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원일정 :: 인사원 일정공지 게시판입니다. 결석/지각은 일정공지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지난 시간에는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 1~4장을 읽었습니다. 이 책의 접근 방식은 여러모로 『식인의 형이상학』을 생각나게 합니다. 이 책의 저자인 드 발을 비롯해 많은 동물행동학자들은 동물들을 그 동물의 움벨트 속에서 파악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인간학적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는 동물들의 모습을 발견하려고 합니다. 동시에 그러한 노력 속에서 인간중심의 휴머니즘에서 벗어나려고 합니다. 이를 더 밀고 가면 동물들을 통해 인간을 다시 정의하는 지점까지 나아가게 됩니다. 이는 인류학자들이 원주민들을 향해 접근했던 방식과 그것을 통해 서구 인류학 혹은 지성을 다시 정의하려는 방식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강조되었던 것은 움벨트와 그러한 움벨트 속에서 개체를 바라보는 것, 그리고 동물의 지능과 의식 등이었습니다.

드 발은 어떤 생물을 이해하기 위해선 그 생물이 속한 움벨트 속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한 생물의 움벨트란 그 생물의 생존에 관여하는 요소들, 그 생물이 생존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는 조건들의 집합입니다. 한 생물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오는 자극에 신체적으로 반응하고 그 반응을 생존의 지속을 위한 행동으로 돌려냅니다. 즉 환경에서 오는 자극과 그 자극에 대한 신체의 반응과 행위가 한 생물, 개체의 움벨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한 생물의 움벨트를 결정하는 것은 신체와 환경이 뒤섞이는 양상에 따릅니다. 따라서 같은 환경이라고 불리는 곳에서조차 생물들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움벨트를 형성합니다. 가령 눈이 없는 진드기 종은 촉각과 후각, 온도 등 단 몇 가지만으로 자신의 움벨트를 형성합니다.

하나의 생물을 그 생물이 속한 움벨트 속에서 본다는 것은 이처럼 그 생물의 생존의 지속이라는 관점에 따라 생물을 이해함을 뜻합니다. 한 생물의 감각, 인지 혹은 지능마저 그 움벨트 속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눈이 없는 진드기를 바라볼 때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인간의 기준(척도)을 가지고 이해하려한다면 필연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인간은 그 실패를 눈이 없는 진드기의 미개함으로 결론 내립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한 생물이 자신의 움벨트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생존 능력을 고양시키는 가를 보는 것입니다. 한 생물의 지능 역시 척도의 문제입니다. 우리는 흔히 지능을 뇌라는 기관의 기능으로 등치시키곤 합니다. 그러나 이는 인간화된 기관중심적인 사고방식입니다. 식물은 뇌 없이도 사고하며 지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식물이 보여주는 지능은 논리적 추론이나 수학적 사고와 같은 인간적인 지능이 아니라 전혀 다른 형태의 지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드 발은 동물행동학을 ethology라고 부릅니다. 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동물들의 행동을 통해 동물의 에토스ethos를 이해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에토스란 집합적인 습속을 말합니다. 하나의 동물, 하나의 개체의 위치는 그 동물이 속한 개체군 속에서 정의됩니다. 다시 말해 한 개체의 행동은 그 개체가 속한 개체군 속에서 개체가 다른 개체와 맺는 관계 속에서만 이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에톨로지는 동물의 행동을 주관적인 의도로 환원하지 않습니다. 에톨로지가 보고자 하는 것은 주관적 의도가 아니라 관계 속에서 특정 행동이 어떤 결과와 효과를 내는지를 보는 것이고, 그것을 통해 행동의 의미를 역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는 들뢰즈식으로 말한다면 배치 속에서 개체를 보는 것이고, 라투르식으로 말한다면 연결망 속에서 개체를 보는 것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습니다. 배치와 움벨트의 차이라면 움벨트가 물리적 환경에 좀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배치는 그런 물리적인 것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인 것처럼 보입니다.

하나의 개체를 이해하는 것에 있어 개체군 속에서 그 개체의 위치를 정의하는 것과는 반대로 미시적인 것으로부터도 개체를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생물, 유기체라고 부르는 것들은 모두 미생물, 박테리아 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책에서 생물들의 진화적 공통성은 상동기관을 통해서 찾아집니다. 박쥐와 인간 뼈의 상동성은 그 진화적 기원이 같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생물들의 공통성이 뼈에서 멈출 이유는 없습니다. 더 거슬러 올라간다면 박테리아 군체에서 모든 생물들을 하나의 평면 위에 세울 수 있습니다.

모든 생물들은 박테리아 군체들의 집합이고, 그 집합의 양상에 따라 이러저러한 생물로 분화됩니다. 즉 박테리아 군체가 모든 생물들에 공통적인 가장 미분화된 추상의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것으로도 분화되지 않았기에 어떤 것으로도 분화(현행화) 가능한 상태를 가리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체를 정의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것은 박테리아 이전에 더 근원적인 무언가를 찾으며 소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종합되는 양상을 보는 것입니다. 미분적이고 가장 추상화된 상태에서 결국은 모두가 같다!라고 하는 것을 찾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어떤 식으로 종합되고 분화되어 나오는지를 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 군체라는 미분화된 상태에서 종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분화될 때 의식과 무의식이 정의될 수 있습니다. 개별 세포들의 감각, 개체를 이루는 미시적인 성분들을 ‘나’라고 하는 자아 혹은 유기체 수준에서 종합하는 것은 무의식적으로 이뤄집니다. 개별 감각들을 ‘나의 감각’이라고 하거나 유기체의 내부와 외부를 가르는 경계를 만들어내는 것(면역계의 형성 등)은 신체의 무의식적 활동입니다. 의식은 이러한 무의식에 기반 해서 자신의 환경에 대응하는 행동을 만들어냅니다. 즉 외부적 환경에 대응하는 의식적 행동은 무의식에 의해 형성된 자아 위에서 이뤄지는 것입니다.

미시적인 것에서부터 개체를 파악하는 것은 지난 시간에 봤던 연속체로서의 다양체를 떠올리게 합니다. 연속적 다양체로서 개체에 접근한다면 박테리아 군체라고 하는 물리적 실체로 소급하지 않고도 강도의 분포의 변화만으로 신체를 추상화할 수 있습니다. 이 지점에서 되기가 어떤 것인지 다시 한 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개체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 미시적인 것에서부터 그 개체를 정의하는 것과 개체군이라고 하는 배치 속에서 정의하는 것은 모두 개체를 실체적 접근에서부터 멀어지게 합니다. 동물에 대한 사유는 대개 동물에 대해 개체적이고 실체적인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인간의 권리가 소중한 만큼 동물의 권리가 소중하니 동물을 함부로 죽이면 안 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모든 동물, 개체는 언제나 특정한 배치 속에 위치하고, 그 위치에서 발화합니다. 가령 어떤 동물의 위기는 모두 그 동물이 처한 배치 속에서 기인합니다. 그런데 동물의 위기를 이야기하면서 그 동물을 위기가 발생한 배치에서 빼내어 독자적인 개체로 다룬다면 구체적인 위기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그저 ‘동물의 권리’라는 뻔한 말로 돌아가거나 인간과 동물의 가치를 비교하는 곤란함 속에 빠져들게 됩니다. ‘동물이냐, 사람이냐’하는 배타적 이접은 하나의 선택을 강요하는 이분법적 사고가 곳곳에서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동물에 대해 생각할 때에도 이처럼 개체적이고 실체적인 접근은 결국에는 배타적 이접을 피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반면 배치 혹은 움벨트 속에서 개체를 본다 함은 위기 역시 그 위기를 초래한 관계, 그 동물을 둘러싼 것들 속에서 위기를 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위기를 타개하는 방식 역시 그 동물이 속한 배치를 바꾸어 새로운 관계를 맺게 하는 것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러한 새로운 관계, 배치 속에 대부분 인간이 빠질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그것이 다시금 인간중심주의로 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인간이 개입될 때에도 그것이 인간중심적인 것인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위기를 초래한 배치는 ‘어떤’ 배치인가를 묻는 것이고, 그를 통해 ‘어떤’ 배치로 넘어갈 것인가를 찾는 것입니다.

가령 ‘동물의 생존권이 우선이냐, 사람의 생존권이 우선이냐’하는 배타적 이접의 문제는 동물의 생존과 인간의 생존이 충돌할 때 자주 나타나는 이분법입니다. 이때 하나를 선택하면 그것이 다른 것보다 그 자체로 더 가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되고, 동시에 다른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난감함이 발생합니다. 이런 배타적 이접의 문제로 빠져들지 않는 방법은 사람과 동물을 그들을 둘러싼 관계, 배치 속에서 바라보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생존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배치 속에서 이뤄지고, 동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그 둘의 배치가 함께 양립할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생존과 동물의 생존이 함께 관계된 새로운 배치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동물들을 돌봄으로써 사람들의 생존이 지속되는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동물들의 생존이 인간들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새로운 배치를 만들어내는 것은 사람과 동물이 접속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접속은 인간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만 인간중심주의로 빠지지 않게 됩니다.

다음 주는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 5~9장입니다.

발제는 김효영 선생님과 조새봄 선생님입니다.

책을 읽다 궁금한 점이나 이야기하고 싶으신 내용은 댓글이나 새글로 남겨주시면 됩니다.

목요일에 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 사용] 결석계는 주차별 공지사항에 덧글로 달아주세요 효영 2019.11.12 220
625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4강 공지 [3] 창근 2021.06.12 114
624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3강 공지 Jae 2021.06.06 45
623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3강 공지 [2] 창근 2021.06.05 94
622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2강 공지 Jae 2021.05.30 48
621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2강 공지 [1] 창근 2021.05.30 106
620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1강 공지 Jae 2021.05.23 74
619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1강 공지 [2] 창근 2021.05.23 137
618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10강 공지 창근 2021.05.16 111
617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10강 공지 [2] Jae 2021.05.16 89
616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9강 공지 [2] 창근 2021.05.10 102
615 [삶과 예술, 예술로서의 삶] 9강 공지 [1] Jae 2021.05.09 67
614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8강 공지 [1] 창근 2021.05.02 119
613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8강 공지 Jae 2021.04.30 58
612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7강 공지 [1] 창근 2021.04.25 134
611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7강 공지 Jae 2021.04.24 69
610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6강 공지 [3] 창근 2021.04.17 172
609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6강 공지 Jae 2021.04.17 68
»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5강 공지 [5] 창근 2021.04.11 218
607 [삶과예술, 예술로서의 삶] 5강 공지 Jae 2021.04.10 83
606 [휴머니즘의 외부, 혹은 타자성의 자연학] 4강 공지 [8] 창근 2021.04.04 20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