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_철학.예술 :: 철학과 예술 분야의 칼럼입니다!


[에세이] [이철교2-4 ] 신체의 울림: 매혹과 슬픔

수유너머웹진 2014.08.11 16:56 조회 수 : 17

신체의 울림: 매혹과 슬픔





김은이/이철교2-4





들어가며: 

 움직이며 생존하는 유기체, 유인원이라 불리는 초기의 인류는 그야말로 나약하고 가련한 존재였다. 숙명적으로 다른 생명체를 먹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개체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형편없이 약한 이빨과 손톱, 평균수준에도 못 미치는 운동신경과 날렵하지 못한 신체를 가진 덕택에 인간은 항상 불쌍하고 비루했다. 정글의 맹수들이 화려한 사냥감으로 배불리 포식을 하고 자리를 뜨면, 공중에서 매나 독수리가 남은 고기를 향해 달려들었다. 그 다음에는 늑대와 승냥이, 그 다음에는 살쾡이와 뿔 달린 것들… 날카로운 신체의 무기를 자랑하는 동물들이 차례대로 식량에 접근할 때마다 인간은 바위 뒤에 숨거나 나무 위에서 망을 보고 있다가, 그들이 사라진 동안에만 슬그머니 고기를 차지할 수 있었다. 결국 인간들은 온갖 동물들이 먹다 남은 파리가 끓고 악취가 풍기는 썩은 고기만을 게걸스럽게 먹어야 하는 처연한 존재였다. 

존재의 나약함. 약하고 무력하기에 그들은 더욱 섬세하고 절실하게 타자들의 움직임과 소리, 감응에 민감했을 것이다. 그들에게 자연 속의 모든 것들은 닮고 싶은, 혹은 갖고 싶은 힘과 신비로 가득 찬 존재들이었을 것이다. 용맹한 존재들의 거친 숨소리, 대지의 떨림, 숲의 노래, 바람의 냄새와 대기와 습기의 감촉… 그들의 제의와 축제, 춤과 놀이, 이 모든 것을 통해서 그들이 소망한 일은 바로 이러한 것들, 즉 자신이 아닌 다른 모든-것들이-되기가 아니었을까? 가면을 쓰고 춤을 추고, 창을 쥐고 사냥을 할 때도 그들은 자신들을 매혹시키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이 ‘되기’위해 자신의 신체를 적극 이탈하고 변용하고자 했다. 그것이 주는 모든 감각의 열림과 일어섬이 결국 그들을 다른 모든 강자들보다 더 강하게 만들었는지 모른다. 그것을 통한 타자에의, 다른 모든 것들에의 열림과 소통의 능력이 그들의 새로운 지배력의 힘이 아니었을까? 반면 오늘날의 인류는 어떠한가? 이제 인간은 무엇이든 ‘되기’를 포기하거나 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 왜냐하면 이제 인간은 사자를 우리에 가두는 존재이며, 어떤 것에도 절박하지 않고 아무것에도 위협당하지 않는다고 확신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밀림의 왕 사자가 어떤 소리에도 놀라지 않는 것처럼, 토끼나 늑대의 흉내를 낼 생각조차 하지 않는 것처럼, 바람과 물소리에, 풀 내음에 취하지 않는 것처럼, 그들은 이제 그 어떠한 다른-것들이-될 필요가 없다고 느끼는 것일까? 인간은 이제 더 이상 자연을 경외하지도 그의 매혹에 빠져들지도 않으며 이슬과 풀잎들의 떨림에 놀라지 않는, 그럴 필요조차 없는 지구의 왕자가 되었다.


I.신체의 울림: 매혹과 슬픔

 매혹이란 ‘나의 외부에 있는 무언가가 인접한 거리에서 나에게 손을 대는 것이다.’(불온 p251)

뜻하지 않은 것이 내게 다가와 나를 잡아당기는 것이다. 어떤 우연적이고 심상찮은 조우에 사로잡히는 것이고, ‘그것’에 이끌려 갑자기 길을 잃고 그 어찌할 수 없는 인력에 말려드는 것이다. 그러나 거기서 손을 내미는 것은 ‘나’다. 매혹하는 자는 손을 내밀지 않기 때문이다. 그의 손이 그저 나에게 닿았을 뿐, 그에 이끌려 내가 손을 내밀고 자신의 피부 가까이, 혹은 피부 안으로 끌어당기는 것이다. 매혹은 그렇게 우리가 유기체의 경계를, ‘나’의 경계를 넘어서게 만든다.


무언가에 매혹되어 사랑하게 된다는 것은… 상승과 고양의 운동이 아니라 하강과 침몰의 

운동을 야기한다. 사랑한다는 것은 고상해지거나 지고해지는 게 아니라 지고함을 떠나

기꺼이 어디든 내려가는 것이고, 준비가 충분히 안 된 상태에서 물에 빠지는 것이며, 

타락하고 오염될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다… 차라리 그것은 질병처럼 찾아오는 

것이어서, 나는 그것이 오면 빠져들 수밖에 없고, 그것이 가면 붙잡으려 애타게 

따라갈 수밖에 없다. 다가온 그것을 따라가며 그런 식으로 나를 떠나는 것이다. 

나의 개체성을, 나의 경계를, 나의 동일성을. (불온, p254) 


모디빅에 매혹되어 바다 한가운데로 끌려들어갔던 에이허브가 그랬고, 늑대 로보에 매혹된 어니스트 시튼이 그랬고, 멀리서 한 번 마추친 것만으로 ‘산’의 소용돌이 같은 매혹에 휘어감긴 아시다카’, ‘오무’에 매혹당한 ‘나우시카’, 그리고 쿠사나기를 죽음 같은 심연으로 끌고 들어가는 인형사의 매혹 또한 그렇다. 그것은 익숙한 형상을 깨고 덮쳐와 ‘나’를 심연과도 같은 바다 속에 침수시키는 힘이고, 사람들이 지닌 통상적인 관념을 넘어, 매혹되는 자의 평범한 일상을 아주 작은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고독하고 ‘고귀’하기까지 한 어떤 초과의 힘이다. 


    -모비딕-



무엇이 우리로 하여금 그처럼 개체성을 넘어서 존재하게 하는가? 언제 우리는 주어진 

개체성을, 유기체적 개체성을, 개체로서-존재함을 넘어서 존재하는가?” 이는 존재자가 

자신의 주어진 상태를 넘어서게 하는 것, 새로운 존재자를 구성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

가를 묻는 것이다. (불온, p250)


슬픔 또한 매혹과 더불어 우리를 타자와의 조우와 횡단으로 인도하는 감정 혹은 정서가 아닐까? 남녀 듀엣이 부르는 어느 대중가요의 가사 말이다. ‘사랑이 짙어지면 슬픔이 되는 걸 아느냐’고 여성이 노래하면 남성은 ‘뜻 모를 그 슬픔이 때로는 살아가는 힘이 되는 것을 아느냐’고 대답한다. 사랑이 짙어지면 왜 슬픔이 되는지, 게다가 그 슬픔이 왜 살아가는 힘이 되는지를 설명한다는 것은 부질없는 것인지 모른다. 왜냐하면 감정에는 딱히 이유랄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냥 좋거나 그냥 재미있거나 그냥 슬프다…. 

사랑은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는 것이라고 하면, 8할의 연인들이 모두 원망 가득한 눈길을 보내는 것은, 우리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그토록 ‘하나’가 되기를 소망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처럼 그(그녀)가 느끼고 내가 아프면 똑같이 아프고 내가 기쁜 것이 그도 기쁜 것만큼 존재의 불안과 고독을 씻어주고 기쁨과 안도감을 주는 것은 없을 것을 테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와 ‘타인’은 상식적으로 신체적으로 ‘하나’가 아니라면, 이러한 개체성이 사랑이 질어질수록 ‘슬픔’을 준다면, 그렇다면 ‘때로는 그 슬픔이 살아가는 힘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여자친구의 불안을 달래듯 말하는 남성의 대답은, 서로의 온전한 존재를 본다는 것, 나와는 별개의 존재를 느끼고 받아들인다는 것은 분명 아주 슬픈 일이지만, 그것은 어쩌면 사랑이 마르지 않고 죽지 않는, 차이와 생성이라는 기쁨을 낳는 개체성의 축복 때문일 거라고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프레드릭 레이튼,어부와 세이렌, 1856~1858-


슬픔, 그것은 나와 다른 존재를, 별개의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존재를 느끼는 것이다. 매혹에 의한 수동적 사랑이 타자에 휘말려드는 ‘정신 없는’ 사랑이라면, 그래서 ‘나’와 ‘타인’을 분간할 수 없는 상태로까지 이르게 한다면, 슬픔은 내가 닿을 수 없는 곳에 있는 타자, 내가 손을 내민다 해도 붙잡을 수도, 중단할 수도 없는 그의 존재가, 그의 삶이, 파동처럼 밀려오는 것이다. 그것이 휴먼 다큐멘터리의 최루성 눈물과 다른 것은 ‘그’의 슬픔에서 ‘나’를 본 것이 아니라, 아무런 신비 없이 ‘그’의 고통이 ‘나’에게 오기 때문이다. 스피노자의 ‘자연’, 무한히 연기(緣起)되는 마음과 신체의 울림은 마치 파동과 물결이 끝없이 이어져 어디에라도 닿을 수 있듯이 나에게까지 아무런 장애 없이 오는 것이다. 나는 감정적으로 된 것이 아니라 감전된 듯이 아픈 것이다. 


II.존재의 바다: 순수 차이의 평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한 ‘종차(種差)’ 개념이나 린네(Linne′)가 사용한 분류학적인 개념에서 ‘되기’는 불가능하다. 들뢰즈는 이런 분류학적인 차이 개념이 ‘개념적 차이’에 차이 개념을 가둔다고 비판한다. 순수차이를 사유할 수 있다는 것은 그런 종적인 범주, 분류학적인 범주로부터 벗어나서, 심지어 같은 호랑이조차 다른 것으로 포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분류학은 ‘고양이과’라는 종적인 동일성 안에서 이 고양이와 저 호랑이 등등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차이들을 포착할 수 없다. 또한 고양이가 호랑이가 된다든가, 호랑이가 고양이가 되는 교차나 변용 또한 문학적 은유나 허구 말고는 불가능한 일이 된다. 그런데 이는 생물학자들에겐 중요할지 모르지만, 우리가 사는 일상적 세계에선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다. 


TV에서 종종 보여주는 귀엽게 뒹구는 아기호랑이는 호랑이보다는 고양이에 더 가깝지요 

이것은 개와 고양이하고 호랑이를 사람들이 다르게 느끼는 현실적(!) 강도의 차이를 보여

주는 것입니다… 스피노자는 이처럼 어떤 것이 우리에게 주는 감응(affect)에 따라 동물을 

분류할 것을 가르치지요. 고양이 같은 호랑이, 그것은 고양이의 감응을 갖는 동물이고, 

고양이와 하나로 묶일 수 있게 된 호랑이지요.(노마디즘2, p40)


들뢰즈는 종별화(種別化)로 귀착되는 차이에서 벗어나는 순수한 차이를 포착하기 위해, 특이성을 표현하는 강밀도의 분포로서의 차이의 개념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강밀도’라는 개념은 순수차이의 다른 이름이 되고, 강밀도를 통해 사물의 양태와 변이를 포착함으로써 사물의 상태를 변이 안에서, ‘되기의 구도’ 안에서 연속적이고 내재적인 과정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불연속성을 갖는 양태들 전체를 하나의 연속체로 다룰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강밀도의 연속체’는 어떠한 양태로도 될 수 있는 순수잠재성 그 자체라는 의미에서 ‘일관성의 구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강밀도’는 스피노자의 ‘양태’ 및 ‘변용(affection)’, ‘감응’ 등의 개념과 아주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다.¹ 스피노자는 양태를 이미 그 자체로 하나의 촉발(affection)이요 변용이라고 보는데, 하나의 양태로서 존재한다는 것은 관련된 다른 양태들에 촉발되어 강밀도의 분포를 다르게 만듦으로써 다른 종류의 양태로 만들어버린다는 점에서 이미 변용(affection)이다.² 


사막이 자라고 있음을 직시한 사람들이, 사막 속에서 사는 법을 배우라고 가르쳤던 것도 

이 때문이었을 게다. 사막 속에서 바다를 발견하지 않고선, 사막이 바다임을 발견하지 

않고선 살 수 없는 시간이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불온, p11)





어떤 근본적 위계도 사라진 하나의 평면. 존재자를 생성 속에 있게 만드는, 생성으로-있게-하는 바다. 즉 거대한 ‘존재의 바다’는 액체적이고 유동적인 평면에서의 연속적인 생성의 구도이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러한 존재의 평면, ‘되기의 구도’를 통해 모든 경계를 가로지르는 어떤 긍정적인 삶, 생성의 존재론을 제안한다. 사물, 동물, 인간, 물, 불, 바람, 대기 등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동일한 연속체 안에서 ‘되기의 문턱’을 통해 넘나들 수 있는 평등한 존재들이 된다. 이러한 존재의 의미란 순수차이로서만 포착되는 하나의 평면에서, 서로 다른 존재자들이 만나는 양상 속에서 펼쳐지는 절대긍정의 삶, 그 자체이다. 


주석

1. 스피노자는 이처럼 이웃한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지는 사물을 ‘양태(mode)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무엇’인가’조차 이웃한 것들과의 관계에 따라, 어떤 이웃과 접속하는가에 따라 다른 게 ‘되는’것으로 파악합니다.

2. 역으로 그렇게 변용된 양태와의 관련 속에서만 ‘그’ 양태로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란 점에서 자신을 둘러싼 모든 양태들의 관계를 스스로 내부에 함축합니다. 그렇기에 자신을 둘러싼 양태들의 관계가 변하는 순간 그 자신 역시 다른 양태로 변용됩니다.


카프카의 <변신>에서 그레고어의 벌레-되기와 죽음은, ‘비극’이나 ‘운명’의 권리조차 주어지지 않는, 한낱 미물에 지나지 않는 자의 탈주와 몰락을 보여준다. 우리가 카프카의 벌레-되기에 강하게 매혹되고 사로잡힌다면 그 지극히 평범하고 보잘것없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주는 어떤 감정 때문이다. 벌레 같은, 혹은 벌레만도 못한 인간… 사물이든 생명이든 무엇이든, 그것이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된다는 것만큼 격렬한 슬픔을 주는 것은 없다… 온코마우스, 장애자, 사이보그, 페티시스트, 프레카리아트 등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의 저자 이 진경은 말한다.


불온한 것들을 통해 하고자 하는 존재론이란, 인간의 고귀함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찾는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를 그 미천한 것들과 하나의 평면에 놓고 사유하는 

것이고… 그것은 세상을, 미천한 자들로 가득 찬 거대한 존재의 바다, 그 속으로 끌고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불온한 것들’이란 우리를 바닷속으로 유혹하고 

잠수케 하는 자들이다. (불온, p8)


그래서 바다는 그렇게도 끝이 없는 형상일까? 매혹 속에서 우리는 타자에 충돌하고 침투하지만 그것이 ‘사고’가 아닌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은 기기묘묘한, 알 수 없는 그러한 끌림이 가장 고귀한 생명에나 있을 법한 어떤 숭고함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바다가 주는 감정은 그런 것이다. 엄습하듯 다가오는 존재의 숭고 앞에서 우리는 기쁨보다는 차라리 어떤 깊은 ‘울림(울음)’을 느낀다. 그것이 슬픔이 표현하는 액체(눈물)를 동반하는 것은 인간적인 희로애락의 감정이 아니라 그와는 다른 어떤 숙명적인 감정에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아무 저항 없이 그저 그냥 받아들이게 되는 무엇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 깊이와 형상을 짐작조차 할 수 없지만, 그러한 거대한 비밀을 숨기고도 지극히 고요한 평면을, 한없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는, 바다의 엷은 피부처럼.


III.차이와 유희: 인간적인 혹은 비-인간적인

매혹이든 슬픔이든 이러한 비-인간적인 사랑의 공통점이라면, ‘정신 없는’ 혹은 ‘정신 잃은’사랑이라는 수동성이다. 덮치고 휘말리고 빨려드는 것이든, 파동처럼 스며들고 관류하는 것이든, 그것은 의식과는 거리가 멀다. 존재의 바다, 순수차이의 평면. 그 곳에는 의식이 잠자는 혹은 의식이 바다에 종속되어 그 물결의 파고와 진동에 따라 끊임없이 분열되고 변이되는 그러한 평면이다. 이 순수차이의 평면에는 어디로든 향할 수 있고 무엇과도 접속할 수 있는 연속체의 동일성이 있다. 이러한 차이와 유희의 공간에서 어떤 장애나 벽을 느낀다면 우리는 다시 잠수를 해야만 한다. 결코 닿을 수 심연을 들여다보는 목숨을 건 시도를 통해 평등하고 연속적인 존재의 평면을 다시 회복해야 한다. 하지만 동물에 대한 사랑이든 다른 무엇에 대한 사랑이든, 이러한 비-인간적인 사랑과 욕망은 어쩌면 가장 일찍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으로 존재했는지도 모른다. 


어떤 동물의 흉내도 포함하지 않으며 단지 자신이 올라탄 말에 매혹되어, 그의 움직임에 

자신을 맡기고 그의 속도에 따라 미친 듯 달리는 몽골인들의, 말에 대한 사랑이 그럴 

것이다. 자신의 이름을 자신이 좋아하는 소에 따라 짓고, 어떤 주제에 대해 얘기를 시작

하든 언제나 소에 대한 얘기로 돌아가며, 행복감을 느낄 때는 언제나 소와 함께할 때고 

모든 관심이 소에 쏠렸을 뿐 아니라…그 관심이 소의 용도나 기능이 아니라 감성적

이고 시적인 예술에 속하는, 소에 대한 누어인들의 사랑 또한 그럴 것이다.(불온 p288)





카프카의 인디언은, 물결치는 공기와 대지의 전율과 함께 바람을 가르며 질주한다. 박차도 없는 박차, 고삐도 없는 말고삐로 모든 방향으로 끝없이 이어지는 매끄러운 광야를, 말과 나, 대지가 하나가 되어 달린다. 카프카의 인디언은 자신을 감싸는 모든 것들의 경계를 잊을 만큼 그들에 게 빠져든다. 왜 가는지, 무엇 때문에 어디로 가는지도 잊은 채 그 악마적인 매혹에 온전히 빨려 든다. 꼬마 한스의 말-되기 또한 이러한 악마적인 동물-되기의 매혹적인 휘말림이다. 재갈을 하고 무거운 짐을 끄는 말, 채찍질을 당하는 말의 고통을 ‘말로서’ 느끼는 꼬마 한스는 침대에 누워 네 발(!)로 버둥대고, 말이 오줌 싸는 소리와 같은 세찬 물소리를 좋아하고, 검은 속옷을 보면 똥이라며 침을 퉤 뱉는다. 한스의 동물-되기가 오이디푸스적 애완동물-되기와 다른 점은, 그들이 동물에게 모든 ‘인간’의 색채와 감정을 입히는 것에 반해, 한스는 오히려 인간에게 동물의 감응을 덮는다. 한스는 아버지가 달릴 때(laufen)조차 말이 달리는 것(rennen)이다. 말이 ‘아버지 같은 것’이 아니라 아버지가 ‘말 같은’ 것이다


                            -인디언의 기도-


따라서 사랑에 ‘지고함’이나 강도 같은 것이 있다면, 그것은 자신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가 아니라 자신을 얼마나 낮출 수 있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그것은 ‘자아’를 

찾는 여정이 아니라, 자아를 떠나 뜻하지 않는 곳으로 가는 여행이다. 매혹의 강도, 

사랑의 강도는 자신으로부터 멀어진 그 거리에 의해 정의될 것이다. (불온 p254)



매혹이 ‘정이 드는 것’과 다른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어떤 동물의 매혹은 끝없는 심연으로만 다가오는 무엇이다. 익숙하고 편안함에, 대개는 ‘친구’나 ‘가족’이라는 인간의 형상에 포개는 방식으로 가까이 두는, 애완동물에 대한 감정과는 아주 다른 것이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오이디푸스적 동물이란 ‘내 고양이’, ‘내 개’와 같이 작은 이야기를 갖는 동물들로서, 그들에 따르면 “이 동물들은 우리를 퇴행으로 초대하며, 나르시시즘적인 응시 속으로 우리를 이끈다. 정신분석학은 이 동물들만을 이해할 뿐인데, 그나마도 거기서 아빠, 엄마, 젊은 남자형제의 이미지만을 좀 더 잘 찾아내기 위해서다(MP,294:॥,13) 


IV.모든-것이-되기: ‘자아’의 죽음 혹은 ‘인간’의 죽음

동물-되기, 여성-되기, 아이-되기를 거쳐 원소-되기, 세포-되기, 입자-되기를 통해 극한의 지점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되기/생성의 구도와 ‘일관성의 구도’의 길에 이르는 길은 들뢰즈/가타리의 반서정주의를 순차적으로 혹은 점진적으로 이루어가는 도정 같다. 동물-되기, 여성-되기, 아이-되기의 차원에서 유기체적 생명체로서의 감정과 정서는 사라지고, 모든 문턱을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의 극한으로서 ‘기관 없는 신체’ ‘일관성의 구도’에 이르면, 슬픔도, 기쁨도, 고통도, 쾌락도 없는, 모든 것이 중화되고 물화된 어떤 지대나 상태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아타락시아, 열반, 혹은 ‘도’ 나 ‘공’ ‘무아의 경지’ 등 무엇이라 부르든, 그것은 주체도 대상도 없고 모든 것이 생성, 소멸되는 무상한 흐름으로서의 ‘자연’ 즉, 거대한 ‘우주’로 나아가는 모든 ‘되기의 구도’이자 구상이다. 홀린 듯이 빠져들어간 매혹의 바다에서 깊은 침수 끝에 마침내 떠오르는 것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존재자’이다.


   -공각기동대 중-


그렇게 우리는 부재하는 존재자를 존재의 평면으로 초대하고, ‘도래할’ 존재자를 부른다. 

존재자를 생성 속에 있게 만드는, 생성으로-있게-하는 것을. (불온 p250)


우리가 타자들과 더불어 새로운 관계를 구성하도록 하는 그 힘이란 매혹하는 사랑으로 하여금 성적 관계에서, 인간 간의 관계에서 이탈하도록 만드는, 존재자로 하여금 주어진 개체성을 넘어서 존재하게 만드는 그 무엇이다. 매혹의 심연 속에서, 우리는 거기서 어떤 낯선 것들과 만난다. 낯선 사람, 낯선 생물, 낯선 사물… 그것들과 더불어 새로운 개체화 속으로 말려들어간다.


그것은 ‘알 수 없는’ 매혹을 통해… 낯선 세계의 희미한 예감만이 있는 ‘심연’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그 심연 속에서 새로운 세계의 끝자락을 발견하는 것이다. 자신이 아직 

떨어내지 못했던, 자신을 따라온 것들을 그 끝자락에 끼워 넣으며, 사물 속에서 발견한 

세계를 ‘완성’하는 것이고 새로운 개체성, 새로운 세계의 탄생을 증언하는 것이다.(불온 p298)


때문에 사랑은 하나의 위기로서 찾아온다. ‘나’를 이전에 선 자리에 더는 세울 수 없게 만드는 위기, 그것은 변전의 계기이고 변환의 기회다. 그것은 우리가 매혹의 힘에 의해 금지의 선마저 넘어서버리는, 그 금지의 선을 넘을 만큼 ‘정신 없이’ 매료되었음을 즐기는 ‘수동성’을 뜻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아마도 블랑쇼라면 여기서 매혹의 힘에 의해 인격적인 ‘나’가 죽는 비인칭적 죽음을 발견했을지도 모른다”(불온 p286) 혹은 하이데거 식으로 말하면 ‘존재자’가 아닌 ‘존재’의 일어남을 보기 위해 모든 것들 앞에 가로놓인 ‘나’를 물러나게 하는, ‘자아’의 죽음, ‘인간’의 죽음으로 초대하고 매혹하는 것이야말로, 존재하는 모든 것과 조우하고 함입할 수 있는 ‘되기의 조건’이요, ‘일관성의 구도’에 들어서는 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나오며

누구든지 슬퍼하는 경우 자아가 빈곤해지고 공허해지는 상태를 경험한다. 우울증에서 ‘슬픔’의 경우 긍정적 에너지의 소진, 즉 자애심의 급격한 저하와 상당한 정도의 ‘자아 빈곤’을 내보인다. 때문에 슬픔은 일종의 ‘금지’의 영역에서 ‘여성적’인 무력한 감정으로, 할 수만 있다면 추방되어 마땅한 감정이 된 것일 게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아의 ‘소진’ ‘공허’와 같은 상태는 현재의 ‘나’에게서 벗어나는 또 하나의 길이 아닐까?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곧 세계(世界)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된다. –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 중에서

현재의 자기와 다른 것이 되는 것으로서 ‘자아의 죽음’은 세계가 파열되는 변이와 성장을 수반한다. 하지만 그것은 안전하고 닫힌 자아의 경계를 벗어나 더 큰 세계를 향해 날아오르려는 몸부림이자 비상(飛上)이다. 소진과 공허는 이러한 충돌과 파괴의 순간, 자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소통과 공감의 징후가 아닐까? ‘자아의 죽음’이 방법을 떠나 그 효과라는 측면에서도 고려된다면. 감정이든 사물이든 그 자체로 ‘좋은’것 혹은 ‘나쁜’것이 아니라면, 슬픔 또한 ‘어떤 슬픔인가?’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가?’ 라는 숙고를 경유한다면 그 진정성과 공명(共鳴)의 힘 또한 재고(再考)할 수 있을 것이다. 


             -윌리엄 블레이크,헤케이트, 1795-


어린이와 여성들은 자신들의 ‘약함’으로 인해 외부세계와의 두터운 외피 속에서 살아가지만, 역으로 이는 사회적 통념과 경계로부터의 거리를 뜻하기도 한다. 사회와의 약한 고리가 그들을 자연과 우주와 더 가깝게 만든다. 영아가 엄마와 자신의 신체적 분리를 의식하지 못하듯, 그들은 무력감을 동반한 슬픔으로 자신의 일부인 듯 타인을 느낀다. 이는 정상성의 기준으로 보면 자신과 외부의 경계를 인식하지 못하는 분열증의 일종이 되지만, 역으로 이러한 ‘무능’은 남다른 ‘소통 능력’¹이 되고, 타인의 감정과 고통을 내 것처럼 이해하는 ‘도덕 관념’²의 시작이 된다. 이것은 피부로 경계 지워진 개체의 경계를 넘어선 자아의 확장이다. 더구나 이러한 확장은 그 감각의 활용과 민감성에 따라 계속 확장될 수 있으며 원리적으로는 무한한 우주 전체로 나아갈 수 있다. 유기체의 경계가 이렇듯 무한히 확장된다면, 티끌 같은 먼지 하나를 포함한 모든-것들이 ‘나’와 동일해진다면, 이제 모든 것은 ‘나의 것’이고 ‘나의 삶’의 일부가 된다. 새로운 관계를 향해 개체적 한계를 넘어서도록 잡아 끄는 연대의 쾌감이란, 이렇듯 고통의 동시성이라는 바람직한 인간 본성의 발현, 즉 무한히 확장되는 ‘자아’의 공감과 소통의 쾌감이 아닐까?


주석

1. 미래학자 리프킨(J.Rifkin)은 인간의 본성과 사회의 미래를 다룬 ‘공감의 시대(The Empathic Civilization 2009)’에서 인간이 이와 같이 세계를 지배하는 종이 된 것은 자연계의 구성원들 중에서 인간이 가장 뛰어난 공감 능력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이러한 인간을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라고 부른다.

2. 우리는 뇌의 거울 뉴런계를 통해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그의 행동을 온몸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타인의 행동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측면에서도 타인과 공감할 수 있다. 이러한 거울 뉴런은 타인의 감정과 고통이 어떻게 ‘내 것’처럼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새로운 통찰을 준다. 심지어 우리는 타인을 직접 관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가령, 고통을 당하는 사람의 모습을 관찰하지도, 소리를 듣지도 못하는 실험에서 단지 상대에게 어떤 자극이 주어졌다는 신호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뇌의 정서 영역에서 거울 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심지어 고통을 당하는 사람과 같은 부위의 정서적 반응이 실험자에게서 그대로 나타나기도 했다.(Singer et al. 2004)



☞ 참고문헌  

이 진경, 노마디즘2. 휴머니스트 2009.

이 진경,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휴머니스트 2011.

프란츠 카프카, 변신, 단편전집 솔 2007.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이진경 옮김. 동문선 200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7 [장자로 보는 삶] 덕의 향기로서의 사랑 수유너머웹진 2019.04.25 197
146 [니체와 춤을] [즐거운 학문], 탈주자를 위한 하드 트레이닝 수유너머웹진 2019.04.22 153
145 [니체와 춤을] 니체의 물리학 - [즐거운 학문] 수유너머웹진 2019.04.22 222
144 [장자로 보는 삶] 통로로 존재하는 몸 수유너머웹진 2019.03.21 184
143 [그림이 있는 글] 기형도와 M.C.에셔 -스무살, 미발표작을 중심으로(2) 수유너머웹진 2019.03.21 157
142 [PhilSoulFood] 마르크스와 한 잔 더! 수유너머웹진 2019.03.09 268
141 [니체와 춤을] 한국 힙합음악과 비극적 영웅의 테마 수유너머웹진 2019.03.05 236
140 [강의후기] [바깥의 문학] 진은영, <문학의 바깥, 삶의 바깥> 수유너머웹진 2019.02.24 181
139 [장자로 보는 삶] 3. 인간 세상, 고통의 근원은 무엇인가? 수유너머웹진 2019.02.20 183
138 [그림이 있는 글] 기형도와 M.C.에셔 - 스무살, 미발표작을 중심으로 (1) 수유너머웹진 2019.02.20 196
137 [강의후기] <수유너머104 겨울강좌>[ 어팩트affect 입문] 3강 베르그송: 지속의 시간을 흐르는 (무)의식의 힘 후기 수유너머웹진 2019.02.08 192
136 [니체와 춤을] 니체, 의도하지 않은 유혹자 수유너머웹진 2019.02.07 137
135 [장자로 보는 삶] 2. 장자는 왜 논쟁하지 않고 이야기 하는가? 수유너머웹진 2019.01.24 127
134 [그림이 있는 글] 침묵 한 걸음 앞의 시 -자코메티와 김수영 (2) [1] 수유너머웹진 2019.01.24 229
133 [강의후기] <수유너머104 겨울강좌>[ 바깥의 문학] 1강 후기: 나는, 내 글은 ‘어디서’ ‘오는가’? 수유너머웹진 2019.01.21 140
132 [그림이 있는 글] 침묵 한 걸음 앞의 시 -자코메티와 김수영 (1) 수유너머웹진 2019.01.07 301
131 [니체와 춤을] MeToo사건과 위버멘쉬의 타자성 수유너머웹진 2019.01.04 305
130 [장자로 보는 삶] 살아있는 철학이란 무엇인가? 수유너머웹진 2018.12.30 118
129 레퓨지아를 복원하기-국경없는 의사회 [1] file compost 2018.05.02 3497
128 [이슈] 2017.1.5 한-일 학생 교류회 - 지금, 이 곳의 페미니즘 발표문 (박예지) [4] file 힐데 2018.01.07 73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