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2021봄강좌] 강사인터뷰 :: 김경후 시인   

이것은 나의 '첫' 시입니다

2021-0223_김경후시인.jpg

1998년『현대문학』으로 등단. 현대문학상 수상(2016년, 61회),
시집 『그날 말이 돌아오지 않는다』(2001, 민음사), 『열두 겹의 자정』(2012, 문학동네),
『오르간, 파이프, 선인장』(2017, 창비), 『어느 새벽, 나는 리어왕이었지』 (2018, 현대문학) 등.

________________________

 

Q. 안녕하세요, 선생님. 시쓰기 워크숍 제목 <이것은 나의 ‘첫’ 시입니다>는 첫 시를 쓰는 순간, 그리고 첫 시와 마주하는 순간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누구에게나 특별한 순간일 텐데요, 첫 시를 쓰던 선생님의 순간은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A: 사실 어떤 것이 첫 시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모든 순간이 첫 시이기도 하고 아직 제가 쓰지 못한 그 순간이 첫 시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시가 첫 시가 되어야 하기도 합니다. 아마 아직 쓰지 않은 시가 첫 시일 것 같습니다. 첫 시를 쓰게 되면 이번 워크숍을 함께하는 분들에게 가장 먼저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어쨌든 막연하게 첫 시를 말한다면 제가 쓴 글보다 읽었던 글을 첫 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뭐지?’라는 충격도 있었고 ‘이 글을 읽을 수 있다니, 살아 있어서 참 다행이야’라는 떨림과 환희가 있었습니다. 제가 글을 쓰면서 느껴보려는 첫 시의 순간이기도 합니다.

 

Q. 흔히 말하듯 바쁘게 사는 현대 사회에서, 지금 시를 쓴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A: 앞으로 더욱 빠르고 격하게 세상이 돌아갈 것이라고 모두 생각합니다. 시가 그 흐름에 강력하게 저항할 수 있지는 않을 겁니다. 만약 그 흐름을 타는 시라면 이미 시가 아닌 권력의 언저리를 맴도는 무엇일 테고요. 그래도 번화한 시내에서 시끌벅적 사람들을 만난 후 뒷골목으로 발을 딛는 순간 가슴이 휑해지거나 컴컴한 어둠 속에서 얼어붙은 신발 끝에 가슴이 아픈 어떤 한 사람이 있을 겁니다. 그는 자신의 방에서 아마 한 줄의 글을 쓰겠지요. 그 한 줄이 세상을 구하거나 각성시키지 못해도 그 자신의 내일조차 밝혀주지 못해도 그의 시선은 환호와 네온사인과 깨진 가로등을 포함해서 사람이 살아가는 일의 가장 중요한 순간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한 줄을 쓰는 순간만이 그가 살아 있는 순간이었을 것 같습니다.

 

Q. 시를 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A: 시라고 생각하는 테두리에 갇히지 않는 것. 시를 쓸 때 무엇무엇이 중요하고, 이런 것이 시이고 저런 것은 시가 아니고, 어떤 시가 최고의 시라고 생각하는 것을 버리는 것 아닐까요. 상식과 관념, 답습된 어떤 것을 따르지 않고 대신에 개성과 자기 존재의 기반을 발견하거나 알아보는 것, 내가 나를 알아볼 수 있게 모국어를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Q. 시를 쓴다면 시를 읽는 것 역시 중요할 텐데요, 워크숍 설명에서 언급된 네루다, 바예호, 이하, 포파를 비롯하여 앞으로 읽게 될 시인들의 시가 기대됩니다. 그 시와 시인들이 시 쓰는 우리를 어떤 곳으로 안내할까요?

A: 멋진 텍스트일수록 나를 각자 다른 곳으로 이끌어준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첫 시를 써보자는 이번 워크숍이 갈 방향이기도 합니다. 우리 모두 다른 빛깔과 다른 질감을 발견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 발견이 계량화 서열화 편향된 세계관에 저항할 수 있는 아름다운 길의 시작이길 바랍니다.

 

Q. 매주 시 쓰는 감각을 터득해갈 여섯 번의 워크숍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A: 시를 이야기할 때 많이 생각하는 요소들을 간략하게 알아보고, 몇몇 시편들을 함께 도란도란 둘러 읽겠습니다. 그리고 워크숍 전날까지 공유한 무기명 시에 대해 그날의 주제를 중심으로 나누어 읽고 각자의 감상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Q. 자신이 쓴 시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을 낯설어하실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고, 함께 쓰고, 함께 나누는 시간은 어떤 시간이 될 수 있을까요?

A: 자신의 글을 함께 읽고 이야기하는 시간은 언제나 이상한 나라로 통하는 입구처럼 두근거리고 두렵습니다. 시 쓰기보다 합평의 시간이 더 곤혹스러운 분들도 있고, 최고의 합평 조건이라는 건 거의 신적인 요소로 보입니다. 마음과 경험과 사람과 말과 방향과 모든 것을 알아볼 사람과 모든 것을 쓸 줄 아는 사람이 있어야 하니까요. 하지만 불완전한 우리가 불완전한 합평을 할 때 공감의 따스함이 있지 않을까요. 우정의 말과 같은 것 말이지요. 이번 워크숍에서 작품만을 보기 위해 가능하면 시에 이름을 지우고 볼 생각입니다. 그러면 마치 자기 작품이 아닌 것처럼 자기 작품을 말하는 순간이 있을 텐데 오히려 그럴 때 자신의 글에 대한 태도, 합평이라는 것의 의미, 글을 쓸 땐 몰랐던 어떤 지점을 알게 되기도 합니다. 무기명이면 조금은 덜 부담스러우실 것 같습니다.

 

Q. 마지막으로 워크숍 수강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해주세요!

A: ‘첫’이라는 말이 갖는 설렘과 기대가 우리말과 자신을 알아보고 싶은 열정이 되었으면 합니다. 첫 시가 새롭고 넓고 섬세한 탐험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시워크숍] 2021.0407 ~ 0519 (6강) / 매주(수) pm7:30     [강좌소개▶▶클릭]  [강좌신청▶▶클릭]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90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703
292 [2022여름] 천 개의 밤, 뜻밖의 읽기 :: 7월 9일(토) 개강! file 이에스 2022.05.25 1317
291 [2022여름] 화엄의철학,연기성의존재론 :: 7.8(금) 개강! [1] file Jae 2022.05.22 1346
290 [2022여름] 아무튼 짧은, 영상만들기 :: 7.7(목) 개강! [2] file oracle 2022.05.21 1056
289 [2022여름] 여성의 목소리는 어떻게 정치적 힘을 갖게 되는가 :: 7.4(월)개강! [4] file oracle 2022.05.21 1710
288 [2022봄] 시가 겨냥하는 것은 당신의 삶: 강사인터뷰/ 김진완 [5] file 효영 2022.03.15 593
287 [2022봄] 동물권, 도래할 정치의 문을 열다: 강사인터뷰/ 김도희 file Jae 2022.03.11 444
286 [2022봄] 동물권, 도래할 정치의 문을 열다 :: 4.9(토) 개강! file Jae 2022.02.27 993
285 [2022봄] 갈피접힌 시편들, 밑줄그은 문장들 :: 4.8(금) 개강! [2] file 이에스 2022.02.26 999
284 [2021겨울] 칸트의 미와 숭고: 강사인터뷰/김상현 [2] file 케이 2021.12.20 672
283 [2022겨울] 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강사인터뷰 / 박준영 [2] file hyobin 2021.12.12 907
282 [2022겨울] 천개의 유물론3: 강사인터뷰 / 이진경 외 [2] file cla22ic 2021.12.10 600
281 [2022겨울] 생명의 얽힌 역사: 강사인터뷰 / 전방욱 file 우디 2021.12.10 440
280 [2022겨울] 천개의 유물론3 :: 1.15(토) 개강 file oracle 2021.11.27 1041
279 [2022겨울] 생명의 얽힌 역사 :: 1.10(월) 개강 [5] file oracle 2021.11.27 887
278 [2022겨울] 들뢰즈의 친구들2 :: 1.13(목) 개강 file oracle 2021.11.23 1108
277 [2022겨울] 신유물론, 이론의 새로운 전장 :: 1.14(금) 개강 [7] file oracle 2021.11.17 1112
276 [2022겨울] 칸트의 미와 숭고 :: 1.12(수) 개강 [12] file oracle 2021.11.17 1049
275 [2021가을강좌] 기계주의 콜라주 :: 강사인터뷰 /오영진 file oracle 2021.09.16 554
274 [2021가을강좌] 랭보와 현대 :: 강사인터뷰 / 송승환 file oracle 2021.08.30 357
273 [2021가을강좌] 천개의 유물론2 :: 강사인터뷰 낙타 2021.08.30 3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