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워크숍 :: 해외연구단체ㆍ연구자와 함께하는 워크숍입니다!


지난 주말 한겨레 신문 북섹션에 실린 정희진샘의 서평을 공유합니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84392.html)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저들

등록 :2015-03-27 19:44수정 :2015-03-27 21:25

[토요판] 정희진의 어떤 메모


<유착(流着)의 사상>
도미야마 이치로 지음, 심정명 옮김, 글항아리, 2015
어려운 글은 없다, 익숙하지 않은 사유가 있을 뿐이라는 내 주장이 맞다면, 주디스 버틀러와 도미야마 이치로(富山一廊)가 대표적인 필자일 것이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숨 막히는 구체성과 당파성. 특히 도미야마의 문장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문장과 문장 사이가 운동한다. 그의 몸은 유(流)와 착(着)을 반복하면서 나아간다.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다. 말이 바로 실천이 되는 현장이 거기 있다.

그의 <전장의 기억>, <폭력의 예감>에 이은 3부작 <유착(流着)의 사상>이 출간되었다. 이 책 역시 구체성이 주는 밀도가 압권이다. 식민지 사람으로서 ‘나’의 의미를 고찰하는 3장은 루쉰으로 시작한다.(116쪽) 루쉰은 1926년 3·18 사건이 있던 날 “먹으로 쓴 허언(虛言)은 피로 쓴 사실을 감출 수 없다”, “피로 진 빚(血債)은 반드시 피로 갚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2년 뒤 “글은 결국 먹으로 쓰는 것이다. 피로 쓴 것은 혈흔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그것은 글보다 더 감동적이며 더 직접적이긴 하지만 색이 변하기 쉬우며 사라지기 쉽다”고 했다. “피”와 “먹”은 비유가 아니다. 글자 그대로다. 현실은 말로 구성된다. 실체를 실체로 만드는 것도 언어다.

나는 누구인가. 모든 사람이 이 질문을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물음은 내 경험과 사회의 시선이 일치하지 않을 때, 타인이 멋대로 나를 규정할 때 솟아난다. 나는 누구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은 “넌 누구냐?”라는 심문(審問)에 대한 일차적 반응이다. 식민자는 피식민자가 나는 누구인가를 스스로 상기하게끔 끊임없이 몰아붙인다.(124쪽) 이 질문은 면벽수도의 자기 탐구처럼 보이지만 실은 전면적인 폭력의 시작이다. 누구나 삶의 특정 시기에 이 물음이 요구되는 순간이 있다. 어떤 이들은 평생 이 질문과 씨름해야 한다. 다시 강조한다. ‘나는 누구인가’는 ‘넌 누구냐’이고, 그것은 ‘(나는 인간인데) 너는 뭐냐?’는 폭력이다.

저자가 일관되게 문제 삼는 것은 이러한 상황이 피억압자의 삶을 내내 뒤덮고 있는 신문(訊問)의 정치라는 사실이다. ‘여성’, ‘아줌마’, ‘성골(聖骨)과 진골(眞骨)’이 아닌 사람, 식민지 사람은 이중 메시지 상황에서 늘 자기를 설명하라는 요구에 시달린다. 이 지점이 중요하다. 도미야마의 질문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가 아니다. 그는 억압받는 사람이 취하게 되는 방어 태세에서 ‘새로운 인간’의 가능성을 찾으려고 한다.

고향은 계속 움직이는 자아의 다른 이름. 유착(流着)은 두 지역 사이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두 지역이라는 전제는 없다. 어디로 가느냐가 아니라 흘러간다는 출향(出鄕)이 중요하다. 출향의 끝에는 돌아올 수 없는 고향이 부상한다. 고향은 이탈 속에서 등장하고 상상 속의 미래 안에서 다시 한번 등장한다.(88~95쪽)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강요하는 저들에게 어떻게 맞설 것인가. 어떤 방어 태세를 취하면서 무엇을 확보해 나갈 것인가. 가장 흔한 답, 가장 쉬운 답, 그러나 불가능한 현실은 진정한 자아 찾기(나를 잘 설명하기)다. 이는 ‘우리’를 기존의 사고에 묶어둠으로써 현실을 고착시키려는 식민자의 논리에 부응하여 “저들의 계통”을 강화시킨다. 상대가 이미 나를 정의하는 권력을 갖고 있는, 속수(束手)의 상태에서 무슨 말을 하랴.

140749560651_20140809.JPG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다시 루쉰으로 돌아가자. 그가 “피”와 “먹”을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은 무엇일까. 그는 몸을 믿었다. 실천을 믿었다. 먹은 변신이자 번신(飜身)한 몸이다. 피는 내가 아니다. 피가 고인 상태의 몸은 없다. 말하고 쓴다는 행위, “먹”이 곧 몸이다. 실천 과정에서 변화하는 몸이다. 먹의 가능성은 미래를,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현재로 만들 수 있다.(a transformative present, 29쪽) 도미야마는 유착이라는 주제를 통해 이러한 현재 개념에 모든 것을 건다.

유착은 히트 앤 런(hit and run)이 아닐까. 치고 빠지기. 탈주(脫走). 탈주(奪走)면 또 어떤가. 정주는 주둔이 아니다. 정주는 항상 흘러가서 닿은 결과고, 또다시 흘러갈 수도 있다는 예감이다.(90쪽)

정희진 평화학 연구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10회 국제워크숍] 죽음의 공동체, 생명의 퍼포먼스 oracle 2023.10.14 848
공지 [9회 국제워크숍] 신청 :: 포스트식민주의와 연루의 정치학 / 사전세미나 [64] 수유너머N 2014.11.03 5867
공지 [8회 국제워크샵] 신청 :: 스트리트의 사상가, 모리 요시타카 / 8.29(목)~30(금) [76] hwa 2013.08.16 13093
공지 [7차 국제워크숍] 신청 :: 불안정 노동과 포스트 미래주의 / 사전세미나 [4] 수유너머N 2013.02.05 14268
공지 [6회 국제워크숍] 공지 :: [일정변경] 유체도시를 구축하라! / 사전세미나 2011년 11월 ~ 2012년 2월 [72] 수유너머N 2011.09.06 10240
공지 [5회 국제워크숍] 신청 :: 대중의 주체화와 문화정치학 / 2.24(목) ~ 2.25(금) 수유너머N 2011.02.19 5323
공지 [4회 국제워크숍] 신청 :: 타니가와 간과 유민의 코뮨 / 8.9(월) ~ 8.13(금) [26] 몽사 2010.04.07 8119
331 광장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18] 윤재용 2012.03.02 80922
330 그리스 민주주의, 그들도 우리처럼 [2] file G2NE 2010.05.07 24748
329 적기가의 유래 [1] 차태서 2010.06.27 23855
328 [2/24~25 ]수유너머N 단기 국제워크샵 <대중의 주체화와 문화정치학> [7] file 수유너머N 2011.02.19 17194
327 구 국제워크샵 게시판 수유너머N 2010.09.27 14148
326 9.27. 영화상영 및 토론회공지<철학에의 권리――국제철학학교의 자취> [3] file 국제팀 2010.09.09 12811
325 [7회 국제워크숍] 신청 :: 프랑코 비포 베라르디 소개 file 수유너머N 2013.02.05 10837
324 [6회 국제워크숍] 신청 :: 유체도시를 구축하라! / 2.20(월) ~ 2.24(금) [8] file 일환 2012.02.12 9392
323 [5회 국제워크숍] 공지 :: 하지매샘이 만든 오사카대 워크샵발표자 VS. 토론자 對戰表 유심 2011.02.23 8585
322 [6회 국제워크숍] 속기 :: 도시와/의 투쟁 <뉴욕열전>을 중심으로 (2/21) [2] file 유심 2012.02.21 8232
321 [7회 국제워크숍] 공지 :: 프랑코 베라르디 선생뉨 궁금해요~~프선생님과의 가상대담!! [3] file 수유너머N 2013.03.20 7391
320 [5회 국제워크숍] 공지 :: 역시 하지매 샘이 올린 참고 사진' <사냥함'의 시선>이란 무엇인가! 유심 2011.02.23 7028
319 [그린비 블로그] 아시아/일본 서평^^ file 아시아/일본 2010.09.08 6978
318 탄광의 노래_가마가사키 여름마츠리에서 [1] file orsay 2010.08.22 6919
317 西山雄二의 영화 <철학에의 권리>에 대한 몇 가지 단상 file 위클리에서 2010.10.13 6902
316 11/18일 개강 수유너머n 제6회 국제워크숍 <유체도시를 구축하라!> 함께 합시다 file 수유너머N 2011.09.06 671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