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여름강좌(7/6-8/10) "근대의 외부들 : 다른 세계를 발명하는 인류학적 상상력" 강사 인터뷰!

 

 

 

"상상력 없이 우린 변화할 수 없어요!"  

-홍서연 강사와의 인터뷰-



syh.JPG


 

홍서연 소개 - 수유너머N 연구원.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역사인류학을 공부했음.  

 

 

 

질문 : 안녕하세요^^ 저는 인류학에 대한 관심은 많은데, 왜 이 공부에 끌리는지 잘 설명을 할 수가 없어요.

인류학은 확실히 한국에서 인문학 독자들에게도 조금 낯설기도 하구요.

인류학에 대한 전반적 소개부터 부탁드립니다. 우리가 왜 인류학을 공부해야하는지도 알려주세요!

 

 

   malinowski_wideweb__430x250.jpg    클라스트르_과야키 인디언.jpg

 

 

 

홍서연 : 확실히 인류학은 우리나라에서 철학이나 다른 분야보다 훨씬 안 읽히죠! 인문학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레비-스트로스나 모스의 이름이 낯설지 않겠지만 그들의 책을 꼼꼼히 읽어본 독자는 그다지 많지 않은 듯 하고요. 외국 인류학자들이 낸 이론서와 수많은 민족지 작업들은 별로 번역되어 있지 않고, 과거에 번역된 것들도 절판되어 잊힌 상태예요. 국내 인류학자들의 작업은 소수의 전공자들만 읽고요.                        

 

 

 

 인류학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실증적인 학문이라는 점이에요. 인류학자들은 '현지조사'라는 방법으로,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 기록하고 연구합니다. 그 대상이 되는 것은 사람들의 행위와 말, 의례, 생산기술 또는 생활기술, 문물, 친족관계, 그리고 그것들을 통해 드러나는 한 사회의 지식, 정치, 상징적인 것들, 사회관계와 사회조직, 제도, 그리고 또… 한 사회의 특이성, 사람들이 한 마디로 '문화'라고 지칭하는 것이죠.

다양한 것들의 세세한 면모를 읽는 데서 아무런 재미를 못 느낄 수도 있겠죠. 취향의 차이일 수도 있겠지만, 우리 사회에서 인류학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건 인문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질문 : 인류학에 대한 관심이 저조한 것이 인문학 자체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부족 때문이라... 

좀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홍서연 : 스스로 사유하기 위해 인문학을 공부하기보다, 보증된 이론 또는 이론가에게 기대기 위해 공부하는 태도와도 관련이 있어요. 그런데 학문은 보증을 해 주는 안전장치가 아니거든요. 특히 인문학은요. 가령 철학은 언제나, 익숙한 방식으로 굳어져버린 믿음들을 전복하여 이미 있었던 개념들을 새롭게 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어요. 우리가 푸코, 들뢰즈, 랑시에르에게 열광한다면 그것 또한 그들에게 안주하기 위해서는 아니거든요. 그들의 권위에 의존하기 위해서라면 더더욱 이율배반적이고요.

다시 인류학으로 돌아와서, 인류학은 현장으로부터 출발합니다. 현실의 무한한 개별성으로부터 시작하는 셈이죠. 인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언어로써 다루기 힘든 부분, 개념과 언어의 틀 밖으로 세어나가 버리는 부분, 거기 뿌리박고서 하는 작업입니다. 흔히 감각을 통한 사유는 편견에 지배되기가 쉬운데, 인류학의 사유는 오히려 자문화중심주의적인 편견을 깨뜨리는 사유입니다. 거기에 긴장이 있고 어려움이 있습니다. 개별성 속에서 어떻게 편견에 치우치지 않을 것이며, 개념화 작업 속에 어떻게 특수성을 담을 것인가? 뿐만 아니라 현지인들과 접촉해서 낯설고 불편한 생활양식 속으로 들어가서, 종종 자신에게 적대적인 사람들과 함께 얽히면서 강도 높은 감정적 투입 속에 자기 몸을 던져 넣어야 하지요. 인류학자들의 민족지 작업들은 그걸 견뎌낸 다음에만 탄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현실은 그 익숙함 때문에 다 알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키는데, 그 착각에서 벗어날 생각이 없다면 인문학을 공부할 필요가 없죠. 우리가 경험과 교육을 통해 알고 있는 것은 현실의 아주 작은 조각들일 뿐이에요. 인류학은 우리가 '모른다'는 걸 알게 해 줍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걸 알 때에만 자신에게 솔직해질 수가 있어요.

 

 

mauss.jpg malinowski.jpg        Clastres1.jpg

       모스                                                 말리노프스키                             클라스트르        

 

질문 : 강좌 제목은 그런 인류학의 성격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왜 "근대의 외부들"이고 왜 "다른 세계를 발명하는 인류학적 상상력"인가요?

 

 

 

홍서연 : 필연적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물질적 조건 속에서 우리가 무엇인가를 하려 한다면 거기서 필요한 건 상상력이에요. 상상력은 우리가 지각하는 하나의 사물, 하나의 사건, 하나의 현상을 통해 무한한 확장을 이루는 능력이에요. 경계들을 넘어서 체감하는 능력이고, 한계들을 넘어서 인식하는 능력이죠.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은 언제나 변화를 가져옵니다. 다시 말해 상상력 없이는 변화를 가져올 수 없어요. 강좌 기간 동안 우리는 함께 책을 읽고 얘기를 하고 사유를 할 겁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무언가 변화된 상태로 나아갈 거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어떤 새로운 세계를 발명할 겁니다.

이번에 다룰 여섯 권의 책은 모두 '원시사회'라고 불리는, 근대사회와는 판이하게 다른 세계에 대해 얘기하고 있어요. 물론 인류학이 언제나 그런 사회를 연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건 우리에게 가장 이질적인 문화를 통해 우리 자신을 사유하려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 책들에서 우리는 이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몹시 친숙한 것들도 만나게 될 겁니다. 그러고 나면, 근대 이후의 사회는 '근대적인 것'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이 얼마나 편견에 가득한 착각인지도 알 수 있을 거예요. 결국은 나 자신에게서 나의 외부라고 생각했던 것, 다시 말해 타자를 발견할 거예요. 우리 사회 안에서 우리 사회의 바깥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볼 수 있는 눈을 갖게 될 거고요. 좀 전에도 '솔직함'을 말했지만, 스스로에게 솔직하지 못한 사람은 기만에 맞설 수가 없어요.

 

 

 

(6월 28일 인터뷰 II로 이어집니다.)


 

강좌 신청은~~ http://nomadist.org/xe/lecture/145640

 

http://nomadist.org/xe/apply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60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692
172 [2018 겨울강좌 5] 과학사로 이해하는 특수 상대성 이론 ㅣ1월 5일 개강 ㅣ 매주 금요일 저녁 7시 30분 ㅣ 강사 박성관 file lectureteam 2017.12.08 1180
171 [2018 겨울강좌 4]지젝과 함께 레닌을!― 정신분석과 정치철학 ― ㅣ 1월 4일 개강 ㅣ 매주 목요일 저녁 7시30분 ㅣ 강사 최진석 file lectureteam 2017.12.08 2993
170 [2018 겨울강좌] 강좌소개 :: 다나 해러웨이, 곤란함과 함께하기 / 1.3 개강 / 매주(수) pm7:30 / 최유미 file lectureteam 2017.12.08 1327
169 [2018 겨울강좌 2] 시네마토그래프 : 영화는 글쓰기다 ㅣ 1월 8일 개강 ㅣ 매주 월요일 7시 30분, 토요일 (13,20,27) 7시 ㅣ 강사 이수정 file lectureteam 2017.12.08 1719
168 [2018 겨울강좌 1] ‘페미니즘’이라는 벡터와 한국문학(장)의 도전─포스트-페미니즘 이후 한국문학의 문법과 뉴웨이브 ㅣ 1월 8일 개강 ㅣ 매주 월요일 7시30분 ㅣ 강사 오혜진 file lectureteam 2017.12.08 3035
167 ------------2017 가을강좌- [단테 신곡 읽기], [공동체와 정치신학] 개강을 한 주 늦춥니다.------------ lectureteam 2017.10.09 456
166 [토요인문학] 시즌2-2 강사인터뷰 :: 가상현실시대의 철학과 예술, 몸 (오영진 선생님) [1] file 효영 2017.10.09 1746
165 [2017 가을강좌] 공동체와 정치신학 - 손기태 선생님 인터뷰 수유너머104 2017.09.28 588
164 [2017 가을강좌] 단테의 [신곡] 읽기- 강대진 선생님 인터뷰 file choonghan 2017.09.25 3839
163 2017 가을강좌 2: 공동체와 정치신학| 10/21일 토요일 개강 | 7시ㅣ 강사 손기태 선생님ㅣ 총 6강 file lectureteam 2017.09.22 2302
162 2017 가을강좌 1: 단테의 [신곡] 읽기| 10/18일 수요일 개강 | 7시 30분 ㅣ 강사 강대진 선생님 ㅣ 총 6강 file lectureteam 2017.09.22 1120
161 [토요인문학] 시즌 2-2 가상현실시대의 철학과 예술, 몸 (웹포스터) file 꽁꽁이 2017.09.19 632
160 [토요인문학] 시즌 2-2 가상현실시대의 철학과 예술, 몸 (10월 14일 개강!) file 꽁꽁이 2017.09.19 2433
159 [토요인문학] 가상현실시대의 철학과 예술, 몸 10월 21일로 개강이 한 주 연기되었습니다! 강사 오영진 선생님 ㅣ 총 8강 file 꽁꽁이 2017.09.19 1620
158 [2017 여름강좌] 위안부 문제에 던지는 '다른' 질문들 인터뷰 제2탄 file 큰콩쥐 2017.07.07 703
157 [2017 여름강좌] 위안부 문제에 던지는 '다른' 질문들 인터뷰 제1탄 file 큰콩쥐 2017.07.07 566
156 [2017 여름강좌] 가깝고도 먼 책 [논어]를 읽는다. - 강사인터뷰 file 소네마리 2017.06.27 629
155 [2017 여름강좌]영화 워크샵_짧고 이상한 영화 만들기- 강사 인터뷰 [1] file lectureteam 2017.06.24 518
154 [2017 여름강좌] 루쉰에 다가가는 6개의 단어-강사 인터뷰 file lectureteam 2017.06.24 722
153 2017 여름강좌 5: 가깝고도 먼 책 [논어]를 읽는다. | 7월 10일 월요일 개강 | 강사: 최유미 file choonghan 2017.06.13 146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