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특강 :: 화요토론, 시민강좌, 심포지움 게시판입니다!


화요토론회는 삶과 앎의 새로운 전환을 추구하는 열린 배움의 장소입니다.

사회와 문화, 예술과 정치, 일상과 세계를 아우르는 모든 주제에 관해 경청하고 질문하고 응답하며,

사건의 시공간을 만들고자 합니다.

 

 

2020년 트랜스인문학연구소 제 44회 화요토론회
 

헤겔의 광기 이론: 자기 소외의 비판적 힘

 

 

발표자: 오지호

 

 

프랑스의 정신과 의사 필립 피넬(Philippe Pinel, 1745-1826)은 근대 정신의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피넬은 광기는 정신의 질병이고 따라서 신체적 치료가 아니라 정신적 치료를 요한다는 인도주의적이고 도덕적/정신적인 치료법을 제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푸코는 인도주의적 치료법에 기반하여 설립된 근대 정신병원이 오히려 광인의 신체뿐 아니라 정신까지도 감금하는, 그렇게 중세보다 더 철저하고 체계적 방식으로 광인을 타자로 배제하는 수단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피넬의 시대, 즉 정신의학이 하나의 독립적 분과 학문으로 형성되었던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은 또한 헤겔의 시대, 헤겔의 철학이 싹트고 무르익던 시기이기도 했다. 1807년 『정신현상학』에서 불행한 의식을 이야기했던 헤겔은 1830년 『철학대계』의 「인간학」장에서 피넬을 참조하여 광기 문제를 주제화한다. 그리고 「인간학」에서 광기는 상호주관적 이성의 탄생에 필수적 계기이다. 그렇다면 헤겔에게 광기는 왜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이성의 필수적 계기인가? 광기를 필연적 계기로 포함하는, 혹은 광기로부터 출현하는 이성이 바로 우리가 헤겔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근대적 이성의 변증법적 형식이라 말할 수 있다면, 헤겔의 이성은 푸코가 묘사한 교묘하고 위선적인 근대적 합리성의 형식, 즉 인도주의적 외양을 한 채 더 치밀하고 강력한 억압 기제로 작동하는 그러한 합리성의 형식에 종속되는가? 좀 더 익숙한 방식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끝내 헤겔은 차이를 동일성에, 비-이성을 이성에 종속시킬 따름이라고 말해야 하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헤겔에게 광기와 이성은 어떤 관계를 갖는가?

 

 noname01.pngnoname02.pngnoname03.png

 

발표자 소개: 헤겔의 1830년 『철학대계』의 「인간학」장에 대한 연구로 미국 피츠버그 소재 듀케인(Duquesne)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 연구원으로 있다.

 

장소 : 수유너머104  1층 카페

일시 : 2020년 11월 24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대상 : 발표주제에 관심있는 분들 모두 (무료)

 ▶온라인발표(Zoom) 아래링크를 클릭하여 [화요토론]에 접속하세요.  

[Zoom 초대링크]  

효영 김이(가) 예약된 Zoom 회의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주제: 44회 화요토로론회_헤겔의 광기이론
시간: 2020년 11월 24일  07:30 오후 서울

Zoom 회의 참가
https://snu-ac-kr.zoom.us/j/85360035167?pwd=SUNMS3M3WVRFZHhIdk5ZMHIra3E5QT09

회의 ID: 853 6003 5167
암호: 71130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 [50회 화요토론] 인간수준 인공지능에 도달하려면 [1] file 키티손 2021.04.29 683
154 [49회 화요토론] 자기 배려의 생물학: 이기적 유전자가 만드는 배려의 공동체 file 케이 2021.03.31 693
153 [3월 시민강좌] 당신의 해방이 나의 해방이라면 [3] file 효영 2021.03.04 760
152 [48회 화요토론] 어쩌다 공동체에서 살기 혹은 숨기: 전환, 순환, 원환 file 수유너머104 2021.03.03 770
151 [47회 화요토론] 라이프니츠의 “물체적 실체” 개념에 대한 들뢰즈의 독해 file 수유너머104 2021.02.01 516
150 [46회 화요토론] 예술비평의 변증법적 구조의 외부와 대위법적 리듬의 가능성 [1] file 케이 2021.01.11 360
149 [45회 화요토론] 동물권, 윤리에서 정치로! :: 12.8(화) file oracle 2020.12.03 551
» [44회 화요토론] 헤겔의 광기 이론: 자기 소외의 비판적 힘 :: 11.24.(화) [1] file 효영 2020.11.09 761
147 [43회 화요토론] 스피노자의 예언 이론과 민주주의 :: 11.10.(화) file 효영 2020.10.27 660
146 [42회 화요토론] GERM에 대항하는 교육의 대안 :: 10.13(화) file Jae 2020.10.11 290
145 [41회 화요토론] Momento Mori & Amor Fati 사이에서 :: 9.8(화) file 브로 2020.09.03 466
144 [40회 화요토론] 우리사회에 기계비평이 왜 필요한가?:: 8.11(화) file lectureteam 2020.08.07 557
143 [39회 화요토론] 팬더믹과 불평등의 세계 :: 7.28(화) [1] file oracle 2020.07.27 471
142 [38회 화요토론] 동물을 안먹는 실험 :: 5.12(화) [1] file oracle 2020.04.27 994
141 [37회 화요토론] 대중의 흐름과 한국의 촛불시위 / 4.14(화), 이진경 file oracle 2020.04.09 725
140 2월11일 화요토론회가 취소되었음을 알립니다~ compost 2020.02.09 243
139 [화요토론_취소] 프리드리히 키틀러: 정보처리기술의 문화학 (유현주) file vizario 2020.01.29 424
138 [10회 맑스코뮤날레 2차포럼] 4차 산업혁명, 플랫폼 노동, 그리고? (박장현) file vizario 2020.01.27 361
137 [36회 화요토론] 홉스와 '계몽의 변증법': 절대주권과 자기보존의 역설 (한상원) file vizario 2020.01.17 693
136 [12월 시민강좌] 영화 〈베를린 천사의 시〉에 숨겨진 벤야민의 역사와 서사 :: 12.8(일) pm3:00 file 수유너머104 2019.11.29 8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