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영화는 근대 기술문명의 산물이지만, 또한 탄생의 순간부터 자신의 자궁이자 환경이라 할 수 있는 ‘모더니티’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대결해왔습니다. 2차 세계대전 직후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간 영화의 ‘새로운 물결들’은 그 질문과 대결의 다른 이름입니다. 우리는 이번 강좌를 통해서, 서구의 정치적 모더니즘에서 동아시아의 뉴웨이브에 이르기까지, 영화와 모더니티 사이의 그 긴장 어린 조우와 대결의 순간들이 지닌 미학적, 정치적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합니다.




 1. 서구 정치적 모더니즘, 사랑과 증오의 연대기 - 신은실

 

1968년 5월 혁명 이후 서구 영화이론과 창작에서의 실천 양상은 확연하게 달라졌습니다. 특히 독립영화, 혹은 제3세계 영화 영역에서 가장 큰 이론적 디딤돌은 이른바 "정치적 모더니즘"이었습니다. 정치적 모더니즘의 장 안에서 당시 백가쟁명하던 서구 이론, 이를테면 모더니즘과 기호학, 언어학, 이데올로기 이론과 구조주의, 브레히트적 형식주의와 해체주의 등은 용광로와 같은 뜨거움을 분출하며 창작과 실천의 기치를 올렸습니다. 누군가에 따르면, "정치적 모더니즘"은 미학적 측면에서 "사랑", 정치적 측면에서 "증오"를 담지하여 표현하고자 했던 사조라 합니다. 이 강의에서는 이와 같은 "정치적 모더니즘"의 이론적 양상과 더불어 이를 실천한 대표적인 감독인 장 뤽 고다르, 다니엘 위예-장 마리 스트로브 등의 영화를 함께 톺아보려 합니다.


로트링겐.jpg 
(*다니엘 위예-장 마리 스트로브, 로트링겐 )


 

2. 뉴아메리칸 시네마, 구심력에서 원심력으로- 안시환

 

본 강좌는 로버트 알트만과 마틴 스콜세지를 중심으로 뉴아메리칸 시네마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미국의 비평가인 로빈 우드는 로버트 알트만의 영화를 연구한다는 것은 곧 그 세대의 감독들, 즉 뉴아메리칸 시네마 감독들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물론 로빈 우드는 ‘새로운 할리우드 영화’를 지향했던 로버트 알트만의 영화에서 ‘젠 채 하는 속물근성’을 발견하는 것에 비평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말할 근거가 전혀 없지는 않지만, 부당한 평가임에 분명합니다. 본 강좌는 뉴아메리칸 시네마 감독들(그리고 그들의 작품들)에 내재한 어떤 긴장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할리우드의 고전적인 속성들로부터 벗어난 자신들만의 표현양식(유럽의 모더니즘 영화로부터 영향을 받은)으로 강렬한 효과를 추구할 때, 뉴아메리칸 시네마는 ‘구심력’과 ‘원심력’이 충돌하는 긴장 속에 곧잘 분열된다는 것입니다. 본 강좌는 뉴아메리칸 시네마의 주인공들이 지향적 목표를 잃고 해매는 과정에서, 극의 중심을 이루는 추진력과 극적 기제가 어떻게 상실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고전 할리우드 영화에서 추구했던 명확한 동일시와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목표들이 어떻게 부재하게 되는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들 영화에서 곧잘 발견되는 갑작스럽게 분출되는 폭력의 시퀀스는 이러한 맥락에서만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아닐까요?


 

B6531-01.jpg 
(*이마무라 쇼헤이, 복수는 나의 것)

 

3. 뉴저팬 시네마, 살부충동의 영화들 - 안시환

 

본 강좌의 제목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의 <복수는 나의 것>을 떠올렸다면, 이미 여러분은 본 강좌가 이야기할 내용의 일부를 엿본 셈입니다. 죽어서까지 아버지의 손에 지배되는 것을 거부하는 그 고집스런 몸짓 말입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것은 결코 은유로서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복수는 나의 것>에서 드러나는 아버지에 대한 적개심은 이 작품만의 개별적 특징이 아닙니다. 즉, 이마무라 쇼헤이의 살부충동은 그와 함께 시대의 공기 호흡했던 뉴저팬 시네마 감독들이 공유했던 것이자, 그들 작품을 살아 숨 쉬게 한 궁극적인 동력이었습니다. 뉴저팬 시네마는 다양한 방식으로 아버지의 죽음을 요구하고, 그것을 미학적으로 실천합니다. 전통의 거부, 혹은 전통에 대한 단절의 요구. 그리고 그 완고한 몸짓. 본 강좌는 그것이야말로 뉴저팬 시네마의 주제와 형식에서 드러나는 시대정신이었다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본 강좌가 함께 할 세 명의 감독은, 이마무라 쇼헤이, 마스무라 야스조, 그리고 오시마 나기사입니다.



 

4. 허우샤오시엔, 역사적 삶의 시공간 - 권은혜

 

<펑꾸이에서 온 소년>(1983)에서 <빨간풍선>(2007)에 이르기까지, 허우샤오시엔의 영화들은 영화가 담고자 하는 현실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 워크의 요소들, 즉 카메라와 인물 사이의 거리, 카메라의 움직임 등에서 많은 변화를 보여 왔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롱테이크처럼 여전히 고수되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허우샤오시엔 스타일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카메라와 그에 담긴 시공간들에 대해, 그리고 그 너머에 존재하는 허우샤오시엔의 윤리적 태도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허우샤오시엔.jpg 
(*허우샤우시엔, 카페 뤼미에르)


 

5. 홍상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사이 - 변성찬

 

홍상수는 ‘모더니스트’로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그가 만든 영화의 매 순간은 매우 ‘리얼’합니다. 홍상수는 모더니즘과 리얼리즘 사이, 즉 이미 확립된 어떤 ‘ism’의 격자망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또 하나의 세계’를 이루어왔습니다. 그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이고, 그 요소들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이런 질문을 품고, 홍상수의 영화세계를 다시 여행해보고자 합니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해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이라는 ‘거친’ 분류법을 보다 섬세하고 새로운 렌즈로 가공해 보고자 합니다.


A7344-01.jpg
(*홍상수,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6. 그 여자! 그 남자! (여성 영화감독들의 성정치학) - 오현경

 

시선은 순수하지 않다. 그것이 권력이든, 어떤 정서든 항상 누군가에게 특별한 의미로 투사된다. 영화 수사학의 핵심에도 세 가지 시선이 있다. 영화 속 인물의 시선, 카메라의 시선, 관객의 시선. 그런데 여태껏 카메라의 시선, 즉 감독의 시선 중 약 95%가 남성이라면, 그 이미지의 수사학 속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던 걸까? 이것이 여성으로 바뀐다면? 시각적 쾌락의 정치학을 밝히며 그 횡단 속에 또 하나의 나를 찾는 여정이 되기를 바래본다. 


 

[무삭제]]Sex_Is_Comedy_FRENCH_DVDRip_avi_000517333.jpg
(*카트린느 브레이야, 섹스 이즈 코메디)





강좌신청 바로가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90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703
132 [2017 수유너머 104 봄 강좌 ③] 니체 혹은 필로비오스 - 사랑할만한 삶이란 무엇인가 (이진경 / 3월 31일 금요일) [2] file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06 3436
131 [2017 수유너머 104 봄 강좌 ②] 사건의 시작,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읽기 (박준영 / 3월 30일 목요일) file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06 3057
130 [2017 수유너머 104 봄 강좌 ①] 플라톤 세계로 들어가는 6개의 문 (강대진 / 3월 27일 월요일) file 수유너머104강좌팀 2017.03.06 3536
129 [강사인터뷰]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_강사 전주희 인터뷰 [8] file 수유너머N 2016.12.08 60105
128 [2017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④] '비체' 페미니즘 - 구조에서 수행적 반복으로 (이현재 / 1월 9일 월요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104 2016.12.01 5071
127 [2017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③] 국가, 고전으로 읽다 (문화, 박임당, 전주희, 정우준, 정정훈, 최진석 / 1월 6일 금요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104 2016.12.01 4726
126 [2017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②] 실천철학으로서 해석학 - 리쾨르 해석학의 주체, 언어, 시간 (박준영 / 1월 6일 금요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104 2016.12.01 3550
125 [2017 수유너머N 겨울강좌 ①] 김시종: 어긋남의 존재론, 혹은 잃어버린 존재를 찾아서 (이진경 / 1월 5일 목요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104 2016.12.01 4136
124 [토요인문학] 시즌 1-5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 (1월 7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N 2016.11.20 28349
123 [2016 가을강좌②] 맑스주의의 새로운 전선들 : 현대 정치철학과 맑스주의의 만남과 어긋남 (정정훈 / 10월 7일 금요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N 2016.09.14 3803
122 [2016 가을강좌①] 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 읽기 (장태순 / 10월 1일 토요일 개강) [1] file 수유너머N 2016.09.14 3402
121 [토요인문학] 시즌 1-4 장소성의 정치철학 (9월 3일 개강!) file 수유너머N 2016.07.20 4861
120 [2016 여름강좌5] 사랑의 인문학: 철학과 문학, 영화를 통해 보는 사랑 (황지영 외 5인 / 7월 6일 수요일 개강) [1] file 수유너머N 2016.06.11 2188
119 [2016 여름강좌4] 역사와 반(反)역사: 헤겔의 '역사철학강의' 읽기 (최진석 / 7월 7일 목요일 개강) file 수유너머N 2016.06.11 4152
118 [2016 여름강좌3] 시몽동과 포스트휴머니즘 (김재희 / 7월 4일 월요일 개강) file 수유너머N 2016.06.11 5333
117 [2016 여름강좌2] 획(劃)이 그리는 세계 (고윤숙 / 7월 11일 월요일 개강) file 수유너머N 2016.06.11 3720
116 [2016 여름강좌1] 장애학과 횡단의 정치학 (김도현 / 7월 1일 금요일 개강) file 수유너머N 2016.06.11 3181
115 [토요인문학] 시즌 1-3 : 푸코, 근대 비판의 계보학 (4월 30일 개강!) file 수유너머N 2016.03.16 3580
114 [2016 수유너머N 봄강좌 ③] 에티엔 발리바르의 정치철학 - 대중, 민주주의, 반폭력 (4월 15일 개강) [1] file 수유너머N 2016.03.02 2940
113 [2016 수유너머N 봄강좌 ②] 빅데이터 시대의 권력과 통치 (4월 4일 개강) [4] file 수유너머N 2016.03.02 300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