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자료 :: 강좌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코기토의 귀환] 4강 후기

김민우 2016.04.27 03:37 조회 수 : 665

‘타인의 마음을 내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데카르트가 학문의 제1원리로서 ‘코기토’를 천명한 이래, 

이후의 모든 서양 철학자를 고심하게 만든 문제입니다. 

나의 마음은 내가 직접 경험할 수 있기에 확실한 반면, 

타인의 마음은 그럴 수 없기에 의심이 된다는 점이  

난관의 핵심입니다. 


많은 철학자들은 이른바 ‘유비 추리’의 방법에 기대어 

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나의 신체와 타인의 신체에는 유사성이 있다’는 전제와

‘나의 신체와 나의 마음에는 상관성이 있다’는 전제로부터, 

‘나의 신체와 유사한 타인의 신체에는 그것과 상관적인 타인의 마음이 존재한다’고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위의 두 전제로부터 타인의 마음이 존재한다는 점이 증명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우리가 이미 타인을 지각하고 있어야만, 

근원적인 타인의 지각이 선행되어 있어야만 

나의 신체와 타인의 신체가 유사성이 있다는 것도 

신체와 마음 간에 상관성이 있다는 것도 

비로소 확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른을 따라 입을 벌리는 영아의 경우가 이 점을 잘 예시하여 줍니다. 

“그는 자신의 의도를 자신의 신체에서 지각하고, 

자신의 신체로 나의 신체를 지각하며, 

이로써 나의 의도를 자신의 신체에서 지각한다.” 

다시 말해서

나의 의식과 나의 신체 사이에, 나의 의식과 타인의 신체 사이에, 

타인의 의식과 타인의 신체 사이에, 타인의 의식과 나의 신체 사이에, 

내적인 또는 통일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타인’이란 이 네 가지 요인들 간의 근원적인 관계로부터 

완성되어 나오는 하나의 체계에 지나지 않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타인’과 대비되는 ‘나’ 또한 

그 일차적인 관계로부터 파생되어 나오는 또 다른 체계일 뿐입니다. 


메를로-퐁티가 보여주는 이 같은 사고의 길을 따를 때, 

‘타인의 마음을 내가 어떻게 알 수 있는가?’와 같은 종류의 문제는 

애시당초 문제시할 필요가 없는 것을 문제시한 

일종의 사이비 문제로서 자연스럽게 해소되어 버립니다. 

이 거짓 문제와 항상 동행하는 ‘유아론’에 대해 운운하는 일도

더 이상 시간낭비입니다. 



나의 의식과 나의 신체가, 타인의 의식과 타인의 신체가 

이와 같이 한 곳에 직접적, 내적으로 통일되어 있는 상태를 

메를로-퐁티는 익명적 신체라고 부릅니다. 


그것이 ‘익명성’을 갖는 것은, 

이 근원적 신체 안에는 아직 ‘나’도 없고 아직 ‘너’도 없고 

아직 ‘그’도 없고 아직 ‘그녀’도 없기 때문입니다. 

‘나’와 ‘너’와 ‘그’와 ‘그녀’는, 

모든 ‘인격’과 ‘자기 동일성’은 

그 신체로부터 나중에 발생하는 추상적인 존재입니다. 


그것이 ‘신체성’을 갖는 것은, 

사유의 층위(‘나는 생각한다’)에 선행하는

지각의 층위(‘나는 할 수 있다’)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 하나만 지적하고

강좌 후기를 마치고자 합니다. 


저는 (그리고 아마도 메를로-퐁티도) 편의상 

나의 의식과 나의 신체와 타인의 의식과 타인의 신체 간에 내적 관계가 있다고 말했지만, 

사실은 이 관계에 앞서서, 이 익명적 신체에 선행하여 

‘나의’ 의식, ‘나의’ 신체, ‘타인의’ 의식, ‘타인의’ 신체가 

자체적으로 독립적으로 별도로 실존하는 것은 아닙니다. 

누차 언급한 바와 같이, 

‘나’와 ‘타인’은 그 자체로 실존하는 일차적 존재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익명적 신체로부터 추후에 파생되어 나오는 

이차적인 존재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8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리버이어던과 모비딕 솔라리스 2018.08.18 427
307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 8.10. 금. 후기 나누는 번개 모임 어떠신지요?^^ [6] 느티나무 2018.08.07 268
306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후기 [1] 허허허 2018.08.06 169
305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후기.. [3] 투명글 2018.08.04 244
304 문학과예술의 존재론-후기 P.vanilla 2018.08.03 148
303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후기- 선물 곽태경 2018.08.03 172
302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4강 후기 - 특이점 같은 강의 이에스 2018.08.02 177
301 [페미니즘세미나팀] '정체성 해체의 정치학' 4강 후기 노마 2018.07.31 126
300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4강) 후기 [2] P.vanilla 2018.07.29 152
299 [최고의 행복을 찾는 철학적 여행] 4강 후기 yyn 2018.07.29 100
298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을 실은 6411번 버스 [1] 느티나무 2018.07.27 201
297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3강 후기 [1] 아이다호 2018.07.23 117
296 [영화촬영미학1-빛으로 영화읽기] 2강 후기 ㅈㅁ 2018.07.22 169
295 [페미니즘세미나팀]'정체성 해체의 정치학' 1~2강 후기 file nomadia 2018.07.18 164
294 [다른 삶들은 있는가] 1강 후기 file choonghan 2018.07.13 182
293 [빛으로 영화읽기] 1강 후기 sora 2018.07.13 137
292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1,2강 후기 sora 2018.07.13 129
291 다나 해러웨이 참가 후기 [4] file 닉(Niec) 2018.03.08 359
290 [페미니즘이라는 벡터와 한국문학의 도전] 강좌 후기입니다 [1] 나머지 2018.02.14 222
289 <‘페미니즘’이라는 벡터와 한국문학(장)의 도전> 4강 후기 [1] 민혁 2018.02.03 22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