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원일정 :: 인사원 일정공지 게시판입니다. 결석/지각은 일정공지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곤충연대기』를 함께 읽었습니다. 지금까지 여러 권의 책들을 읽으면서 인류학의 대상인 원주민에서부터 동물과 식물, 곤충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인간부터 곤충까지를 사고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언제나 그것의 바깥을 함께 사고하는 것이었습니다. 타자인 그들을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구체적 배치(움벨트) 속에서 사고하는 것입니다. 유기체라는 독립된 개체로 타자를 사유한다면 각기 다른 생물들의 생존권이 충돌할 경우 ‘이것이냐, 저것이냐’하는 배타적 이접의 문제로 빠질 수밖에 없고, 그 속에서 생물이 가진 불변의 본성을 가정할 위험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특정 생물의 입장에 서서 그들에 대해 사유할 때는 언제나 그 생물의 움벨트 속에 들어온 다른 것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것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하나의 개체를 그것을 둘러싼 움벨트 속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개체를 개체 외부와의 관계 속에서 바라보는 것을 뜻합니다. 곤충이라는 개체적 타자 속에 숨겨진 식물, 다른 곤충, 포식자, 땅 등의 관계를 드러내는 것입니다. 그러나 외부를 통해 개체를 사유하는 이런 방식이 단순히 모든 관계를 우호적인 관계로 보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많은 경우 한 개체의 움벨트는 그 개체의 생존을 위한 관계이기 때문에 포식의 문제와 분리될 수 없습니다. 개체가 맺는 관계는 포식을 위한 관계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개체의 관계를 사유한다는 것이 포식의 적대성을 잊게 만든다면 결국 다시 ‘한 생명이 소중한 만큼 다른 생명도 소중하니 함부로 해쳐선 안 된다’는 배타적 이접의 문제로 빠지게 됩니다. 관계 속에서 하나의 개체를 사유한다는 것은 ‘포식이냐, 동맹이냐’하는 선택의 문제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그것이 어떤 관계인지를 따져야 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포식을 위한 동맹 속에서도 그들이 서로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그 이용이 일방적 착취는 아닌지를 따져 물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진화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통상 진화란 인간중심적인 통념에 따라 인간을 진화의 끝에 두고 다른 생물들을 인간과 가까운 순서대로 배열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인간-영장류-포유류-어류…등등 그러나 지금도 많은 생물들이 물속에서 살고 있고, 인간은 물속에서 숨 쉴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것이 진정한 ‘진화’인지 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또한 복잡화의 순서로 진화를 이해한다해도 앞서 살펴본 것처럼 식물은 인간보다 훨씬 많은 감각을 가지고 있고 인간은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생존합니다.

이처럼 진화는 흔히 하는 통념처럼 인간을 끝에 두고 선형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진화란 어떤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따라서 현재 살아남은 것에 의해 언제나 소급적으로 정의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해 현재 살아남은 생물들은 모두 최선의 진화를 이뤄낸 셈입니다. 이를 주어진 환경조건의 고려 없이 비교한다면 인간중심적인 척도를 다른 생물들에 들이대는 것에 불과한 것이 되고 맙니다.

자연과학에서는 수학-과학의 모델을 따라 진화를 근거율을 통해 설명하려 합니다. 근거율이란 어떤 것의 부정이 거짓이 되는 것으로 그럴 수밖에 없는 논리적 필연성을 찾습니다. 즉 이러저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살아남고, 그렇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식으로 설명합니다. 살아남은 것의 어떤 특성을 살아남을 수 있는 필연적인 특성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 진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주어진 환경조건이 변하면 쓸모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태적 완전성이 생존과 필연적으로 결부되어 있지 않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진화의 역사란 생존의 이유를 살아남은 것을 통해 파악하기에 충족이유율만을 보여줄 뿐입니다. 충족이유율이란 존재하는 것에는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말해줄 뿐이라 그것의 부정이 거짓이 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살아남을 만했기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고, 살아남은 것이 진화의 이유가 되는 것입니다.

진화를 충족이유율을 통해 설명하는 것은 엄밀히 말해 동어반복입니다. 살아남은 것은 진화했기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 아니고 살아남을 만했기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즉 살아남은 것의 이유를 살아남은 것을 통해 설명하기에 진화를 선험적인 어떤 것으로 정의할 수가 없습니다. 진화란 언제나 살아남은 것을 통해 사후적으로만 정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엄밀한 수학-과학의 모델을 통해 진화를 설명하려는 자연과학자들에게 이러한 설명은 불편한 것이었고 끊임없이 논리적 필연성을 통해 진화를 설명하려 했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엄격한 과학주의적 욕망이 어떤 것인지를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떠한 것도 주어진 조건이 변하면 그 가치가 변하며 절대적인 것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주는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입니다.

발제는 최유미 선생님과 김은석 선생님입니다.

책을 읽다 궁금한 점이나 중점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으신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목요일에 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 사용] 결석계는 주차별 공지사항에 덧글로 달아주세요 효영 2019.11.12 220
625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4강 공지 [3] 창근 2021.06.12 114
624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3강 공지 Jae 2021.06.06 45
623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3강 공지 [2] 창근 2021.06.05 94
622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2강 공지 Jae 2021.05.30 48
621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2강 공지 [1] 창근 2021.05.30 106
620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1강 공지 Jae 2021.05.23 74
619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1강 공지 [2] 창근 2021.05.23 137
618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0강 공지 창근 2021.05.16 111
617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0강 공지 [2] Jae 2021.05.16 89
»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9강 공지 [2] 창근 2021.05.10 102
615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9강 공지 [1] Jae 2021.05.09 67
614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8강 공지 [1] 창근 2021.05.02 119
613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8강 공지 Jae 2021.04.30 58
612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7강 공지 [1] 창근 2021.04.25 134
611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7강 공지 Jae 2021.04.24 69
610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6강 공지 [3] 창근 2021.04.17 172
609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6강 공지 Jae 2021.04.17 68
608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5강 공지 [5] 창근 2021.04.11 218
607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5강 공지 Jae 2021.04.10 83
606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4강 공지 [8] 창근 2021.04.04 20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