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자료 :: 강좌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지난 주에 개강한 이진경 선생님의 고전소설 강의에서는

기존의 국문학에서 연구하던 방식과는 다른 독해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1. 문학, 그 중에서도 고전문학은 당대 사회의 반영이라는 도식에 이의를 제기하며,

강의는 문학이란 "통념적인 것과 그에 반하는 것", "익숙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다시 말해 "서로 상반되고 상충되는 성분들이 공존"하는 것이라는 문제에서부터 시작했습니다. 

문학의 성격을 이렇게 규정한다면 그 다음에 와야할 것은 고전소설을 읽으며 기존과는 다른 절단면들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인륜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조선시대의 작품들을 '반인륜적'으로 읽는 실험이 시작된 것이죠. 

이러한 문제의식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강의에서는 <심청전>과 <콩쥐팥쥐>을 주로 살펴 보았습니다.


2. 우선 <심청전>을 다루는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장님인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임당수에 몸을 던지는 것이 과연 '효'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논의는

삶에 대한 애착을 버리지 못하는 심청이의 모습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당대 사회가 강요했던 '효'라는 가치를 과잉 준수함으로써 오히려 그 폭압적 질서에 균열 가하는 심청이의 모습을 그려냈죠.

전 폭력적 명령에 대한 절대적 복종이 낳은 실질적 효과는 "명령의 지고함이 아니라 황당함"이라는 분석과 

심청이가 빠진 바다를 "끊임없는 변화의 공간", 심청이가 스스로 구원에 이르게 하는 '심연'이라는 분석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러한 논리적 흐름 속에서 이제 심청이는 아버지를 위해 목숨을 바친 효녀가 아니라 심연을 경험하고 새로운 탄생을 맞이하는 인물이 되고, 

그 후 심청이가 만들어내는 것은 "강력한 탈영토화의 벡터"가 됩니다.  


3. 다음으로 이야기된 작품은 <콩쥐팥쥐>였습니다.

1강에서 계속 강조된 내용은 '내재적 독해'의 중요성이었습니다.

문학 작품에 대한 내재적 독해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항, 자리나 행동이 그 바깥에 있는 상징적 의미가 작가가 부여한 의미가 아니라,

그 텍스트 안에 등장하는 다른 인물이나 항, 자리, 행동 등에 의해 그 의미가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내재적 독해'를 기본틀로 하여 <콩쥐팥쥐>를 다시 읽을 때 눈에 들어오는 장면은 콩쥐가 풀어야 하는 세 가지 과제 부분입니다.

콩쥐는 (1) 집에서 먼 밭을 나무 호미로 매기, (2) 깨진 물독에 물을 채우기, (3) 베를 짜고 쌀을 만들기의 과제를 수행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콩쥐가 이 과정에서 동물들과 연대하여 오롯한 주체로 형성되어 간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이 과제를 완수한 후에 집 밖, 즉 외가의 잔치에 갈 수 있는 옷과 신발을 얻는다는 점이에요.

그러나 콩쥐는 옷과 신발로 대변되는 탈영토화의 능력을 얻지만 다시 불모지인 집으로 돌아와 죽음을 맞이합니다.

 

4. 선생님께서는 문학은 작가의 사상을 담고 있다는 표현론적 관점, 문학은 그 작품이 창작된 시대와 문화의 거울이라는 반영론적 관점,

그리고 구도에 작품들을 끼워맞추는 유비적 관점과 고전소설을 분석하면서 현대의 이론들을 성급하게 끼워맞추는 방법 등을

'초월적 독해'라 부르고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셨습니다. 그리고 내재적 독해의 필요성을 역설하셨죠.

그러나 최고의 창작방법론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고 믿는 저는...

아직까지 '당대성'이나 '당사자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작품은  존재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생각은 늘 바뀌는 것이니까요, 이러한 생각들이 남은 강의들을 들으며 바뀔 수 있기를 바라 봅니다.


전 <변강쇠가>를 마저 읽어야 해서

그럼 이만 총총.

내일 뵙겠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 [한국 사회와 호모 에코노미쿠스] 10월 16일 후기 및 10월 23일 공지 수유너머N 2014.10.21 743
141 [감성의 계보] 10/20 공지입니다. cuda0070 2014.10.18 346
140 다시 읽은 [홍길동전]에 대한 단상 [2] 달팽이 2014.08.23 1539
139 고전소설의 철학적 실험 5강 후기 윤설 2014.08.21 1041
138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마지막 후기~ 성현 2014.08.20 853
137 벤야민 독일 비애극의 원천 마지막 부분 쪽글 은선 2014.08.14 1174
136 [독일 비애극의 원천] 6강 후기 file 종견 2014.08.14 859
135 [후기]랑시에르 5강(8/4) 후기 이상은 2014.08.11 850
134 고전 소설의 철학적 실험 후기 '공동체와 순환의 경제학' [2] 최혜련 2014.08.08 1069
133 [후기] 독일 비애극의 원천 5강 후기 [2] 문지용 2014.08.05 1007
132 [후기] 고전소설의 철학적 실험 4강 : 가족, 혹은 인륜 속의 구멍 [8] 지영 2014.08.04 1228
131 [후기] 독일 비애극의 원천 강좌 [2] 팔로횽 2014.08.03 891
130 [후기] 랑시에르 강독 강좌 4강 후기 한샘 2014.08.02 873
129 독일비애극의 원천 후기 [2] 은선 2014.07.31 934
128 <독일 비애극 강독강좌> 후기 [1] 하얀 2014.07.31 885
127 [스피노자의 사상과 정치] 3강 후기 및 8월 1일 공지! 남희 2014.07.31 787
126 [후기]고전 소설의 철학적 실험 1강 (늦은) 후기 [4] 혜련 2014.07.30 928
125 [후기] 고전소설의 철학적 실험 3강 : 두 가지 '외부'와 외부자의 고독 [2] 지영 2014.07.29 957
124 [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 3강 후기 ] 김삿갓 2014.07.26 659
123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7월 28일 공지 및 후기 성현 2014.07.24 7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