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2021봄강좌] 강사인터뷰 :: 김경후 시인   

이것은 나의 '첫' 시입니다

2021-0223_김경후시인.jpg

1998년『현대문학』으로 등단. 현대문학상 수상(2016년, 61회),
시집 『그날 말이 돌아오지 않는다』(2001, 민음사), 『열두 겹의 자정』(2012, 문학동네),
『오르간, 파이프, 선인장』(2017, 창비), 『어느 새벽, 나는 리어왕이었지』 (2018, 현대문학) 등.

________________________

 

Q. 안녕하세요, 선생님. 시쓰기 워크숍 제목 <이것은 나의 ‘첫’ 시입니다>는 첫 시를 쓰는 순간, 그리고 첫 시와 마주하는 순간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누구에게나 특별한 순간일 텐데요, 첫 시를 쓰던 선생님의 순간은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A: 사실 어떤 것이 첫 시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모든 순간이 첫 시이기도 하고 아직 제가 쓰지 못한 그 순간이 첫 시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시가 첫 시가 되어야 하기도 합니다. 아마 아직 쓰지 않은 시가 첫 시일 것 같습니다. 첫 시를 쓰게 되면 이번 워크숍을 함께하는 분들에게 가장 먼저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어쨌든 막연하게 첫 시를 말한다면 제가 쓴 글보다 읽었던 글을 첫 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뭐지?’라는 충격도 있었고 ‘이 글을 읽을 수 있다니, 살아 있어서 참 다행이야’라는 떨림과 환희가 있었습니다. 제가 글을 쓰면서 느껴보려는 첫 시의 순간이기도 합니다.

 

Q. 흔히 말하듯 바쁘게 사는 현대 사회에서, 지금 시를 쓴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A: 앞으로 더욱 빠르고 격하게 세상이 돌아갈 것이라고 모두 생각합니다. 시가 그 흐름에 강력하게 저항할 수 있지는 않을 겁니다. 만약 그 흐름을 타는 시라면 이미 시가 아닌 권력의 언저리를 맴도는 무엇일 테고요. 그래도 번화한 시내에서 시끌벅적 사람들을 만난 후 뒷골목으로 발을 딛는 순간 가슴이 휑해지거나 컴컴한 어둠 속에서 얼어붙은 신발 끝에 가슴이 아픈 어떤 한 사람이 있을 겁니다. 그는 자신의 방에서 아마 한 줄의 글을 쓰겠지요. 그 한 줄이 세상을 구하거나 각성시키지 못해도 그 자신의 내일조차 밝혀주지 못해도 그의 시선은 환호와 네온사인과 깨진 가로등을 포함해서 사람이 살아가는 일의 가장 중요한 순간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한 줄을 쓰는 순간만이 그가 살아 있는 순간이었을 것 같습니다.

 

Q. 시를 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A: 시라고 생각하는 테두리에 갇히지 않는 것. 시를 쓸 때 무엇무엇이 중요하고, 이런 것이 시이고 저런 것은 시가 아니고, 어떤 시가 최고의 시라고 생각하는 것을 버리는 것 아닐까요. 상식과 관념, 답습된 어떤 것을 따르지 않고 대신에 개성과 자기 존재의 기반을 발견하거나 알아보는 것, 내가 나를 알아볼 수 있게 모국어를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Q. 시를 쓴다면 시를 읽는 것 역시 중요할 텐데요, 워크숍 설명에서 언급된 네루다, 바예호, 이하, 포파를 비롯하여 앞으로 읽게 될 시인들의 시가 기대됩니다. 그 시와 시인들이 시 쓰는 우리를 어떤 곳으로 안내할까요?

A: 멋진 텍스트일수록 나를 각자 다른 곳으로 이끌어준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첫 시를 써보자는 이번 워크숍이 갈 방향이기도 합니다. 우리 모두 다른 빛깔과 다른 질감을 발견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 발견이 계량화 서열화 편향된 세계관에 저항할 수 있는 아름다운 길의 시작이길 바랍니다.

 

Q. 매주 시 쓰는 감각을 터득해갈 여섯 번의 워크숍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A: 시를 이야기할 때 많이 생각하는 요소들을 간략하게 알아보고, 몇몇 시편들을 함께 도란도란 둘러 읽겠습니다. 그리고 워크숍 전날까지 공유한 무기명 시에 대해 그날의 주제를 중심으로 나누어 읽고 각자의 감상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Q. 자신이 쓴 시를 다른 사람과 나누는 것을 낯설어하실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고, 함께 쓰고, 함께 나누는 시간은 어떤 시간이 될 수 있을까요?

A: 자신의 글을 함께 읽고 이야기하는 시간은 언제나 이상한 나라로 통하는 입구처럼 두근거리고 두렵습니다. 시 쓰기보다 합평의 시간이 더 곤혹스러운 분들도 있고, 최고의 합평 조건이라는 건 거의 신적인 요소로 보입니다. 마음과 경험과 사람과 말과 방향과 모든 것을 알아볼 사람과 모든 것을 쓸 줄 아는 사람이 있어야 하니까요. 하지만 불완전한 우리가 불완전한 합평을 할 때 공감의 따스함이 있지 않을까요. 우정의 말과 같은 것 말이지요. 이번 워크숍에서 작품만을 보기 위해 가능하면 시에 이름을 지우고 볼 생각입니다. 그러면 마치 자기 작품이 아닌 것처럼 자기 작품을 말하는 순간이 있을 텐데 오히려 그럴 때 자신의 글에 대한 태도, 합평이라는 것의 의미, 글을 쓸 땐 몰랐던 어떤 지점을 알게 되기도 합니다. 무기명이면 조금은 덜 부담스러우실 것 같습니다.

 

Q. 마지막으로 워크숍 수강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해주세요!

A: ‘첫’이라는 말이 갖는 설렘과 기대가 우리말과 자신을 알아보고 싶은 열정이 되었으면 합니다. 첫 시가 새롭고 넓고 섬세한 탐험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시워크숍] 2021.0407 ~ 0519 (6강) / 매주(수) pm7:30     [강좌소개▶▶클릭]  [강좌신청▶▶클릭]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59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692
331 [2015이철교 시즌2-7] 마지막수업 ::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 3.28(토) [7] file 수유너머N 2015.03.02 147352
330 [이진경의 철학교실] 시즌1 :: 1~6기 / 시즌2 :: 1~7기 수유너머N 2015.03.02 147345
329 [2011이철교 시즌1-1] 수업안내 :: 근대철학을 넘어 / 1.4(화) [32] file 수유너머N 2010.12.03 63998
328 세미나 및 강좌 참여 안내 수유너머104 2009.10.14 62155
327 [강사인터뷰]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_강사 전주희 인터뷰 [8] file 수유너머N 2016.12.08 60105
326 [겨울강좌] 디아스포라의 정치와 신학 [5] file 수유너머N 2012.11.29 57428
325 [수유너머104] 강좌는 개강 후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2009) 수유너머104 2009.10.09 39693
324 [겨울강좌 마스터 클래스] 이진경의 '건축과 사유의 지평을 찾아서' [7] file 수유너머N 2012.11.29 33069
323 [토요인문학] 시즌 1-5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 (1월 7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N 2016.11.20 28349
322 [2012이철교 시즌1-4] 수업안내 :: 자본을 넘어선 자본 / 1.28(토) [16] file 수유너머N 2012.01.03 27528
321 [수유너머104] 2017년 강좌ㅣ 신청글양식 수유너머104 2011.12.13 26122
320 [겨울강좌] 바흐친, 미드의 사회학, 복잡계와 생명정치, 살사 (춤 강습) [9] file 수유너머N 2010.12.10 22614
319 [2011이철교 시즌1-2]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5.7(토) [22] file 수유너머N 2011.04.07 22597
318 [2011이철교 시즌1-2]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5.7(토) [1] 수유너머N 2011.04.07 20779
317 [헤겔 강독] 헤겔의 <정신현상학> 읽기! 2013년 1월 9일 수요일 개강 안내 [83] file 수유너머N 2012.11.23 19401
316 7/6 개강! 인류학 강좌 강사 인터뷰 [6] 인류학팀 2011.06.28 19320
315 :::::::::::::::::|수유너머N 2013겨울강좌|::::::::::::::::: file 수유너머N 2012.11.29 19307
314 [2012이철교 시즌1-5] 수업안내 :: 코뮨주의 / 6.23(토) [12] file 수유너머N 2012.06.02 17956
313 [강독 강좌] 헤겔 <정신현상학>2권 개강 안내 3월 22일 금요일 [41] file 수유너머N 2013.02.12 17449
312 [2013 수유너머N 여름강좌 ①] 현대비평이론 읽기 - 프로이트에서 들뢰즈까지 [5] file 수유너머N 2013.06.01 171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