히 하는 그런 삶의 방식을 환기시키는 말이다. 실재란 이런 가치나 의미를 갖지 않는 것, 현실의 질서 바깥에 있는 것, 그래서 저기 있어도 보지 못하거나 억지로라도 피해가려는 그런 것이다. 얼룩이나 상처 같은 것, 끔찍한 폭력이나 처참한 고통 같은 것이다.



*이 글은 중앙일보 2014.1.25자에 실린 글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바깥의 문학] 재현의 정치성에서 상상의 정치성으로― 김시종과 김혜순의 시 수유너머웹진 2019.02.24 223
142 [인문학리뷰] 『아픔이 길이 되려면』,『우리는 왜 분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위험한 정치인』 수유너머웹진 2019.02.24 195
141 [과학기술리뷰] 과학잡지 『에피』 6권 리뷰 - ‘필드 사이언스’와 ‘수능 리뷰’를 중심으로 수유너머웹진 2019.02.24 218
140 [바깥의 문학] 주소 없는 편지― 2018년 신인들의 시적 감응에 대하여 수유너머웹진 2019.01.29 134
139 [시읽는 목요일] 처음 읽는 시집- 김혜순,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수유너머웹진 2019.01.22 93
138 레비나스&화이트헤드_<타인의 얼굴> 5,6,7장 후기 수유너머웹진 2019.01.21 153
137 <삶을 위한 철학 수업>의 "삶과 자유", "만남과 자유" 후기 수유너머웹진 2019.01.21 146
136 장자세미나_잡편 33.천하편 - 조정현 수유너머웹진 2019.01.16 102
135 장자세미나_인간세 편 - 조정현 수유너머웹진 2019.01.16 166
134 [바깥의 문학] 염려하는 주체와 언어의 형식―김복희와 안태운의 시 수유너머웹진 2019.01.06 203
133 [시읽는 목요일] 처음 읽는 시집-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수유너머웹진 2019.01.03 104
132 [책리뷰] 공동의 슬픔 -바오 닌, 전쟁의 슬픔을 읽고 file 수유너머104 2017.12.21 1382
131 [영화리뷰] 80년대 오우삼의 영화들은 왜 그렇게 비장했나? (부제:오빠들 왜 그렜어요?) [2] file 마빈 2017.11.25 210
130 [전시리뷰] 수행의 간격- 통상적인 신체와 장소의 전복 [5] file 큰콩쥐 2017.11.12 661
129 [탐방기] 공간탐방기 - 서문 file 장한길 2017.11.06 442
128 [강연리뷰]그들의 1960년대, 대안적 앎의 공간으로서의 전공투2 [7] file 큰콩쥐 2017.10.26 573
127 [강연리뷰]그들의 1960년대, 대안적 앎의 공간으로서의 전공투1 [2] file 큰콩쥐 2017.10.25 871
126 [탐방기] 냉전의 인질로 붙들린 사람들의 이야기2 file 큰콩쥐 2017.10.13 401
125 [탐방기] 냉전의 인질로 붙들린 사람들의 이야기1 [5] file 큰콩쥐 2017.09.28 1394
124 [책리뷰]바흐친에 접근하는 세 가지 키워드 [2] file Edie 2017.09.13 16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