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자료 :: 강좌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의미의 논리] 계열29 발제문

lllll 2021.01.29 21:44 조회 수 : 84

의미의 논리 강독강좌

조현준

계열 29 좋은 의도들이 크게 벌 받는다(질문에는 밑줄 표시 하였습니다)

 

오이디푸스적 시도와 표면의 구성

좋은 의도들이 오이디푸스에게서 등을 돌리는(turn against) 이유는 표면 구축의 연약함 때문이다. 표면에서 이마주로서의 팔루스는 심층, 상층의 페니스에 의해 복원될 위험을 무릅쓰며(risks) 팔루스로서 거세된다.(거세될 위협을 무릅쓴다it risks being castrated as phallus) 심층의 페니스는 소각(devours), 거세하고, / 상층의 페니스는 욕구불만에 빠지는 것, 즉 전 오이디푸스 단계로의 퇴행에 의한 이중의 거세위협이 있다. 그리고 분열적 위치(불안)와 우울증적 위치(유죄성)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위협한다. 불안과 유죄성은 근친상간적 시도에서 태어나는 게 아니라 이를 좌절시키고, 위협한다.

이런 설명은 불충분한데 오이디푸스적 위험은 내적인 진화로부터 나오기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오이디푸스적 구축이 낳는 이전의 불안과 유죄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새로운 위험에 적합한 이름은 거세 콤플렉스이다.

전생식적인 부분적 표면들의 조직화로부터 이드의 통합 또는 생식적 접속으로 갈 때, 수퍼에고는 오이디푸스 단계에 있어 최초의 자기만족을 버린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 이유는?

표면은 에고 발전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에고는 부분적인 표면들, 작은 에고들과의 자가-성애 내에서만 독립성을 획득한다. 그래서 (표면적인) 리비도가 이차적 나르시시즘 내에서 접속을 맡을 때 에고의 진정한 체험은 접속의 문제 내에 있게 된다.

유아는 이상적인 좋은 페니스에 의해 신체의 생식대 위에 투출된(projects over the genital zone of his body) 이마주로서의 팔루스를 수용한다. 유아는 이를 다른 모든 지대들을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조건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유아는 중요한 변화를 도입해야만 표면을 구축할 수 있다.

아이는 우선 증여하는 우상(gift making idol) 즉 상층의 좋은 대상을 가른다(split). 심층들에서 복수적 페니스를 포함한 어머니의 신체, 상층의 완전한 기관으로서의 좋은 대상으로부터 부정적인 것을 추출해내고, 이를 사용해 어머니의 이마주와 아버지의 이마주를 특성화한다. 유아는 어머니를 상처받은 신체와 동일시하고, 아버지를 마지막 차원, 상층으로 후퇴한 좋은 대상과 동일시한다. 또한 그의 팔루스를 가지고 어머니의 상처를 치료하려 하고, 자신의 신체를 위한 표면을 만들면서 동시에 어머니의 몸에도 표면을 만들고자 한다. 그리고 상층으로 후퇴한 좋은 대상을 다시 돌아오게 하고자 하며, 그것을 감정을 유발하는(evocative)(소환하는?) 팔루스와 함께 현존하게 하려고 한다.

 

치유와 소환

아이가 아버지의 자리를 취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관계가 폭력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여기에는 표면의 관계, 치유와 유발(소환?)의 과정이 있을 뿐이다. 이들(치유와 소환?)은 가장 무구한 활동의 분리할 수 없는 확장들이다? 외연이다? (As intentions, they are inseparable extensions of what is apparently the most innocent activity).

 

 

 

거세

그러나 왜 모든 것이 나쁘게만 돌아가는가? 좋은 대상으로서의 수퍼에고는 리비도적 충동들 자체를 저주하기 시작한다.

오이디푸스가 본 것, 보아서는 안 됐을 것은 어머니의 몸의 상처가, 내적인 페니스들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거세된 신체로서, 표면에 페니스가 결여되었기 때문이기도 했다는 것이다. 투사된 이마주인 팔루스는 아이에게는 힘을 주지만 어머니에게서는 결핍을 나타낸다. 이것은 유아를 위협하는데 왜냐하면, 이 발견은 페니스가 아버지의 속성[재산]이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버지를 다시 소환하고 현존하게 만듦으로써 유아는 후퇴라는 부성적 본질을 배반한다. 이 지점에서 유아가 어머니를 치유하기 위해 그녀를 거세하고, 아버지를 소환하기 위해 그를 배반한다는 것은 참이 된다.

이 거세는 원칙의 측면에서 다른 두 거세(심층의 거세와 상층의 거세)와 구분되는데 그것은 흡출(흡착?)에 의한 거세라는 점에서 그렇다.

 

 

범주로서의 의도

좋은 의도라는 것을 두 결정된 행위, 의도된 행위와 행해진 행위라는 단순 대립에서 보는 것은 오류이다.

1) 의도된 행위는 투출된 행위, 행위의 이마주이고 여기에서는 (의지의 심리적 투출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표면들에 연결되어 있는 투출의 메커니즘을 봐야 한다. 이마주라는 개념은 마지막에 표면과 관련된 행위 일반을 지시한다.

 

2)행해진 행위는 다른 것에 대립하는 결정된 행위가 아니고 발생하는 어떤 것이며, 그 자체로는 능동도 수동도 아닌 다른 본성, 순수 사건이다. 오이디푸스적 범주로서의 의도는 가능한 모든 행위의 총체를 취해 그것을 둘로 분할하고 두 스크린에 투사한다. 한 측면은 물리적 표면으로 여기에서 행위 자체는 의도된 것으로 나타나며 치유와 환기(소환?)이라는 형식에 의해 결정되고, 다른 측면은 형이상학적 표면의 행위의 결과로 살해와 거세라는 형식에 의해 결정된다.

(determined by the forms of restoration and evocation / murder and castration)

형이상학적 표면은 왜 뇌의 표면과 관련되는지.(cerebral) 사고(thought) 형성과 관련된 것 같은데 이 측면이 사고와 어떤 지점에서 연관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동적 발생의 제3단계: 물리적 표면에서 형이상학적 표면으로.

살해와 거세는 그들 스스로 형이상학적 표면을 구성하지도, 그것에 속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어떤 과정(long road)에 돌입했다. 나르시시즘적 상처와 더불어, 팔루스적인 선이 거세의 도안으로 변화될 때, 표면에서 2차 나르시시즘의 에고를 획정했던 리비도는 변이를 겪는다. 이 변이가 프로이트가 탈성화라고 불렀던 것이다. 탈성화의 에너지는 프로이트에게 죽음 본능을 풍요롭게 하는 동시에 사고의 메커니즘을 조건 짓는다.

 

따라서 우리는 죽음의 테마와 거세의 테마에 이중의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고착, 액체화에 있어, … 만이 아니라 고유한 표면 위에서도 가지는 가치

//

그리고 탈성화 된 에너지의 기원으로서 취하는, 이 에너지가 형이상학적 또는 순수 사고의 새로운 표면 위에 재획정하게 만드는 독창적 방식에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

이 두 번째 과정은 첫 번째 측면에서는 승화라고 부른 것에, 두 번째 측면에서는 상징화라고 부른 것에 상응한다.

 

우리는 형태 변이들이 물리적인 또는 물체적인 표면 위에서 팔루스적인 선으로부터 거세의 도안으로의 변환과 더불어 멈추지 않는다는 것,

거세의 도안 자체가 그것의 변이를 조작하는 비물체적 형이상학적 표면 위에서 하나의 균열과 상응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비물체적 표면에서 나타나는 사고의 균열에서 아이온의 순수선 또는 사변적 형태에서의 죽음본능을 알아본다. 그러나 우리는 죽음본능이 사변의 문제라는 프로이트적 생각을 문자 그대로 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 마지막 형태의 변이가 더 날카로운 방식으로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6 어펙트 이론 4강 후기 [1] 홍바바 2019.02.01 97
225 [여성의 목소리는...] 1강 후기 김규완 2022.07.05 96
224 [차라투스트라3강_발제]1부 p75-83. 박소원 file 프라하 2021.04.17 96
223 [시네마 Ⅱ] 7장 사유와 영화_전반부_발제문 file 효영 2019.11.07 96
222 들뢰즈 의미의 논리 2강_계열3 명제 발제 file 탁선경 2020.10.28 96
221 [바람의 설법] 2강 후기 [2] 최영미 2023.10.15 95
220 [나는 누구인가] 제2강 간단후기 오나의고양이 2022.10.19 95
219 [스피노자의 탈근대주의] 3강 후기 선우 2021.07.23 95
218 [차라투스트라 7강]발제1:시인들~사건들 유택 2021.05.21 95
217 [의미의 논리] 계열 32 발제문 file 동석 2021.02.04 95
216 의미의 논리 계열8 구조 발제문 편지 2020.11.04 95
215 [전각워크숍] 따뜻한 온기가 흐르는 전각수업2주차 후기 file 유현당 2019.01.13 95
214 들뢰즈의 영원회귀 2강 후기 및 질문들 hongmin 2023.01.30 94
213 [차라투스트라6강] 토론주제: 8.13(금) [1] oracle 2021.08.10 94
212 [차라투스트라5강] 토론주제: 8.6(금) [1] oracle 2021.08.03 94
211 [불교를 미학하다 1강 후기] 조지훈, 그리고 박목월 [2] 태준건 2023.04.15 93
210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제 6강 후기 달타냥 2022.08.15 93
209 [여성의 목소리는…] 2강 후기 이승민 2022.07.15 93
208 <정화스님의 반야심경> 제4강 후기 [2] 최영미 2023.02.04 93
207 랭보와 현대 1강 후기 리사 2021.10.12 9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