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
[1회 화요토론] 후기 - '구조의 반복'에서 '실패의 반복'으로
| 김민우 | 2017.04.19 | 1342 |
67 |
[1회 화요토론] 아버지 제가 불타는 게 보이지 않으세요? (김현석)
| vizario | 2017.04.01 | 1162 |
66 |
화토 질의관련 추기
[8] | 추기자 | 2016.11.22 | 420 |
65 |
[화요스케치] 자본=권력, 자본축적=권력축적(차등화 축적) - 박형준 <자본축적의 새로운 지평 : 권력자본론>, 화요토론회
| 박기형 | 2015.11.23 | 8 |
64 |
[화요스케치] 인권"들"에 관한 네 가지 질문 - 『인권과 인권들』 화요토론회
| 박기형 | 2015.10.05 | 19 |
63 |
[화요토론문] <인권과 인권들>에 대하여 - 화요토론회 토론문
| 박기형 | 2015.08.17 | 9 |
62 |
[화요스케치] “블록체인, 신뢰변종 규칙의 네트워크” 의 가능성을 탐사하다!
| 최유미 | 2015.08.10 | 11 |
61 |
화요 토론회 짧은 후기
| 은선 | 2015.05.13 | 415 |
60 |
[화요스케치] "마르크스는 이렇게 말하였다" 토론회를 다녀와서
| 허민 | 2015.05.04 | 10 |
59 |
[화요토론문] 세월호를 기억한다는 것의 의미 - "세월호 참사 1년, 우리는 어디쯤 와 있는가"
| 박임당 | 2015.04.16 | 7 |
58 |
[화요스케치] 질베르 시몽동 : 철학자로서 생성의 차원에서 사유하는 것
| 고승환 | 2015.04.15 | 23 |
57 |
[화요토론문] 넘쳐흐르는 죽음의 시대, ‘열사’의 정치학 - “죽음과 정치, 자살의 문화와 정치”
| 박임당 | 2015.02.23 | 9 |
56 |
[화요토론문] 시국적인, 너무나 시국적인 식민지 지식국가(knowledge state)론
| 심아정 | 2015.02.16 | 7 |
55 |
[화요스케치] 고병권이 다시 읽은 니체
| 조지훈 | 2015.01.27 | 10 |
54 |
[화요스케치]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 “왜 아시아인가, 왜 인도인가”
| 지안 | 2014.12.22 | 43 |
53 |
[화요스케치] 시몽동: 기계와의 코뮨주의를 생각하다.
| 김충한 | 2014.12.01 | 9 |
52 |
[화요스케치] 미가 세상을 구원하리라? - 칸트 철학에서의 미와 윤리성의 관계
| 이종현 | 2014.10.31 | 36 |
51 |
[화요스케치] 사회적 경제를 묻는다!
| 전성현 | 2014.10.01 | 5 |
50 |
[화요스케치] 들뢰즈의 타자론을 위하여
| 하얀 | 2014.09.17 | 8 |
49 |
[화토스케치] 21세기 대안전략의 주체는 누구이며,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
| 박기형 | 2014.08.06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