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title0.jpg




 

Q. 최근 노마디스트 수유너머N 홈페이지를 보면 불온함이 주요 화두입니다. 이번 강좌의 제목도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이고, 3월부터 시작된 <불온한 인문학>도 그렇습니다. 단행본 <불온한 인문학> 총서도 기획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유너머N에서 거듭 언급하고 있는 불온함에 대해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A. 불온성이 없는 인문학은 하지 않는 게 좋다는 문제의식에서 연구실 회원들이 모여 몇 가지 활동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지난달부터 시작된 <불온한 인문학>은 책 <자본론>과 <안티-오이디푸스>를 통해 가족과 국가, 자본 등 이른바 ‘안정성’의 토대와 대결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5개월간의 세미나와 강의를 통해 스스로 자기 삶에 대해 사유하는 장을 만들고자 모였습니다. <불온한 인문학>이 불온성을 통해 인문학을 재정의하려는 시도라면, 이번 봄강좌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은 존재론적 차원에서 불온성을 사유하고, 이를 통해 불온성을 바탕으로 존재론을 사유하려는 시도입니다. 강좌이다보니 7주간 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강의하는 형식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수유너머N에서 공동으로 기획한 프로그램들이니 이 둘은 연결되는 점이 있겠지요.



Q. 안녕학세요. 이번 강좌의 반장을 맡게 된 호연입니다. 저는 이제 대학교 2학년이고, 공대생이라 ‘불온성’, ‘존재론’ 등의 용어가 낯설기도 합니다. 어떻게 하면 선생님이 이야기하시는 맥락에서 이 단어를 이해할 수 있을까요? 미리 수강을 준비 중인 분들께도 도움이 될 수 있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A. 불온함이라 할 때 우린 통상 반정부적인 것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그것이 꼭 불온한 것은 아닙니다. 가령 어떤 제도를 요구하는 투쟁 같은 것은 많은 경우 요구하는 것이나 이유, 사고방식이나 투쟁방식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어서, 불편할 수는 있겠지만 불온하다고 할 순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온함이란, 통념이나 분명한 구별들이 깨질 때 발생하는 불안감과 결부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확실하다고 믿던 것들을 와해시키고 그 경계를 횡단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지요. 특히 이번 강의는 존재 자체로부터 불온성을 함축한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51v4YAO6uRL._SL500_AA300_.jpgPYH2011020809130001300_P2.jpg



 존재론이란, 가령 휴머니즘을 비판했던 후기의 하이데거의 경우를 보아도 존재의 의미에 대해 관심과 이해를 가지는 인간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습니다. 저는 차라리 인간에 대해서조차 인간 아닌 것들을 통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인간 아닌 것’을 하나로 묶어 다룬다면, 인간중심적 접근과 대칭적인 것이 되고 말 겁니다. 그게 아니라 나름대로 각각 특이성을 갖는 존재자들을 통해 존재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할 것입니다. 그런 특이한 존재자가 우리와 다른 것이 아님을 드러냄으로써 그런 존재의 특이적 요소를 우리를 포함하는 존재 자체의 요소로 사유하려는 겁니다.



title.JPG



 여기서 제가 선택한 특이적 존재자들은 우리가 익숙해있는 것들을 횡단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는 존재 자체를 익숙한 내부성이 아니라 낯선 외부성을 향해 열어줄 것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이로써 존재 자체를 불온한 것으로 사유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존재론이란, 저에게 단지 철학적이기만 한 것도, 단지 사변적인 것만도 아닙니다. 그것은 철학적이기 이전에 정치적이고, 사변적이기 이전에 현실적입니다. 가령 장애인을 통해 사유되는 존재란 어떤 식으로든 장애인 운동이나 그와 관련된 정치와 처음부터 결부가 되어있지요. 또한 역으로 이런 존재론을 통해 그런 운동이나 정치의 문제를 존재론적 차원으로까지 소급해서 근본적으로 다뤄볼 수 있을 겁니다.

이를 위해 먼저 1강에서는 불온함이란 무언지, 우린 언제 불온함을 느끼는지, 그런 질문에서 강의를 시작할 것입니다. 이후 불온이라는 개념에 대해 새끼 치며 설명하기보다는, 불온함을 야기하는 존재, 불온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할 겁니다.




 


 


Q. 각 주의 제목들이 특이합니다. 저마다 이색적인 주제의 강의가 배치돼 있는데요, 장애인, 프레카리아트, 사이보그, 박테리아, 패티시즘. 모두 얼핏보면 특이하고 수적으로도 흔치 않습니다. 게다가 몇 가지 빼고는 한 번도 연결 지어 본 적 없는 주제들입니다. 사회적 소수자라고 묶기에는 인간 아닌 것(박테리아)이 끼어 있고, 정치적 연대를 위해 모이기에는 민망한 특이성(패티시즘)이 끼어있습니다. 사실 그 점 때문에 강의가 매혹적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이런 주제들을 선택하고 연결하게 되셨는지요.



images박.jpg images박2.jpg 

 


A. 이런 것들의 공통점은 일종의 ‘중간적인’ 존재자들이라는 겁니다. 기존 존재자들 사이의 구획에 따라 명료하고 뚜렷하게 구별된 것들이 아니라, 반대로 그런 구별을 깨거나 와해시키거나 중간에 끼어 있는 존재들이라는 것이에요. 저는 이것이 불온함을 사유하는 출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그들은 모두 불온한 자들이지요.


 

Q. 불온한 자들이 위와 같은 특이성을 가진 이들이라고 하지만, 운동이나 정치에서 누구보다 그들이 주체여야 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당사자주의’ 가 떠오르는데요.


A. 전 당사자주의가 잘못된 운동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하려는 특이성은 이와 다른 것입니다. 이 특이한 존재자들이 하나같이 나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근본에서 나에 해당되는 것, 바로 나의 문제, 우리 모두의 얘기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 모든 특이성이 그들만의 특성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특이성, 존재의 특이성을 이룬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할 겁니다. 그래서 그것은 그들에 대한 ‘각론’이 아니라 존재론의 일부로서 다루어질 수 있는 거지요. 이는 제가 ‘존재론적 평면화’라고 명명하는 사고방법을 통해서 밀고 나갈 겁니다. 우리 모두 장애인이고, 우리 모두가 프레카리아트, 우리 모두가 사이보그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패티시스트가 돼야 한다고도 말할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당사자라는 말을 쓴다고 하면, 우리 모두가 당사자라고 말해야 합니다.






 

ontology.JPG





 

Q. 오늘은 인터뷰 두번째 시간! 지난번 불온성에 대해 기존 존재자들 사이의 구획을 깨거나 와해시키는 존재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사이보그나 박테리아가 불온한 존재라는 말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려요. 

 


A. 물론 정말 그런가 물을 수 있고, 가령 사이보그가 어째서 불온한가 되물을 수 있죠. 통상 우리는 사이보그란 말에서 공상과학영화에 등장하는, ‘기계가 장착된 인간’정도만 떠올리죠. 하지만 사이보그는 그 경우에조차 유기체와 기계의 결합체를 의미해요. 다시 말해 그것은 유기체와 기계의 구분을 와해시키는 존재들이라는 점에서 중간적인 존재입니다. 그런데 기계와 도구가 하나의 연속성을 갖는다는 점을 안다면, 그것은 유기체와 도구가 결합된 존재자 모두를 지칭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따라서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이라면 근본적으로 이미 사이보그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건 장애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장애인이란, ‘정상인과 다른’이란 의미로 쓰지만, 무언가에 기대어 사는 자들, 일본 식으로 표현하면 ‘폐를 끼치며 사는 자’들이라 인식돼요. 헌데 우린 일반적으로 남들에게 언제나 기대 사는 자들입니다. 그건 남들에게 선물을 받는 자들이라는 뜻도 되지요. 이점에서 우린 모두 장애인입니다. 그런데 모두가 장애인임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자들만이 장애인으로 분류됩니다. 무엇이 그들을 장애인이 되게 만드는가? 이는 장애인을 정상인과 분할하는 현실적 조건과 결부되어 있습니다. 이로써 장애인의 존재론은 자연스럽게 장애인의 정치학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images사이.jpg       onco2.jpg



Q. 이번 강의의 다양한 사례들은 평소 관심 있던 것들이셨나요^^? 

아니면 불온성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위해 특별히 준비한 것인지?


 

A. 둘 다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평소 관심 가던 주제이니 모아서 강의하게 된 것이기도 하죠. 그러나 평소에 생각하고 있던 것들은 이번 주제에 대해 단서 등을 제공했지만, 이를 존재론적인 차원에서 다루려고 하게 되면서, 그 모든 것이 다른 것으로 되돌아왔지요. 평소에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되어서 말입니다. 덧붙이면 장애인이나 비정규직 문제 같은 것은 현실에서 제가 만나고 경험했던 것들을 통해서 제게 끼어든 것이기도 합니다.


unemployment-15.jpg



Q. 선생님께서는 2009년도 도쿄에서 1년간 일본의 비정규직 운동에 대한 연구를 하셨지요? 

일본 비정규직 운동판의 여러 활동가들을 만나며 인터뷰를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때의 경험을 이번 강의를 통해 구체적으로 들을 수 있는지요?


 

A. 한국에서도 비정규직 운동 하시는 분들을 몇 분 만나 인터뷰를 했어요. 그런 경험들이 이 강의를 준비하는 데 또 다른 계기로 작용하기도 했지요. 가령 비정규직의 경우, 일본이나 한국에서 비정규직 운동하는 사람들을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예전에 관심 갔던 노동 운동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고, 그것을 존재론적 차원으로써까지 밀고 올라갔던 거지요.



CAM_5232.JPG

 

Q. 수유너머에서 선생님 이름으로 강의를 걸면 매번 사람들이 많이 모입니다. 

그건 샘 강의만의 특별함 때문일 텐데요, 어떻게 사람들이 많이 모일 수 있는지 물어보면 남세스러우실 테니, 

수유너머에서 강의하시는 것에 대한 선생님만의 의미 같은 걸 여쭤볼게요.


 

 A. 학교와 연구실에서 강의를 하지만 그 밖의 곳에서 많이 하는 편은 아닙니다. 공부하고 싶은 것, 쓰고 싶은 것이 많아서 밖으로 안다니는 편이었어요. 강의한다는 것도 활동인데, 요즘 너무 안한다는 생각에 늘리긴 했어요.

연구실에서 강의할 때 들으러 오는 사람들은, 나름 알기도 많이 아시고 기대하는 바도 크기 때문에 강의하는 사람에게 부담을 많이 줍니다. 그래서 어느 강의보다도 가장 긴장을 강하게 하는 강의가 되죠. 그래도 쉽게 하려고는 합니다. 알아들을 수 없으면 안되니까. 무엇보다 같이 생각하고, 촉발한다는 의미에서 긴장이 큽니다.

 

 

Q. 그간 선생님의 화두였던 ‘외부’의 사유와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A. 외부란, 어떤 문제를 사유하는 방법론적인 전제, 개념이지요. 그것은 모든 것을 외부에 의해 사유한다는 사유의 일반적 방법론입니다. 강좌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도 외부의 방식으로 불온한 것들의 문제를 사유한다면 어떤 것이 될 것인지에 대한 실험적 시도입니다.




 

S.jpg CAZN992X.jpg  CA0T6NCP.jpg CA0PIFCP.jpg    동정.jpg라캉.jpg imagesㅇ.jpg 3144410.jpg

images5.jpg   imagesr.jpg   187_1_tnr.jpg


4월 2일 홍대의 작은용산 '두리반' 이진경 샘 특강 풍경은 요기!     http://nomadist.org/xe/105843

강좌를 수강하는 데 도움이 될 책 기사는 요기   !  http://nomadist.org/xe/Nzine/104506

(강좌 관련 문의 및 신청은 요기를 클릭하세요!     http://nomadist.org/xe/apply)


 

----------인터뷰를 보고 많은 분들이 신청글을 올려주셨어요. 개강일이 기대됩니다. 11일 월요일 일곱시에 뵙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88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702
292 여름강좌(7/6-8/10) [근대의 외부들 : 다른 세계를 발명하는 인류학적 상상력] 강사 인터뷰! [3] file 수유너머N 2011.06.24 8940
291 [수유너머N] 2010년 봄강좌 안내 [1] file 관리자 2010.03.08 8808
290 [2011이철교 시즌1-3] 수업안내 :: 노마디즘2 / 9.17(토) file 수유너머N 2011.08.20 8725
289 ::::: 2012년 1월 9일 개강 [에로스의 경제와 섹슈얼리티의 정치] 강사인터뷰::::: 수유너머N 2012.01.03 8556
288 [들뢰즈와 예술 season 2] 들뢰즈와 문학 -고봉준- file 수유너머N 2010.04.21 8554
287 10/31 개강 ㅣ 노마디스트 수유너머N 2011년 가을강좌 안내 ㅣ [1] file 수유너머N 2011.10.04 8345
286 4/9 개강 콜레기움 강사 변성찬 샘 인터뷰! (수강신청 중) file 수유너머N 2011.04.04 7939
» 4/ 11 개강!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이진경 샘 인터뷰 (1~2) 수유너머N 2011.04.04 7938
284 [강독강좌] 알튀세르, "맑스를 위하여, 자본을 읽자" [39] file 쿠다 2014.02.19 7834
283 “시네마, 모더니티의 여섯 얼굴” 강좌 폐강 및 영화-사 세미나 시즌 3.5 안내 수유너머N 2011.04.01 7766
282 [2014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①] 예술의 감각적 선물: 문학과 예술은 우리에게 어떤 공통 감각을 선사하는가? file 수유너머N 2013.12.09 7658
281 [2014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④] 사회적 배제와 통치의 기술들 [2] file 수유너머N 2013.12.09 7623
280 [2013이철교 시즌2-3]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11.23(토) [7] file 수유너머N 2013.10.31 7481
279 [현대정치철학-강좌 인터뷰 Part 2] 7월 8일 금요일 개강! 수유너머N 2011.06.24 7375
278 7월 8일 개강! 히치하이커의 정치학! 강사 인터뷰 [2] 수유너머N 2011.06.23 7276
277 [2011이철교 시즌1-2]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5.7(토) [2] file 수유너머N 2011.04.18 7239
276 11월 2일 개강! <민중, 그 신화와 개념의 정치적 계보학-데모스에서 민중까지> 최진석 인터뷰 file hwa 2011.10.10 7178
275 [2014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③] <정화스님의 베르그손 다시읽기> 창조적 진화: 생명과 진화는 지성을 어떻게 바꾸어 놓는가? [3] file 수유너머N 2013.12.09 6963
274 <소설에 관한 6개의 이야기> 강사 인터뷰 10월 31일 월요일 7시 30분~ [1] hwa 2011.10.08 6946
273 미리보는 SF강좌! 강사인터뷰 file 사루비아 2010.04.14 69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