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4/9 개강 콜레기움 강사 변성찬 샘 인터뷰! (수강신청 중)

수유너머N 2011.04.04 10:49 조회 수 : 7939

 

2011 봄, 콜레기움 들뢰즈의 『시네마』드디어~!

 

 

 

 

4월9일 토요일에 시작 됩니다.

 

 

 

 

 

콜레기움 반장 꾸냥과 주몽이

 

 

 

 

 

 

 

 

 

노마디스트 수유 너머 N의 들뢰즈~ 변성찬 선생님을 모시고 인터뷰를 해 보았습니다.

 

 

 

 

 

                                                                                                          사진'인터뷰 : 꾸냥, 주몽

   

 

꾸냥, 주몽(이하 꾸,주) : 콜레기움이 어떤 형식으로 진행되는 지 궁금합니다! 강사가 강의를 주도하나요? 아니면? 연구실에서 하는 세미나처럼 진행되나요?

변성찬 선생님(이하 변쌤) : 콜레기움의 기본형식이 세미나에 가까운 거지만 이번 시네마는 강의가 중심이라고 일단 생각하면 된다. 짧은 시간에 분량도 좀 많고, 압축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의를 중심으로 할 생각이다. 강의가 한 발 앞서 나가고, 가령 2회차 때 읽고 발제할 부분을 1회 차 때 미리 강의를 하고, 텍스트 읽고 강의를 하는 것이 일종의 안내의 개념이 되고, 그걸 바탕으로 해서 텍스트를 발제하는 게 복습이 되는 그런 방식으로 진행할 생각이다.


 

꾸,주 :『시네마』읽을 때 베르그송과 퍼스를 같이 읽는 게 특이한 것 같아요. 어떻게 연결시켜서 읽는 건가요?

변쌤 : 개인적 경험으로 보면 그게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시네마』는 영화와 베르그송의 지속 또는 이미지의 철학, 퍼스의 기호론, 이 세 가지가 종합되어 있는 책이다. 『시네마』를 펼쳐보면 알지만, 1, 2권 각각 두 번에 걸쳐서 챕터 제목이 아예 베르그송에 대한 주석으로 되어 있다. 그 주석달기의 방식이 친절한 설명이라기보다는 들뢰즈에게는 일종의 재창조를 의미하기 때문에 차라리 주석을 달고 있는 특히, 베르그송 같은 경우는 개념이나 문제의식을 차라리 소화를 하고 나서 들어가는 게 부담은 되지만, 오히려 더 지름길이다. 안내문에 나간 것처럼 꼭 필요한 부분들을 선택해서 먼저 읽고 들어가려고 한다. 한마디로, 그거 안보고 어떻게 해볼까 하고 하면 더 고생한다.


 

꾸,주 : 들뢰즈의 저작들, 특히 『시네마』, 어렵고 난해하기로 유명한데요, 선생님이 들뢰즈의 저작들을 공부하게 된 계기와 들뢰즈 공부를 계속해나가는 이유는 뭔가요?

변쌤 : 나한테는 『시네마』를 읽어야 될 필요성과 들뢰즈를 읽어야 할 필요성이 동시적인 것이었는데, 우연적인 거고, 더 솔직히 말하면 반강제적이었던 거고, 심지어는 매체에다가 글로 쓰기도 했지만, 출판사에서 리라이팅이라는 기획이 나왔고 필자를 구하던 중 연구실에서 영화와 관련된 책 중 “뭐하나 해라!”는 이진경`고미숙의 요구가 있었고, 그 당시만 해도 시간-이미지가 번역이 안 되어 있는 상태였었는데, 그래서 하기 힘들다 그랬더니, 옆에서 '영어 강사'니까 원서 보고 쓰라고 부추겼다. 그런데, 그렇게『시네마』를 보면서 오히려 내 공부의 중심이 바뀌어 버렸다. 공부를 하다 보니 영화와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고, 들뢰즈에 더 매력을 느끼고 가까워지는, 그래서 그게 무려 8년 세월인데... 아, 이런 건 쓰지마!!! (일동 웃음 ㅋㅋ)


 

변쌤 : 들뢰즈 공부를 왜 계속하냐 그러면, 진짜 알고 싶어서다.


구체적으로 얘기하자면, 자연철학적인 예술철학적인 측면, 직접적으로 『시네마』와 관련해서 들뢰즈가 갖고 있던 비평개념자체가 마음에 들고 내 스타일에 맞았다. 뭐냐하면, 어떤 작품을 비평한다고 하는 것은 어떤 척도를 가지고 등급을 매긴다거나 이런 게 아니다. (많이들 그렇게 알고 있지만 말이다.) 비평은 창조라는 게 핵심개념인데, 어떤 예술적 작품으로부터 촉발 받은 것을 토대로 자기 사유를 하고, 창조를 하는 것, 뭔가 거기에 그런 의미에서 텍스트 자체를 어떤 의미에서는 변용시키는 과정일 수도 있고, 들뢰즈에게 있어 창작과 비평은 그렇게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지 않다. 철학하는 것 자체도 늘 개념의 창안이라고 하지만, 그런 그 비평개념, 이런 것이 개인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비평적인 태도와 잘 맞는 측면이 있는 것 같다.

 

 

『시네마』와 들뢰즈의 시각을 통해서, 모든 사유나 철학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거지만,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창작의 측면에서는 진정으로 뭔가 새롭게 창작한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하는 새로운 비젼 같은 것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영화를 중심으로 예술작품을 수용하거나 비평하는 관점에서 보자면, 그 작품에서 기존에 보이지 않았던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중심적인 담론 틀에서는 비가시적인 거였거나 보이지 않았던 의미, 이런 것들을 다시 부여하는 것인데, 들뢰즈를 공부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일반적으로 철학적 예술비평을 하는 사람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의미일 거다.

 

 

 

 

images.jpg8985449982_1.jpg

 

꾸,주 : 들뢰즈가 한 때 알콜중독자였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사실이라면 왜 그랬을까요? 그리고 들뢰즈를 본받아 우리 콜레기움도 술자리를 많이 가지나요?(^^)

변쌤 : 글을 쓸 때 음주상태로 썼다는 것은 정설화 되어 있다. 들뢰즈가 가장 많이 하는 말이 ‘삶’이다. 술 마셨을 때 진정한 삶이 해방된다는 식. 예를 들면 실제로 68즈음해서 앙리 미쇼 같은 경우 스스로 마약실험을 하기도 했었다. 그러니까 니체가 광기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니체로부터 새로운 스타일의 철학이 시작됐다라고 할 때는, 그 이전에는 명석 판명한 사유 지성의 작동을 위협하거나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던 층위, 그런데 진정한 사유를 강제하는 힘은 거기에 있는 거고 그것의 힘을 죽이면 새로운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게 기본 출발점이다. 들뢰즈가 강한 니체주의라고 할 때는 그런 맥락을 받아들이는 거고, 말 그대로 실험을 하는 건데, 미쇼 같은 경우 마약하고 그 상태에서 글을 쓰고 그랬던 것이다.


들뢰즈3.gif 변샘사진편집.jpg

 

  들뢰즈 vs 변성찬

(*이번 봄! 이 두 분과 함께 하지 않으시렵니까. 호호호)

 

들뢰즈의 문학 예술적 취향을 보면, 그런 것들 좋아했던 것 같다. 어떤 사유의 가능성이나 모델이나 돌파구나 이런 걸 찾아야 하는 게 새로운 철학의 임무라고, 바깥의 사유라고 하는 것이, 들뢰즈가 말하는 삶은 나의 삶이 아니라, 통상적 의미의 ‘나’라고 하는 인격성 외부에 있는 것들을 가리키는 거고, 그러니까 내안에 있는 외부라고 할 수 있는 그런 거라고 생각을 하고, 그것이 ‘나’라고 하는 데카르트 칸트적인 어떤 ‘코기토’의 입장에서 볼 때는 외부인 그리고 그것의 폭력을 통해서만 새롭게 사유를 한다라는 것, 짐작컨대, 음주하고 술을 먹은 상태에서 글을 쓴다고 하는 것은 그런 것과 관련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


 

예를 들어『차이와반복』에서 들뢰즈가 그런 말을 한다. 데카르트의 명석판명을 꼬집어서 오히려 삶의 층위에서는 애매판명하고 애매할수록 판명하다. 그리고 그 이질적인 것들이 서로 어떻게 조합되고 배치 되는냐에 따라서 새로운 것이 된다는 것, 새로운 것이 된다는 것은 내가 의지해서 된다 보다는 삶의 층위에서 일어나는 재배치의 결과이다. 언제나 결과인 것이고, 근데 그 오히려 코기토라는 층위도 의식과 무의식이라고 얘기할 수도 있는데, 의식의 층위에서는 그것들이 행하는 새로운 것의 출현을 반동적으로 억압하는 기제로, 그것이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에, 그것이 명확히 들뢰즈에게는 도덕인 것이다. 삶을 억압하는 도덕이라고 할 때, 니체식으로 말하면 반동적으로 새로운 것의 출현을 억압하는 기제로 작동하는 거다.


일단 중요한 것은, 그런 의미에서 파괴인 것이고 파괴를 통해서 들어나는 잠재성이라고 얘기하는 것이 삶의 해방이라고 얘기할 수도 있고, 일단 해방이고, 실험이고, 실험한다는 것은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그런 식의 입장이니까, 들뢰즈의 철학이 일정하게 예술철학적 지향을 갖는 측면도 그런 것에 있다고 생각하고, 반도덕적이면서 윤리적인... 그런 의미에서 술자리도 많이 가질 것이다.(^^)


 

 

 

 

                                                                   자세한 커리큘럼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http://nomadist.org/xe/collegium/8625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93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704
292 여름강좌(7/6-8/10) [근대의 외부들 : 다른 세계를 발명하는 인류학적 상상력] 강사 인터뷰! [3] file 수유너머N 2011.06.24 8940
291 [수유너머N] 2010년 봄강좌 안내 [1] file 관리자 2010.03.08 8808
290 [2011이철교 시즌1-3] 수업안내 :: 노마디즘2 / 9.17(토) file 수유너머N 2011.08.20 8725
289 ::::: 2012년 1월 9일 개강 [에로스의 경제와 섹슈얼리티의 정치] 강사인터뷰::::: 수유너머N 2012.01.03 8556
288 [들뢰즈와 예술 season 2] 들뢰즈와 문학 -고봉준- file 수유너머N 2010.04.21 8554
287 10/31 개강 ㅣ 노마디스트 수유너머N 2011년 가을강좌 안내 ㅣ [1] file 수유너머N 2011.10.04 8345
» 4/9 개강 콜레기움 강사 변성찬 샘 인터뷰! (수강신청 중) file 수유너머N 2011.04.04 7939
285 4/ 11 개강!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이진경 샘 인터뷰 (1~2) 수유너머N 2011.04.04 7938
284 [강독강좌] 알튀세르, "맑스를 위하여, 자본을 읽자" [39] file 쿠다 2014.02.19 7834
283 “시네마, 모더니티의 여섯 얼굴” 강좌 폐강 및 영화-사 세미나 시즌 3.5 안내 수유너머N 2011.04.01 7766
282 [2014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①] 예술의 감각적 선물: 문학과 예술은 우리에게 어떤 공통 감각을 선사하는가? file 수유너머N 2013.12.09 7658
281 [2014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④] 사회적 배제와 통치의 기술들 [2] file 수유너머N 2013.12.09 7623
280 [2013이철교 시즌2-3]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11.23(토) [7] file 수유너머N 2013.10.31 7481
279 [현대정치철학-강좌 인터뷰 Part 2] 7월 8일 금요일 개강! 수유너머N 2011.06.24 7375
278 7월 8일 개강! 히치하이커의 정치학! 강사 인터뷰 [2] 수유너머N 2011.06.23 7276
277 [2011이철교 시즌1-2]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5.7(토) [2] file 수유너머N 2011.04.18 7239
276 11월 2일 개강! <민중, 그 신화와 개념의 정치적 계보학-데모스에서 민중까지> 최진석 인터뷰 file hwa 2011.10.10 7178
275 [2014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③] <정화스님의 베르그손 다시읽기> 창조적 진화: 생명과 진화는 지성을 어떻게 바꾸어 놓는가? [3] file 수유너머N 2013.12.09 6963
274 <소설에 관한 6개의 이야기> 강사 인터뷰 10월 31일 월요일 7시 30분~ [1] hwa 2011.10.08 6946
273 미리보는 SF강좌! 강사인터뷰 file 사루비아 2010.04.14 69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