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원자료 :: 인사원의 과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시키지 않아도 쓰는) 벤야민 온라인 수업 후기 겸 질문들

 

첫 시간은 벤야민에 관한 전반적인 사실들과 인상들이 소개되었다.

(정리하면서, 임의대로 핵심이라 생각되는 것을 간추려 보았습니다.

아직, 벤야민 책을 읽지 않은 상태의 입문자라는 점에서 요약과 질문입니다.)

 

1. 벤야민의 시대와 벤야민의 대중화

: 벤야민은 아감벤, 데리다, 지젝, 테리 이글턴에 의해서 대중화되었다.

 

2. 벤야민의 문제의식, 탈근대성

: 벤야민은 탈근대적 문제의식과 맞닿아있다.

(Q 벤야민의 초심자 입장에서 반근대라고 하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3. 비주류 사상가 (문화 철학자? 역사 철학자?)

: 벤야민은 당대 환영받지 못했던 비주류 사상가였다.

: 부유하게 태어났지만, 말년에는 경제난으로 고생했다.

(Q 전통 맑시즘파가 아니었던 이유 외에도, 혹시 유대인이라는 인종의 장벽은 없었는지?)

 

4. 벤야민의 역사관 (Q 니체적인 역사관과 유사하다.)

: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에 의문/의심/회의를 갖는다.

: 역사가 하나의 실체로 이해되었던 19세기식 역사관(헤겔의 역사관)을 뒤집는다. (?)

: 헤겔에게서 플라톤과 같이 변하지 않는 것이 실체고 우월한 것이라면,

변하는 것, 변화무쌍한 것은 실체가 아니고 허상이다.

: 벤야민은 이와 반대로, 변화무쌍한 것, 그래서 허무한 것을 긍정적으로 본다.

변하지 않는 것, 절대불변의 역사관, 진화하는 역사관, 목적론적 역사(세계관)를 부정한다.

(Q 니체식, 아감벤식으로 말하면, 직선적인 시간관, 기독교적 시간관과 매칭되는 것 같다.)

: 변화를 일으키는 원리/순환이 중요하다.

(Q 들뢰즈가 말한 “순환으로서의 무의식”을 연상시킨다. “오직 순환의 관점만이 정언적이고 절대적이다.”)

: 역사 자체가 내적인 의미를 가진다. 보편적인 역사의 실체 속에는 시작과 끝이 있다.

: 맑시즘의 함정.

맑시즘도 가다 보면 만민평등이라는 유토피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 진화론을 역행하는 것이 혁명이다.

(Q 진화론은 예컨대 단세포 생물과 같은 생물 그 자체의 개체성이나 단일성을 배제하고 있다.)

: 벤야민은 많은 맑스주의자가 파시즘과 제국주의를 지지했던 것에 실망하고, 이와 같은 동일한 양상,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백전백패하고 만다는 위기감을 표명했다.

: 역사 의식과 논의, 근대 역사 유물론은 가능한가? 정초할 수 있는가?

(Q 벤야민은 맑스주의자를 비판하거나, 혹은 비주류의 위치에서, 어떻게 맑시즘을 읽었을까? 왜 새로운 역사관을 제시하면서, 굳이 유물론을 결합시켰는가? ‘역사 유물론’은 무엇인가? )

: 역사 유물론은 역사의 연속성을 중단시키고, 그 시간을 거꾸로 되돌린 혁명 자체를 상징하는 용어인가?

: 역사의 연속성이 파괴된 순간/“단속(단절되면서 연속된)”된 순간이 “메시아적 시간”이고 “진정한 예외상태”다.

(Q “예외상태”는 아감벤에게서 계엄상태와 같이 부정적으로 쓰였던 것 같아서, 이와는 전혀 연관이 없는 것인지요, 없어야 말이 되겠지요?)

(Q 시간을 중단(“세계의 기관차의 비상 브레이크”)시킨다는 것은 ‘일종의 사건’ / 도래한 시간 / 도래할 미래 / 아감벤의 “유아기의 역사”를 상기시킨다. 어떤 상관성이 있을까요?)

: 벤야민은 니체와 같이, 단일한 역사의 상정을 거부하고, 역사 자체가 변화한다고 보았다.

 

5. 벤야민이 바로크 시대/예술에 심취하다?

: 르네상스(고전 회귀, 복원)를 벗어나 바로크 예술은 전형적 유형의 답습을 거부한다.

: 바로크의 비애극을 보면, 인생무상을 다룬다.

자연 만물은 모두 “변하기”에 무상하다. 하지만 벤야민은 여기서 “고유한” 의미에 주목한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발견한다. (대표적으로 아이들의 사례, 그들의 유년기)

관계/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드러내는가?

: 인생무상 / 고유성 / 변화무쌍 / 소멸 ↔ 전형성 / 영원불멸

: 이러한 역사의 문제의식이 사물에 영향을 미친다.

: 인생무상에서 멜랑꼴리가 발생한다.

(벤야민은 일반적인 멜랑꼴리의 기의를 비튼다. “멜랑꼴리”는 우울이 아니다. “혁명적 니힐리즘”이다.

Q 혁명적 니힐리즘으로 명명되기 전에, 벤야민에게 멜랑꼴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울러, 알레고리(알레고리는 비유가 아니다.)는 무엇인지요?

마지막으로, 벤야민에게 예외상태는 무엇인지요? (카를 슈미트의 말 “주권자란 예외상태를 결정하는 자다”를 비틀었다면/변형했다면, 어떻게 활용(예외적인 상태를 무화시키기)?

앞에 나온 “진정한 예외상태”로서 “메시아적 시간” (앞으로 도래할 시간?)인가요? )

 

: 벤야민은 기존 역사를 멈추고 진단하여 새로운 역사의 도래를 지향했고, 근대 정치와 국가를 비판하여 자기식으로 변형했다. 카를 슈미트의 예외상태를 일반화하여 더 이상 예외적이지 않도록 했다.

 

: 소렐(생디칼리스트-국가폐지, 노동조합주의)은 근대국가론을 비판하여 파시즘론을 만들어낸 슈미트와 이를 비판한 벤야민을 둘 다 수용했다. “어떻게 근대 정치, 국가를 넘어설 것인가”의 답으로 특히 벤야민을 주목했다. “역사는 어떻게 극단/파국을 맞이하는가?”

(Q 갑자기 여기서 역사의 파국이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지 궁금합니다. 파시즘? 국가주의?)

 

: 매번 이기는 파시즘의 장기판에서 승리를 거두는 법은 맑시즘이 메시아적 사유를 하는 것이다. (Q 그런 의미에서 창안된 것이 (정지된/단속적) 역사-유물론인가요? )

 

6. 벤야민을 위한, 벤야민에 의한 메시아

: 메시아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신이 아니다. 절대자나 대속자, 예수와 상관없다. (?)

: 기존 역사의 연속성을 깨고 새로운 역사를 사유한다. (Q 非신적인가?)

: 메시아적 시간 구조는 역사가 단절, 중단, 도약, 비약하는 것이다.

 

7. 벤야민과 혁명

: 벤야민에게 혁명은 근대적인 역사관/시간관/세계관의 ‘정지된 지속’이다(?)

: 혁명은 낯선 것이고, 잡동사니, 소수적 존재와 연계된 것이다.

 

Q. 벤야민에게 아우라란?

: 벤야민에게 중요한 것은 어떻게 물신성이 만들어지는가다.

(벤야민-아케이드, 보들레르-산책자가 연상된다.)

: 채무 관계의 반복 속에서 자본주의가 부과하는 삶의 방식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지를 고민했다.

: 맑스주의자(에티엔 발리바르, 루이 알튀세르)가 말한 제도 개혁과 별개로, 다르게 사는 삶의 방식의 고안이 중요했다.

: 기술 문명의 양면성을 지닌 것이다.

끌리는 판타스마고리아(주마등)가 있으며, 유토피아마저 상품 판매 수단으로 써먹는 자본의 민낯이 있다?

: (Q 기술복제의 시대에서 복제품/가짜에게서 볼 수 없는, 진품에게서만 발견되는 가치가 아우라가 아닌지요? )

 

*** 손기태 선생님의 강의와 설명은 알기 쉽고, 전달이 잘 되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벤야민의 역사 유물론이 어떤 배경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시사점을 갖는지,

앞으로 읽어나갈 내용에 대한 소개를 잘해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다만, 지방에 머물러야 할지도 모르는 등, 줌으로 마음 놓고 수강하고 싶은데요,

(지방이나 해외에서도 강의실의 문턱을 넘을 수 있다는 것이,

줌의 최대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시간의 문제일 수 있겠지만, 청중들의 목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아서 답답했습니다.

(같이 하실 분들 소리가 들리지 않아서, 발제도 제대로 고르지 못했습니다. ㅠㅠ)

 

청중들의 발언이나 모습이 들리고, 오프라인과 온라인 간의 장벽이 무너지려면,

중간 중간에 1~2대라도 노트북이 앞에 가까이 놓여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 발제와 관련해서, 카톡방에도 올렸지만,

(무조건 3편이 아니라) 서로 다른 책을 3편씩 발제하면 좋겠습니다.

같은 책을 연속해서 하면 힘들 것 같다는 예상이 듭니다.

하지만 안되면 그대로 따르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인사원_니체 :: 너희가 니체를 알겠지?! [1] oracle 2019.01.31 663
1485 [푸코의 말과 사물] 12강 발제 10장 3절 file 동현 2023.06.02 37
1484 칸트의 인간학과 타자로서의 장애인 에세이 프로포잘 초보(신정수) 2023.06.02 40
1483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발제(10강 1~2절) 현진 2023.06.02 21
1482 [칸트의 인간학] 12강 발제문 file 네오 2023.05.29 81
1481 칸트 11강을 마치고 [2] 현옥 2023.05.28 55
1480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발제 8절 file 바라 2023.05.26 28
1479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쪽글 동현 2023.05.25 16
1478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발제-4절 5절 file 동현 2023.05.25 15
1477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발제 1절 사각사각 2023.05.24 19
1476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발제 2~3절 현진 2023.05.24 17
1475 [푸코의 말과 사물] 11강 : 9장 인간과 인간의 분신들_6-7절_발제 file 오 나의 고양이 2023.05.24 20
1474 [칸트의 인간학] 10강 후기 여여 2023.05.22 36
1473 칸트 10강을 마치고 현옥 2023.05.22 44
1472 [푸코의 말과 사물] 10강 쪽글 사각사각 2023.05.18 31
1471 칸트의 인간학 쪽글 (결석과 과제미제출 겹친 후에 몰아서 ㅠ) [2] file 진 (소나무) 2023.05.18 38
1470 [칸트의 인간학] 9강을 마치고 [1] 현옥 2023.05.15 72
1469 [칸트의 인간학] 9강 쪽글 [4] 누혜 2023.05.15 63
1468 [푸코의 말과 사물] 10강 쪽글 file 동현 2023.05.12 46
1467 [푸코의 말과 사물] 10강 질문 현진 2023.05.11 15
1466 [푸코의 말과 사물] 10강 : 8장 노동, 생명, 언어 (5절) 발제 사각사각 2023.05.11 2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