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원일정 :: 인사원 일정공지 게시판입니다. 결석/지각은 일정공지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을 끝으로 드디어 『식인의 형이상학』 책을 모두 마쳤습니다. 어려운 책이지만 함께 읽어서 끝까지 읽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레비스트로스 이론과 그것을 비판했던 들뢰즈/가타리, 이것을 되기를 통해 다시 비판한 까스뜨루 그리고 레비스트로스 이론의 이중의 변형 등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먼저 레비스트로스는 친족 체계를 호칭의 체계로 보았습니다. 친족 체계란 호칭이 일의적으로 정의되는 체계입니다. 호칭이 일의적으로 정의가 되려면, 즉 엄마가 오직 엄마이기 위해서는 근친상간이 금지가 되어야 합니다. 근친상간이 금지가 되지 않으면 엄마가 아내가 되는(오이디푸스) 일이 벌어지고 그로 인해 자신의 딸은 딸인 동시에 누이가 됩니다.(안티고네) 이처럼 일의적 호칭 체계에 의한 친족 체계는 근친상간 금지라는 규칙 위에서 성립합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인류학적 분석을 통해 동물적 자연에서 인간의 문화로 넘어가는 지점을 찾으려고 했습니다. 즉 보편적이라 부를 수 있는 자연에서 문화로 넘어가는 그 지점을 찾으려고 했습니다. 이때 레비스트로스가 발견한 인간만이 가지는 고유한 것이 근친상간 금지였습니다. 근친상간 금지는 인간 문화가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든 발견할 수 있는 인간만의 보편성이었고, 그렇기에 자연에서 문화로 넘어가는 지점이었습니다. 인간 문화의 형태가 저마다 다르다고 해도 어떤 곳에서든 문화가 있는 곳에는 근친상간 금지라는 심층 구조가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인류학적 분석을 통해 근친상간 금지라는 인간 문화의 보편성을 찾아내게 됩니다.

더불어 레비스트로스는 결혼을 여자의 교환을 통해 두 집단이 맺는 관계로 보았습니다. 여자의 교환, 재화의 교환 등등 교환의 일반성은 레비스트로스에게는 문화를 설명해주는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이었습니다. 한편 들뢰즈/가타리는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레비스트로스의 근친상간 금지와 교환의 일반성을 비판합니다. 『안티 오이디푸스』는 책의 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정신분석의 핵심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가족 삼각형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근친상간 금지라는 규칙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인류학적 버전이었고, 따라서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의 주요한 비판 대상입니다. 이와 더불어 교환의 일반성을 생산의 일반성으로 비판합니다.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말하는 생산은 일차적으로 활동의 산출을 말합니다. 생산은 어떤 활동의 생산이고 이것은 특정한 욕망에 따릅니다. 이런 의미에서 욕망하는 생산이란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욕망에 따라 이러저러한 활동들을 산출하는 생산을 말합니다. 욕망하는 생산은 결여나 결핍과는 다른 차원에서 욕망을 정의해줍니다. 즉 활동의 생산은 언제나 어떠한 욕망에 따른 생산이고 이는 욕망 자체가 곧 결여 없는 생산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때의 욕망은 ‘나’ 혹은 어떤 유기체의 욕망이기 이전에 ‘내’안에 있는 상이한 미시적인 분열자들의 욕망을 가리킵니다.(분열분석) 어떤 행동을 할 때 망설이는 이유는 내 안의 수많은 미시적 욕망들이 서로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욕망은 ‘나’라는 통일체의 욕망으로 환원되지 않습니다. 또한 같은 의미에서 욕망은 인간에게 한정된 것만도 아니게 됩니다. 미시적 욕망은 특정한 하나의 욕망으로 포착되기 전에 항상 변화하는 이행기에 있고, 특정한 하나의 욕망은 다른 욕망과의 결합 속에서 드러납니다. 망설임 속에 어떤 하나의 행동을 산출하는 것은 하나의 욕망이 다른 욕망을 지배할 때 나오는 것입니다. 힘의 차원에서 강도가 힘과 힘의 결합(차이)이라면 욕망의 차원에서의 강도 역시 욕망과 욕망의 결합에서 나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해서 강조된 강도적 연속성은 이처럼 힘과는 구별되는 욕망의 차원에서 역시 서술될 수 있습니다.

활동의 산출이라는 들뢰즈/가타리적 의미의 생산에서 등가적 교환은 일차적인 의미를 가질 수 없습니다. 등가적 교환은 교환되는 항들의 대칭성을 전제하는데, 이러한 인위적 대칭성과 달리 증여와 훔치기는 비대칭적인 활동입니다. 증여란 받을 것을 생각하지 않고 주는 것이고 훔치기는 줄 생각이 없는 것을 받는 것입니다. 증여와 훔치기에서 주는 자와 받는 자는 대칭적인 관계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즉 등가적 교환으로 설명할 수 없는 관계이고 이런 관계가 등가적 교환의 대칭성에 우선하는 것입니다.

반면 까스뜨루는 다시 한 번 들뢰즈/가타리의 생산을 비판하면서 교환을 새로운 의미에서 부각시킵니다. 까스뜨루가 보기에 들뢰즈/가타리의 생산이란 맑스적인 의미에서의 생산물의 생산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그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었습니다. 생산물의 생산은 결국은 어떤 대상과 같은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것이고, 이는 친족관계로 치면 아이를 낳는 혈통적 관계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까스뚜르는 생산과는 다른 되기와 그 되기 속에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교환을 이야기합니다. 까스뜨루가 말하는 교환이란 되기 속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교환, 행동의 교환입니다.

까스뜨루가 보기에 생산은 어쨌거나 혈통적 생산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혈통적 생산이 본성적인 것이라 한다면 인간과 동물의 동맹은 그러한 생식적 본성과 다른 것입니다. 되기란 언제나 본성nature에 반하는 분유, 즉 참여입니다. 어떤 것으로의 되기는 언제나 그 어떤 것의 다른 것 되기를 동반합니다. 가령 샤먼의 재규어-되기는 재규어가 가진 신체의 강도적 분포에 따라 샤먼 자신의 신체의 강도적 분포를 변환시키는 것입니다. 이때 재규어는 샤먼의 재규어-되기에 ‘반응’하여 재규어의 다른 것-되기로 ‘행동’합니다. 까스뜨루는 이런 의미에서 혈통적 생산과 다른 동맹적 교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샤먼의 재규어-되기에서 실제 재규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샤먼의 재규어-되기라고 부를 때에도 그것은 단순히 재규어의 모습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샤먼을 ‘행동’하게 하는 재규어는 없습니다. 거꾸로 샤먼이 재규어-되기를 했을 때 그런 재규어-되기에 ‘반응’하는 재규어나 다른 이들 역시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샤먼의 재규어-되기는 샤먼 자신의 신체적 변환을 위한 것이지 누군가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봤을 때 생산에 반하는 되기와 그러한 되기를 교환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게 됩니다.

까스뜨루가 생산에 반하는 되기를 강조하는 것은 혈통에 대한 동맹의 일차성을 강조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때에도 중요한 것은 동맹이 일차적이냐, 혈통이 일차적이냐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외연적 관계인가, 강도적 관계인가를 묻는 것입니다. 단순히 외연적인 관계 속에서 엄마와 나, 누이와 나의 호칭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관계 속에서 내가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변화하는 것을 포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통마저 강도적 동맹 관계 속에서 다룰 때 혈통 안에서도 전혀 다른 종류의 가족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됩니다.

다음으로 레비스트로스는 자연에서 문화로의 이행을 이번에는 신화 속에서 찾습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신화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불연속성이 출현하는 지점을 찾아 그것을 통해 자연과 다른 문화의 구조를 찾으려고 합니다. 이런 의도 아래 레비스트로스는 대수적 군 이론을 신화 분석에 도입합니다. 레비스트로스는 신화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 요소들을 신화소로 환원하고 신화소들의 관계와 각각의 항들의 치환을 통해 모든 신화를 분석하려고 합니다. 가령 어떤 신화에 등장하는 어머니가 하는 역할을 어떤 신화에선 아버지로 바뀌는 것을 찾아 관계의 동형성을 발견합니다. 이처럼 변환되는 내용 속에서도 그 관계가 같다면 신화들 사이에선 구조적 동형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신화소의 치환을 통해 구조적 동형성을 찾던 레비스트로스는 계속되는 신화 분석 속에서 구조적 동형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신화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런 신화들에서는 불연속성이 등장하지 않고 오히려 이행과 계속되는 연속성이 드러납니다. 자연과 문화를 나누는 불연속성을 찾는 것이 신화 안에서의 연속과 이행의 과정 속에서 불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결국 레비스트로스는 자신의 의도를 자신의 연구를 통해 반박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동시에 구조적 동형성을 찾는 대수적 군 이론에서 연속성을 다룰 수 있는 미분과 미분적 다양체로서의 구조라는 개념으로 넘어가는 지점이 됩니다. 다시 말해 동형적 구조를 와해시키는 리좀적 구조가 레비스트로스의 연구 속에서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레비스트로스 이론에 나타나는 구조에 대한 이러한 변형은 그의 연구에 통시적, 공시적으로 모두 나타나기에 이중의 변형이라고 이야기됩니다.

신화의 요소들을 신화소로 치환하고 그것들의 동형적 관계를 연구하는 대수적 군 이론은 이미 확정된 신화소라는, 즉 이미 분화된 현행적인 항들에 대한 구조를 다룹니다. 반면 미분적 다양체로서의 구조는 특정한 항으로 분화되고 고정되기 이전의 잠재적이고 연속적인 것으로서의 구조를 다룹니다. 결국 레비스트로스의 연구를 통해서 드러난 신화란 구조적 동형성을 가진 불연속적인 구조가 아니라 끊임없이 유동하는 연속적 다양체로서의 신화였습니다. 그리고 이는 신화를 잠재적이고 연속적인 다양체로서 다루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지점에서 들뢰즈/가타리는 인류학에서 다시 등장하게 됩니다. 동형적 구조로 환원되지 않는 연속체로서의 신화는 레비스트로스와 들뢰즈/가타리의 접속을 표시하는 지점이 됩니다. 즉 레비스트로스가 자신의 연구에서 보여준 이러한 변형이 들뢰즈/가타리의 리좀적 다양체를 불러들이게 된 것입니다. 까스뚜르는 이를 들뢰즈와 함께하는 레비스트로스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는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입니다. 이제 인류학을 넘어 동물에 대한 사유로 갑니다.

발제는 교오 선생님, 김도희 선생님입니다.

책을 읽다 궁금하신 점이나 중점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으신 내용은 댓글이나 새글로 질문 꼭 남겨주세요~

목요일에 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판 사용] 결석계는 주차별 공지사항에 덧글로 달아주세요 효영 2019.11.12 220
745 [월요일, 19세기~20세기 모더니티] 3월 26일 강의 안내 2012.03.20 23680
744 불온한 인문학 트랙 2를 신청하신 분들에게 알려드립니다^^ 수유너머N 2011.05.20 7528
743 [안아르케이즘의 정치학] 10.7(목)_4강 공지 디포 2021.10.05 7001
742 인문사회과학 연구원 출범기념 이진경 공개특강 [1] file 수유너머N 2012.01.14 6201
741 [신자유주의] 일정 및 발제자 (수정) 몽사 2012.09.03 5536
740 [인문사회과학 연구원] 이진경의 특별 공개특강 [4] file 수유너머N 2012.07.23 5033
739 [부정신학] 발제 및 간식 준비 일정 공지 hwa 2013.03.06 4893
738 [월요일, 19세기~20세기 모더니티] 발제, 간식, 후기 일정표 2012.03.05 4681
737 [차이와 반복] 발제, 간식&후기 당번 + 강의 일정 공지(추가) 일환 2012.03.10 4351
736 [인문사회 과학연구원] 2014년 1학기 강의 안내 수유너머N 2014.01.05 4173
735 발제, 쪽글(과제), 후기 관련 안내 해피 2012.03.13 4020
734 <차이와 반복>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 수유너머N 2012.02.03 3762
733 [차이와 반복] 7월 5일 기말페이퍼 발표 안내 file 일환 2012.07.02 3752
732 [공개특강 신청마감] 특강 신청자 명단 & 공지 수유너머N 2012.01.25 3307
731 [부정신학]4월 15일 '쿠자누스'닷 file hwa 2013.04.08 3205
730 인문 사회과학 연구원 개강안내 ^^ file 수유너머N 2012.02.29 3112
729 [부정신학] 4월 29일 '쿠자누스-다른 것이 아닌것' [1] file hwa 2013.04.22 3003
728 [19세기~20세기 모더니티] 4월 2일 강의 안내 2012.03.26 2913
727 5월 21일 월요일 강의 안내 hhh 2012.05.15 2845
726 [19~20세기 예술과 모더니티] 강좌의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수유너머N 2012.02.13 282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