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소식 :: 연구실소개, 연구실소식, 회원소식을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불가능성의 인문학 :: 휴머니즘 이후의 문화와 정치

저자 최진석 | 문학동네 | 2020.06.22 | 페이지 516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386473

불가능성의 인문학_최진석.png

 

1. 책 소개 : 지금 여기에 꼭 필요한 새로운 인문학의 가능성

문학평론가이자 수유너머104의 연구원으로 활발한 비평활동을 하고 있는 최진석의 『불가능성의 인문학: 휴머니즘 이후의 문화와 정치』가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2015년 계간 『문학동네』에 ‘평론’ 부문으로 등단해 문학과 사회, 문화와 정치의 역설적 이면에 관심을 두고『감응의 정치학: 코뮨주의와 혁명』『민중과 그로테스크의 문화정치학: 미하일 바흐친과 생성의 사유』 등을 펴내며 독창적인 이론을 전개해온 저자는, 마침내 이번 저서에서 ‘인문학 이후의 인문학’을 탐구하는 사유의 새로운 퍼즐을 찾아냈다.

새로운 인문학의 가능성을 말하는 것은 늘 익숙한 동시에 꼭 필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격랑을 겪어온 한국사회의 지난 10여 년간의 모습들, 예컨대 ‘18대 대선’과 ‘세월호 참사’, 그리고 ‘촛불집회’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 페미니즘과 성소수자의 인권에 관한 문제 등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과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갈망을 무수한 패배와 성취로서 모두 겪어낸 지금-여기의 우리들에게는 더욱 특별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뜻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최진석은 각기 다른 주제와 상황들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탐구하기보다는 ‘비인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젝과 벤야민, 데리다와 들뢰즈 등을 경유해 다채로운 사유를 펼쳐낸다.

그에 의하면 현재 대한민국에서 ‘인문학’은 1980년대 중반을 지나며 ‘창안된’ 개념이다. 문학과 역사, 철학을 기반으로 삼는 학문적 전통으로서의 인문학은 분명 그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문학과 예술, 과학기술과 인공지능, 페미니즘까지 아우르는 인식과 성찰의 전 영역을 인문학이라 부르는 풍조는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것이다. 이른바 ‘문·사·철’로 한정되어 있던 근대적 유산은 1990년대 중반 ‘인문학의 위기’와 더불어 끝나고 말았다. 그러니 지금 우리가 말하는 인문학은 냉전의 종말과 근대문학의 종언, 그리고 ‘포스트모던’의 바람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한 ‘신생’ 학문이라고 말해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인문학이란 과연 무엇인가? 인간, 문화, 학문의 세 가지가 인문학이 끝까지 움켜쥐고 있던 본질적인 가치들이었다. 지구상의 어떤 존재보다 인간을 우선시하는 지혜, 삶을 풍요롭게 증진시키는 예술적 환경, 즉물적 인식을 넘어서 삶의 근저를 관통하는 앎으로서 인문학은 스스로를 정체화해왔다. 그러나 비대해진 인간의 자아 속에 소외되어버린 감각 및 신체적 실존 문제나 휴머니즘을 명분으로 인간 아닌 것 일반에 자행되었던 공격성, 다수자와 소수자를 가르고 차별하며 배제함으로써 성립한 폭력적 구조 등은 인문학의 가치나 소용이 진정 추구할 만한 것인지 의문스럽게 만든다. “세계에 대한 해석이 아니라 변화가 중요하다”는 마르크스의 언명조차 소비자를 유인하는 광고문구가 되는 상황에서, 인문학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지금-여기, 우리에게 가장 간절한 질문이다.

 

2. 책 목차

서문 Whither Humanities?

1부 (불)가능, 또는 정치의 아포리아
       1장 슬라보예 지젝과 도래할 공산주의
       2장 자크 데리다와 (불)가능한 정치의 시간
       3장 발터 벤야민과 역사유물론의 미-래

2부 무의식과 욕망의 분열분석
       4장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유물론
       5장 트랜스-섹슈얼리티의 정치학
       6장 가장 뜨거운 모더니티

3부 휴머니즘 이후의 인문학
       7장 우리는 결코 인간이었던 적이 없다
       8장 기계는 자신을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9장 누구를 위한 인문학인가

4부 급진적 문화연구의 계보학
       10장 예술-노동의 문화정치학
       11장 급진적 문화연구는 실패했는가


3. 저자소개 : 최진석

문학평론가, 수유너머104 연구원.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근대비평사 연구로 석사학위를, 러시아인문학대학교에서 문화와 반反문화의 역동성을 주제로 문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과 사회, 문화와 정치의 역설적 이면에 관심을 두면서 강의와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감응의 정치학: 코뮨주의와 혁명』 『민중과 그로테스크의 문화정치학: 미하일 바흐친과 생성의 사유』 『불온한 인문학』(공저) 『문화정치학의 영토들』(공저) 등을 썼고, 『다시, 마르크스를 읽는다』 『누가 들뢰즈와 가타리를 두려워하는가?』 『해체와 파괴』 『러시아 문화사 강의』(공역) 등을 옮겼다.
 

4. 출판사 서평

포장만 바뀌어온 낡은 인문학을 벗어날 경계 너머의 사유

최진석은 2013년 방한한 지젝에 관한 이야기로부터 ‘1부 (불)가능, 또는 정치의 아포리아’를 열어젖힌다. 이는 ‘낡아빠진’ 공산주의와 레닌에 대한 사유로 이어지는데, 저자에 의하면 레닌을 반복하는 일은 ‘재현’이 아니라 ‘수행’이다. 붉은 광장의 묘석 내부에 눕혀져 전시되어 있는 그를 살려내 그가 했던 행적들을 고스란히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라, 레닌이 하지 않고 남겨놓은 잠재성을 찾아내 그것이 현행화될 수 있는 조건들을 지금-여기서 다시 수행하는 것. 이런 맥락에서 우리 앞에 호출된 공산주의는 1991년 해체된 소비에트연방의 그것과 동일한 것일 수 없다. 새로 탄생하는 공산주의라는 (불)가능한 이름. 그 괄호 안의 단어를 없애는 순간, 우리는 그것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이라는 이분법 사이에서 새로운 길을 찾아내게 될 것이다.

이어지는 2장, 「자크 데리다와 (불)가능한 정치의 시간」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간다. 사람들의 탄식과 분노, 체념과 질타가 뒤섞인 어떤 물음들, 가령 그것은 일어나지 않은 또다른 시간의 계열들, 역사의 다른 길에 대한 의문들이다. 만약 그 어떤 날에 시위대가 바리케이드를 넘어 청와대로 행진했다면? 대통령 선거에서 다른 사람이 당선되었다면? 그저 가능성으로만 머문 (불)가능한 정치의 시간들. 레토릭에 갇힌 이 말을 현재 속에 풀어놓음으로써, 그것의 작동을 현실로서 상상하고 미리 실험해보는 ‘낯선’ 경험을 실행해볼 것을 최진석은 제안한다.

3장「발터 벤야민과 역사유물론의 미-래」로 1부를 마무리한 후 시작되는 2부는 ‘무의식과 욕망의 분열분석’에 관해 다룬다. 4장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유물론」에서는 마르크스와 엥겔스, 루카치, 그람시, 알튀세르를 경유하며 아직 끝나지 않은 이데올로기의 시대를 탐구하고, 이어지는 5장 「트랜스-섹슈얼리티의 정치학」에서는 태어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의사의 실수로 생식기를 잃은 브루스/브렌다의 이야기를 통해 LGBTQ를 넘어서는 n개의 성에 관한 사유를 시도한다. 6장 「가장 뜨거운 모더니티」는 포그노그라피와 정치가 쌍생아적 관계에 있으며, 그 연대가 언제나 비대칭적이고 폭력적이었음을 지적한다.

3부는 ‘휴머니즘 이후의 인문학’이라는 제목하에 7장 「우리는 결코 인간이었던 적이 없다」, 8장 「기계는 자신을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9장 「누구를 위한 인문학인가」를 통해 인간과 휴머니즘에 대해 탐구하며 인간화된 기계, 혹은 기계화된 인간에 관해 살펴보고 특히 9장에서는 좀더 구체적인 현실에서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부딪친 문제에 관해 다룬다.

4부 ‘급진적 문화연구의 계보학’에서는 10장 「예술-노동의 문화정치학」과 11장 「급진적 문화연구는 실패했는가」를 통해 예술과 노동의 관계에 관한 문제와 한국의 문화연구 현실을 살펴본다. 문화연구의 시초부터 현재 한국의 인문학이 처한 현실까지 비판적인 동시에 건설적으로 논의한다.

진부한 휴머니즘을 넘어서서

결국 이 모든 글들을 아우르는 것은 지금까지의 인문학은 시간이 지나며 낡은 틀이 되었으며, 이제는 이를 벗어나야 한다는 대주제다. 근대의 인문학은 모두 ‘인간을 위한 학문’, 즉 ‘휴머니즘’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인류세란 말이 낡은 것처럼 느껴지는 요즈음, 신이 죽은 이후 인간도 죽었다는 말이 어쩌면 이제는 사실처럼 들린다. ‘인간’이라는 개념은 유사 이래 늘 확장되어왔지만 그럼에도 비좁은 개념이었고, 이를 벗어나는 것이 새로운 사유의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것이 저자의 의견이다.

지금 우리는 인문학의 위기와 부흥이 동시에 운위되는 이상스런 역설의 시간을 살아가고 있다. 한편으로 인문학은 실제적 생활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무용한 학문으로 치부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세파에 지친 대중에게 달콤한 유혹과 환상, 위로를 줄 것으로 기대되는 형편이다. 이 이중의 역설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가 창궐한 시대 상황과 합류하면서 인문학의 존재 가치와 방향 설정에 더 큰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시대의 인문학이란 대체 어떤 것이어야 할까? 아이러니하게도 인문학의 역사와 사유, 방법과 전망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의식은 인문학의 발판 위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학문의 성채에 갇히지 않으면서도 인식과 통찰에 충실하고, 외적인 유행을 추종하지 않으면서도 부단히 외부와의 교섭력을 잃지 않아야 하는 불가능성의 인문학. 지금 우리는 이를 직시하고 성찰해야 할 시간에 놓여 있다.

저자는 비인간, 그로테스크, 감응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하며 인간의 시대가 저물고 있는 이 시점에서 더이상 인간 자신만이 인간의 주요한 관심사로 남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인문학의 불가능성과 가능성의 조건을 동시에 사유함으로써 유일한 현재의 굴레에 결박되지 않는 것, 여기에 인문학의 잠재성이 놓여 있진 않을까. 그것이 가능할 때 우리는 세계에 대한 더 내밀한 이해에 도달하며, 마침내 근대 인문학의 벽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이다.

“인문학은 불가능한가? 그렇다. 진작 유효기간이 지난 쿠폰에 미련을 둘 필요가 어디 있는가? 인간적 가치를 위해 인간 밖의 모든 것을 지옥으로 몰아넣는 인문학, 문화를 창달한답시고 권력의 시종이 된 인문학에 장래를 걸 이유는 없다. 인문학은 가능한가? 진정 그렇다. 인문학을 배반하는 인문학, 휴머니즘이라는 철 지난 깃발을 걷어내고 인간성의 경계 너머로 인간을 돌려보내는 인문학, 문화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짓는 경계선을 지워내는 그로테스크한 표정의 인문학, 실선과 직선의 논리학을 점선과 곡선 그리고 뫼비우스의 비논리로 감응하는 인문학을 통해 우리는 인문학을 넘어서는 인문학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_최진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① [수유너머104] 공동체소개 oracle 2020.03.22 4504
공지 ② [수유너머104] 활동소개  oracle 2020.03.22 2477
공지 ③ [수유너머104] 운영팀 oracle 2020.03.20 2696
공지 ④ [수유너머104] 회원제도 [4] oracle 2020.03.20 2103
공지 ⑤ [수유너머104] 약도 oracle 2020.03.18 5362
공지 ⑥ [수유너머104] 내부공간 oracle 2020.03.18 1440
공지 ⑦ [수유너머104] 슬기로운 공동생활 sora 2018.06.17 3242
공지 ⑧ [수유너머104]를 다시 시작하며 admin 2017.03.15 12055
308 [출판_박준영] 철학, 개념 - 고대에서 현대까지 file oracle 2023.05.14 222
307 [메일5.2화] 공개특강_대학밖에서 / 공동체상영_지구별 방랑자 file oracle 2023.05.02 95
306 [손현숙콘서트] 포겔프라이 5.26(금) pm7:30 [2] file oracle 2023.05.01 193
305 故금은돌 회원 3주기를 맞이하며... [3] file 생강 2023.04.09 351
304 [메일4.1토] 공개특강 / 니체, 철학개념, 불교미학 file oracle 2023.04.01 104
303 [연합뉴스3.15] 김진완 별세, 경상도사투리에 담은 연민 [5] oracle 2023.03.15 378
302 [메일3.7화] 공개특강/ 니체, 푸코, 칸트/ 철학개념, 불교미학 file oracle 2023.03.07 115
301 [반짝 다큐페스티벌] 03.24(금)~ 26(일) file 효영 2023.03.01 158
300 [메일2.1수] 공개특강/ 칸트의 인간학/ 푸코의 [말과 사물] file oracle 2023.02.01 157
299 [메일1.4수] 공개특강/ 강사인터뷰: 자본, 선불교, 반야심경, 들뢰즈 file oracle 2023.01.04 193
298 [메일2022-1201목] 공개특강/ 자본/ 선불교/ 반야심경/ 들뢰즈 file oracle 2022.12.01 126
297 [손현숙콘서트] 2022-1210. 두번째 노래이야기 [1] file oracle 2022.11.08 121
296 [수상_이수정] 2022레드어워드 '재춘언니' file oracle 2022.11.06 162
295 [메일2022-1105토] 공개특강/ 화요낭독회/ 현대철학 file oracle 2022.11.05 131
294 [프레시안2022.10.6] [고병권의 자본강의], 마르크스 '프롤레타리아' 확장시킨 획기적인 저작 file oracle 2022.10.06 159
293 [메일2022-1001] 공개특강/ 소네마리 전시/ 이성복/ 문학/ 위기의 인류학 file oracle 2022.10.01 85
292 [출판_손기태] 불가능성의 정치신학 - 정치적 우상의 신학적 기원 file oracle 2022.09.23 135
291 [출판_최유미] 종과 종이 만날 때: 복수종들의 정치 file oracle 2022.09.05 152
290 [메일2022-0901목] 공개특강/ 기획세미나/ 인문사회연구원/ 가을강좌 file oracle 2022.09.01 70
289 [2022-0830 뉴시스] 반려동물 1500만 시대...'종과 종이 만날 때' file oracle 2022.08.31 7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