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특강 :: 화요토론, 시민강좌, 심포지움 게시판입니다!


화토 질의관련 추기

추기자 2016.11.22 22:47 조회 수 : 420

정신질환(자)와 정신장애(인) 개념 간 관계 문제는 소소하달 수 있지만 나름 재미있는 문제였던 것 같아 문제의 완결을 위해 몇 자 추기하고 이후 N진 화토게시판 덧글로 이동토록 하겠습니다.


먼저 과문한 탓에 약간의 범주적 미세 착오가 있었던 것 같아 사과드리고 ’지능’ 즉, ’지적 능력’을 ’노동 능력’*으로 바로 잡겠으나 기본 취지는 양자가 유동=가변 대 고정=불변의 관계나 막연히 (동일인을) 바라보는 관점과 frame(으로서의) 법체계 상 차이라기 보다는 (동일 현상의) (긴밀된)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보아야 한다는 발상이었습니다.


즉 이를 포함해 일반적으로 질환은 system의 부전[不全]이나 실패[-- 예를 들어 heart failure], 일탈[;out of order=disorder], 결손의 함의를 가지는 특수 상태로 정의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초래된 결과로서의 (잠정=일시=가변적 및 영구=고정적) 노동 능력의 손실 및 결손과 감쇠 상태를 장애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며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의 경우도 이런 구도를 어김없이 적용/관철할 수 있고 이 경우(에만) 많은 혼란과 막연/모호성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장애가 질환의 충분조건이고 질환은 장애의 필요조건일 뿐이어서 양자는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기에 각각 별도의 독립적 사정과 평가가 필히 요구될 것입니다. 


* 여기서 ’노동 능력’은 특정 직업에 요구되는 한정적 구체 활동이 아닌 일반적 작업( / )활동 능력을 의미해야 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 [6회 화요토론] 민중과 그로테스크, 또는 생성의 사유 (최진석) [5] file vizario 2017.09.05 863
74 [8월 열린특강] 차이의 철학에서 존재의 존재론으로- 이진경 (8월 26일 토요일 오후 4시) [2] lectureteam 2017.08.21 2011
73 [5회 화요토론] 스케치 :: 심보선 시인 '나는 시쓰는 기계' file michidoroc 2017.08.09 355
72 [5회 화요토론] "나는 시 쓰는 기계" (심보선 시인) [1] file vizario 2017.07.29 1015
71 [4회 화요토론] 죽이지 않을 권리 - 병역거부의 '언어'를 이해하기 (임재성) [1] file vizario 2017.06.28 578
70 [3회 화요토론] 3.11 이후의 운동과 사상 (구리하라 야스시) [1] file vizario 2017.06.04 794
69 [2회 화요토론] '인공지능과 인공감정의 가능성' 천현득 file choonghan 2017.05.09 788
68 [1회 화요토론] 후기 - '구조의 반복'에서 '실패의 반복'으로 file 김민우 2017.04.19 1359
67 [1회 화요토론] 아버지 제가 불타는 게 보이지 않으세요? (김현석) file vizario 2017.04.01 1168
» 화토 질의관련 추기 [8] 추기자 2016.11.22 420
65 [화요스케치] 자본=권력, 자본축적=권력축적(차등화 축적) - 박형준 <자본축적의 새로운 지평 : 권력자본론>, 화요토론회 박기형 2015.11.23 10
64 [화요스케치] 인권"들"에 관한 네 가지 질문 - 『인권과 인권들』 화요토론회 박기형 2015.10.05 20
63 [화요토론문] <인권과 인권들>에 대하여 - 화요토론회 토론문 박기형 2015.08.17 9
62 [화요스케치] “블록체인, 신뢰변종 규칙의 네트워크” 의 가능성을 탐사하다! 최유미 2015.08.10 11
61 화요 토론회 짧은 후기 file 은선 2015.05.13 415
60 [화요스케치] "마르크스는 이렇게 말하였다" 토론회를 다녀와서 허민 2015.05.04 10
59 [화요토론문] 세월호를 기억한다는 것의 의미 - "세월호 참사 1년, 우리는 어디쯤 와 있는가" 박임당 2015.04.16 7
58 [화요스케치] 질베르 시몽동 : 철학자로서 생성의 차원에서 사유하는 것 고승환 2015.04.15 60
57 [화요토론문] 넘쳐흐르는 죽음의 시대, ‘열사’의 정치학 - “죽음과 정치, 자살의 문화와 정치” 박임당 2015.02.23 9
56 [화요토론문] 시국적인, 너무나 시국적인 식민지 지식국가(knowledge state)론 심아정 2015.02.16 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