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원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불온한 인문학 트랙 2 강사 최진석 인터뷰~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욕망해도 좋아?!

 

 

노마디스트 수유너머N "불온한 인문학“ 두 번째 트랙은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 읽기다. 연구실에 자주 접속한 친구들이라면 들뢰즈·가타리 이름은 한 번쯤 들어봤을터인데... 그의 다른 저작 중에서도 『안티 오이디푸스』를 선택한데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

 

지난 트랙 1에서 맑스의 『자본』을 읽고 들뢰즈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읽는데는 뭔가!? 깊은 뜻이 있지 않을까? 맑스의 『자본』을 읽고 풀리지 않는 질문들이 들뢰즈·가타리를 만나면 조금은 해소가 되지 않을까? 혹은 또 어떻게 증폭이 될까? 여기저기서 트랙 2 강의에 대한 질문들이 들린다.

 

 

그동안 좀처럼 본색을 드러내지 않고 학자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열심히 강의 준비(?)와 집필 활동(?)에 여념이 없었다는 최진석 선생님을 만나 궁금하지만 차마 묻지 못했던 것들, 이들테면 “왜 하필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입니까? 절판되서 책 찾기도 힘든데용?” 같은 기초적인 질문부터 던졌다.

 

 

왜 지금 우리는 들뢰즈·가타리의『안티 오이디푸스』를 읽어야 할까?

 

 

 

인터뷰어 / 화 (불온한 인문학 튜터)

인터뷰이 / 최진석 (불온한 인문학 강사)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읽는 선택한 이유는 뭔가? 들뢰즈의 다른 책들도 많은데~

그 중에서 『안티 오이디푸스』를 고른 데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 것 같다.

 

 

 

진석 : 들뢰즈·가타리가 자본주의와 분열증이란 제목으로 책을 두 권을 냈다. 첫 번째가 『안티 오이디푸스』 (L'Anti-oedipe : capitalisme et schizophr nie)고 두 번째가 『천개의 고원』(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 nie 2)이다. 들뢰즈는 워낙 전방위적인 철학자이기 때문에 책 마다 특별한 제목이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와 분열증이란 시리즈로 나온 것은 사회철학에 해당하는 책이다.

 

내가 지금도 기억나는 게 있다. 『안티 오이디푸스』가 들뢰즈의 사회철학책이라고 해서 읽었는데.. 내가 기대하던 사회철학과 이미지가 다르더라.

 

 

 

                -그때가 대략 몇 년 전?

 

 

진석 : 90대 중반에 처음 읽으니까... (자세한 건 묻지 말라... ㅠ)

 

어쨌든 그 당시 사회철학 하면 마르크스나 헤겔을 생각하거나 좀 세련된 사람이라면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 들을 이야기 했다. 그런 책들의 특징은 굉장히 논리정연하고 사회적 실천을 강조하고 피아를 분명히 구분한다. 그런데 『안티 오이디푸스』는 사회철학에 대한 우리의 통념을 상당히 깨더라.

 

 

P1060639.jpg

 

<그것>은 도대체 뭐란 말이오???

 

 

 

 

               -뭐가 그렇게 깼나...?

 

 

 

 

무엇보다도 전혀 이해할 수 없더라. (웃음) 재밌는 것은 『안티 오이디푸스』 첫 문단에서 ' <그것>은 어디서나 작동하고 있다. 때로는 멈춤 없이, 때로는 중단되면서. <그것>은 숨쉬고, <그것>은 뜨거워지고, <그것>은 먹는다. <그것>은 똥을 누고 성교를 한다. 그것이라고 불러버린 것은 얼마나 큰 잘못인가. 어디서나 그것들은 기계들인데, 결코 은유적으로가 아니다.' 라고 한다. 여기서 <그것>은 어떤 대명사가 아니라 사실은 이제 사회전체 혹은 존재하고 있는 모든 것을 감싸고 존재하도록 만들면서 움직이도록 만들어주는 힘 즉 생성력에 대한 이야기 이다.

 

 

 

                -안그래도 『안티 오이디푸스』읽으려고 시도 했다가~

                그 문단 보고 뭔말이야? 하고 덮었단 친구들도 많더라.

                도대체 그 <그것>이 뭔지 도통 감이 안온다~

 

 

 

프로이트로 따지면 리비도(Libido) 같은 것이다. 사실은 그런 힘이 있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힘의 장 힘의 무대를 어떤 방식으로 구축하는 가가 바로 사회의 역사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안티 오이디푸스』는 사회철학적이고 역사철학적인 방식으로 읽을 수 있다. (사실 이런 걸 안 건 굉장히 나중의 일이다^^)

 

 

 

-들뢰즈·가타리가 사회를 바라보는 독특한 방식이 있을 것 같다.

다른 사회철학과는 어떻게 다르던가?

 

 

 

진석 : 사회철학이나 역사철학이란 관점에서 이 책을 볼 때 들뢰즈와 가타리가 전제하는 것이 있는데 삶이나 사회의 역사에서는 항상 중심화하는 힘이 있고 그 중심에서 벗어나려는 힘이 같이 있다는 거다. 전자를 구심력 후자를 원심력이라 할 수 있는데 그 두 가지 힘의 상호관계가 특정한 사회형태를 결정짓기도 하고 사회가 다른 사회로 변화하게 하는데 하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특이한 것은 자본주의라고 하는 것은 굉장히 확장적인 측면을 가지면서 모든 것을 중심적으로 끌어들이는 강력한 흡입력을 가지고 있다. 이때 이 자본주의를 중심화하는 힘, 사회의 모든 방면으로 확장하는 힘이라는 것이 자본의 힘이다.

 

 

예를 들어 설명한다면 봉건사회다. 봉건사회에서는 신분이라는 규칙이 절대적이었다. 가령 양반과 상민은 결코 동등한 위치에 있지 않았고 분리돼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 중에도 있다. 돈 많은 상민이 양반 신분을 산다. 그리고 그는 양반 행세를 한다고 큰 갓도 써 보고 기와집도 올린다. 그렇게 해 봤는데 양반들이 인정을 안하고... ‘저 놈은 원래 상민 출신이다.’ 결국 별로 재미를 못 봤다는 이야기다..

 

이것이 바로 신분이라는 규칙(코드)다. 이 신분이라는 규칙(코드)은 봉건사회에선 절대 넘을 수 없는 벽이었지 않느냐. 과거로 가면 갈수록 신분을 규정하는 벽이라는 것은 더 두텁고 강했다. 한 사회가 통일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자본주의에 와서는 완전히 변한다. 잘 알다시피 ‘돈’이면 안되는 게 없지 않느냐. 내가 물건을 파는데 ‘양반한테만 팔고, 상민한텐 안판다?’ 아니지 않느냐. 돈은 이전의 신분 관계를 해체 시키는 힘이다. 또한 과거에 있었던 유기적인 공동체 역시 다 파괴한다. 씨족 공동체, 지역 공동체가 화폐가 도입되면서 무의미하게 됐다.

 

 

화폐라는 것이 교환형태가 되면서 돈에 의해 모든 것이 평등하게 환원되어 버리는 이런 상황이 자본주의 체제의 보편성이다. 돈이라는 규칙. 신분이 아니라 돈이라는 규칙이 자본주의 사회를 재패했다. 이것을 들뢰즈·가타리는 초코드화 라고 했다. 자본주의는 굉장히 모순적인 양면성을 갖는다. 자본은 모든 것을 평등하고 공평하게 만들어주지만. 자본이 없다면 그 무엇도 존재하지 않는 화폐 없이는 그 무엇도 존재를 규정할 수 없다.

 

 

겉보기에는 자본주의는 평등하고 이상사회로 보인다. 그러나 자본 사회에서는 그 누구도 어길 수 없는 돈이라는 규칙.. 그 누구도 화폐를 통하지 않고선 세상에 나갈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돈을 벌지 않을 수 없고.. 돈을 벌어야 하는 규칙에 종속되지 않고선 살 수 없다. 그것이 바로 자본주의의 화폐에 대한 중심화이다. (이 내용에 대해선 “불온한 인문학” 트랙 1『자본』 강의에서 열심히 배웠지요? ^^)

 

 

 

 

P1060654.jpg

목요일엔 『안티 오이디푸스』를 토요일엔 『파시즘의 대중심리』를~~

 

 

 

 

 

-“불온한 인문학”은 목요일 강의와 함께 토요일엔 함께 책을 읽는 집중 세미나를 하고 있다.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는 목요일 강의를 통해서 만난다면

     토요일 세미나에서는 빌헬름 라이히의 『파시즘의 대중심리』를 읽는데

     이 두 권의 책이 어떻게 연결되는 지도 궁금하다?

 

 

진석 : 빌헬름 라이히는 20세기 초에 독특한 정신분석 학자였다. 그는 대단히 이상한 현상을 목격하게 되는데 당시에 사회 하층부를 형성하고 있었던 노동자 계급이 분명히 계급의 해방을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 지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그렇게 하지 못했던 것이다.

 

 

 

                -한국 정치에서도 자주 나오는 말이기도 하다. 왜 계급에 반하는 투표를 하는가?

 

 

 

그렇다. 빌헬름 라이히도 아는 것과 실천이 확연히 분리되는 현상을 목격한 것이다. 더군다나 자본주의가 지배적인 세상에서 노동자들도 돈의 규칙을 따르는 한에서 그들이 품고 있었던 계급 해방의 욕망이라는 것은 사실 자본가들의 욕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식에 있어서는 자본가들에게 반대했지만 그들의 욕망에 있어서는 자본가들에게 타협하거나 종속돼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라이히가 던진 질문이 “왜 대중은 혁명적이지 않는 가” 다.

 

 

들뢰즈·가타리는 이 질문을 이어받아서 이렇게 대답한다. “문제는 대중이 혁명적인가 아닌가가 아니라 욕망이 혁명적인가 아닌가” 다. 혁명의 열쇠 혹은 해방에 대한 잠재력은 어느 누구에게 어떤 계급에게 본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어떤 초월적인 법칙이라도 받아들이지 않고 빠져나가지 않는 힘 종속되지 않겠다는 욕망 자체에 있는 것이다.

 

 

말은 굉장히 간단하지만 사실 우리의 욕망을 사회적으로 건전하다든지 바람직하다는 기준과 분리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좋은 학교 가고 좋은 회사 입사하고 잘 먹고 잘 살라.’ 는 사회의 요구는 우리들로 하여금 그것을 따르지 않을 때 죄의식을 갖게 한다든가 혹은 잘못된 삶을 살지 않나. 하는 불안에 빠뜨리기 때문이다.

 

 

 400px-Anti-capitalism_color.gif 

이 욕망은 어디서 온 것이란 말인가?

 

 

 

-그 불안에 대해 자유로운 사람이 거의 없어 보이기도 한다. ‘어떻게 하면 욕망이 혁명적일 수 있을까?’ 를 궁금해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남들처럼 사는 걸 욕망하는 게 그렇게 나빠요?’ 하고 물어보는 친구들도 있더라. 어떻게 해야 할까? 단순히 욕망을 줄여라. 이런 문제는 아닌 거 같은데?

 

 

 

진석 : 보통 우리가 욕망하는 것들을 보자. 이것들은 사실 대부분이 타자의 욕망이고.. 사회가 나에게 명령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타자의 욕망이 다 나쁘냐’ 그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모든 우리의 활동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어느 누구의 활동도 동일한 것이 아니다. 각자가 놓여 있는 맥락 상황은 서로 다르다. 거기에서 욕망의 선이 나에게 주어질 때 그 선을 따를 때와 아닐 때, 각각의 경우가 다르다. 원칙에 따라 다른 것이다.

 

 

문제는 동일하게 ‘이것은 좋은 것이다.’ 하고 다른 욕망의 가능성을 꺾어버릴 때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타성적인 존재니까 ‘정말 그래’ 하고 쉽게 길들여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 강의를 듣다보면 타성적인 우리의 존재에서 ‘야성“을 끌어 낼 수도 있을까?

 

 

 

하하~기대하시랏~

 

 

 

 

-『안티 오이디푸스』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혁명, 욕망~ 그리고 야성?

                       뭐 이런 단어가 나오니 흥미가 돋긴하는데~ 문제는 너무 어려워보인다!

   『안티 오이디푸스』와 친해질 수 있는 좋은 방법 없나?

 

 

진석 : 『안티 오이디푸스』는 읽어 보는 것이 좋은데 쉽지 않다. 현재 나와 있는 판본은 절판인데다가 최선의 번역본도 아닐 뿐 더러 원래 내용 자체도 쉬운 내용이 아니다. 일단 빌헬름 라이히의『파시즘의 대중심리』를 토요일 집중세미나에서 읽으면서 강의 예습을 하시고, 목요일 강의를 듣고,『안티 오이디푸스』를 직접 읽으면서 복습을 하면 어떨까. 중간 중간 읽어야할 프로이트 논문도 몇 편 있다. 그것도 조만간 공지할 예정이다. 이렇게 읽는다면 아마도~! 그 어렵다는 『안티 오이디푸스』의 출구를 찾기가 한결 쉬울 것이다.

 

 

 

 

 

-혹시 출구만 있고 나가는 문은 없는 거 아닌가?

 

 

 

하하^^ 그건 책임 못지겠다~~

P1060620.jpg

10주동안 강의를 맡아줄 최진석 선생님~ 기대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한 마디로 말 한다면?

 

 

 

진석 :『안티 오이디푸스』는 욕망의 해방에 관한 책이다. 욕망의 해방은 결코 범죄도 아니고

살아있는 존재에겐 필연적인 충동이다. '욕망해도 좋다.' 라는 것이 이 책의 중심테마다.

 

 

 

P1060642.jpg

 

빽빽한 메모로 가득한 최진석 선생님의 『안티 오이디푸스』를 보라. 그가 풀어낼 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벌써 부터 기대가 된다.

 

 

 

 

 

 

 

[5월 21 개강-10주 과정]

 

Ⅰ 트랙 2 강의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가족주의와 국가주의를 넘어서―들뢰즈·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 읽기

 

Ⅱ 트랙 2 세미나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대중의 흐름과 욕망의 정치학-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황선길 옮김, 그린비

고병권, 『추방과 탈주』, 그린비

 

트랙 2 강의 안내는 요기!

http://nomadist.org/xe/bulin/12157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인사원] 일반과정 vs 연구과정 효영 2022.08.16 726
공지 [인사원] 기말 에세이란? 효영 2022.08.16 221
공지 [인사원] 쪽글이란? 효영 2022.08.16 232
공지 [인문사회과학연구원 안내] [1] 효영 2019.08.09 1373
공지 연구과정을 선택하신 경우 지원서를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1] 효영 2018.02.23 977
103 [Q&A] 인문사회과학연구원에 대해서 너무너무 궁금해요 >.< [8] file 수유너머N 2012.01.13 22473
102 인문사회과학연구원 [지원서양식] 입니다. file 인사원 2012.01.12 20171
101 [2013-2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자크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 / 최진석 / 9.5(목) [3] file hwa 2013.07.03 16283
100 [2013-2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하이데거 - 존재의 사유 / 이진경 / 9.9(월) [6] file hwa 2013.07.03 13855
99 [2011-1학기 불온한 인문학] 강좌소개 :: 가족주의와 국가주의를 넘어서, 안티오이디푸스 / 5.21(목) file 수유너머N 2011.05.13 9827
98 [불온한인문학] 인문사회과학 연구원과정 안내 file 인사원 2012.01.12 9798
97 [인사원 공개특강] 2.25(월) pm7:30 / 인간은 자신을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80] file 강좌팀 2013.02.16 8945
» [2011-1학기 불온한 인문학] 강사인터뷰 :: 『안티 오이디푸스』 / 최진석선생님 수유너머N 2011.05.13 8282
95 [2013-1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부정신학 / 손기태 / 3.4(월) [1] file hwa 2013.01.20 7955
94 [2013-2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하이데거(이진경) / 데리다(최진석) hwa 2013.06.03 7677
93 [2012-2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의미와 논리(변성찬) / 신자유주의(정정훈) file 일환 2012.07.23 7659
92 [2011-2학기 불온한 인문학] 강좌소개 :: 스피노자(손기태) / 푸코(정정훈) / 9.22(목) file 수유너머N 2011.08.08 7579
91 [2011-1학기 불온한 인문학] 트랙2 강좌모집 :: "가족주의와 국가주의를 넘어서" 안티오이디푸스 :: 2011.5.21 개강 수유너머N 2011.05.08 6796
90 [2016-1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예술철학 (이진경) / 이데올로기와 주체 (정정훈) 지훈 2014.07.07 6726
89 [2014-1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철학의 사유, 철학의 외부 / 이진경 / 3.6(목) [1] file 수유너머N 2014.01.05 6700
88 [2014-1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현대영화이론- 디지털시대, 예술의 정치 / 변성찬 / 3.3(월) [1] file 수유너머N 2014.01.05 5600
87 [2014-2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감성의 계보- 미적 취미판단은 계급에 따라 다른가? / 고봉준 / 9.1(월) [4] file 수유너머N 2014.07.07 3609
86 [2014-2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한국사회와 호모 에코노미쿠스 / 조원광 / 9.4(목) [1] file 수유너머N 2014.07.07 3477
85 [2016-1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예술철학 / 이진경 / 3.10(목) [3] file 수유너머N 2016.02.01 3323
84 [2016-1학기 인사원] 강좌소개 :: 이데올로기와 주체 / 정정훈 / 3.7(월) file 수유너머N 2016.02.01 276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