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2021-0409_봄강좌2_차라투스트라_700.png

 

[2021봄강좌②] 강독강좌 『차라투스트라』1 / 4.9(금) 개강!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독강좌1 :: 신청     

일 시 :  2021-0409 ~ 0521 (7강) / 매주(금) pm7:30 

장 소 :  [수유너머104] 2층 대강의실 / 온라인 병행 (Zoom접속 시 비디오켜기!)

회 비 :  14만원 (카카오뱅크 3333-10-9629883. 이유정)

            강좌가 시작된 후에는 회비환불이 어려우니, 신중히 신청하세요.

문 의 :  모집공지 아래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010-2768-2131 이유정)

신 청 :  구글독스 신청 후 회비입금  [강좌신청▶클릭]  [강사인터뷰▶클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독강좌1 :: 소개     

이 강좌는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883~1885)를 함께 읽는 강독강좌로, 2021년 봄(4월)과 여름(7월) 2시즌에 걸쳐서 읽을 계획이다. “차라투스트라의 말은 선택된 자들에게만 들린다. 이때 그 말을 듣는 자가 된다는 것은 비할 바 없는 특권이다. 차라투스트라를 들을 귀를 아무나 마음대로 갖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차라투스트라는 유혹자이다.”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를 아무나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누구나 읽어주기를 원하지도 않았다. 그러나『차라투스트라』만큼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또 그만큼 많은 이들을 좌절하게 한 책이 또 있을까! 이처럼『차라투스트라』가 가장 많이 읽히는 철학서가 된 것은 이 책이 가진 알 수 없는 매혹 때문이다.

『차라투스트라』는 니체 철학을 대표하는 작품이며, 인물 ‘차라투스트라’는 니체의 또다른 분신 - 니체의 페르소나이다. 신의 죽음, 힘에의 의지, 영원회귀, 위버멘쉬 등 니체의 사유가 차라투스트라의 슬프고 아름다운 시적 언어로 펼쳐지고, 마침내 Amor Fati - 삶과 운명에 대한 사랑으로 수렴된다. 이번 강좌에서는 차라투스트라의 여정을 따라 니체의 핵심사유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니체의 광학으로 건강한 삶을 위한 기술들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제 필요한 것은 이 책을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로 해석하는 것, 즉 '차라투스트라'를 자기 삶의 체험으로 읽어내는 것이다.

 

   강의교재    (*다른 출판사 교재도 가능)

교재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00, 니체, 책세상(정동호 번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20, 니체, 휴머니스트(이진우 번역)

참고 :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03, 고병권, 그린비

          『다이너마이트 니체』, 2016, 고병권, 천년의 상상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2020, 이진경, 엑스북스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 2007, 진은영, 그린비

          『니체와 철학』, 2001, 질 들뢰즈, 민음사

          『들뢰즈의 니체』, 2007, 질 들뢰즈, 철학과 현실사

 

   강좌진행   

1부 강의-토론 :: 니체철학의 핵심개념에 대한 강사의 강의와 토론

2부 발제-토론 :: 『차라투스트라』 원문에 대한 회원들의 발제와 토론

이 강좌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충실히 읽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회원 여러분의 텍스트에 대한 열정이 이 강좌의 관건일 것이다.

 

   강사소개     류재숙(oracle) | 수유너머104 회원. 니체연구자. [강사인터뷰▶클릭]

어느 정오, 니체를 읽기 시작한 이후로 니체읽기를 쉬지 않았다.

니체철학이 신체를 아름답게 하고 세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기술이라고 믿는다.

《복지논쟁》2012, 《행복한 노동》2014, 《세계의 협동조합》2015, 《행복한 생명》2019 등의 책을 썼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독강좌1 :: 진행     

일정 (2021년) 1부. 신의 죽음과 새로운 우상 | 2부. 힘에의 의지와 거리의 파토스 강의 (발제/후기)

4.09(금) : 1강

니체와 차라투스트라

1부 :: 머리말 ~ 세단계의 변화 (p11~41)

 

4.16(금) : 2강

신의 죽음과 새로운 우상

1부 :: 덕의 강좌 ~ 죽음의 설교자 (p42~74)

 

4.23(금) : 3강

가치전환과 현대성 비판 

1부 :: 전쟁과 전사 ~ 이웃사랑 (p75~102)

 

4.30(금) : 4강

니체의 여성관

1부 :: 창조하는 자 ~ 베푸는 덕 (p103~132)

 

5.07(금) : 5강

니체의 동정론

2부 :: 거울 아이 ~ 높은 현자 (p135~176)

 

5.14(금) : 6강

힘에의 의지

2부 :: 밤의 노래 ~ 학자 (p177~214)

 

5.21(금) : 7강

거리의 파토스

2부 :: 시인 ~ 고요한 시간 (p215~250)

 

 

   강독강좌  전체일정   

강독1 (7강) : 2021. 4~5

『차라투스트라』 1부 신의 죽음과 새로운 우상

『차라투스트라』 2부 힘에의 의지와 거리의 파토스

강독2 (7강) : 2021. 7~8

『차라투스트라』 3부 니힐리즘과 영원회귀

『차라투스트라』 4부 위버멘쉬와 비극의 파토스

 

   니체철학의 지도그리기   

니체철학의 핵심개념 :: 신의 죽음, 힘에의 의지, 영원회귀, 위버멘쉬, 아모르파티

니체철학의 사유방법론 :: 계보학, 가치전환(해석과 가치평가), 위대한 건강, 퍼스펙티비즘

니체철학의 현대성비판 :: 자유, 평등(민주주의), 정의 / 국가, 노동(근면) / 동정(이타주의), 고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4683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602
260 [2021봄강좌] 강사인터뷰: 차라투스트라 강독_류재숙 [2] file 강좌팀 2021.02.27 681
259 [2021봄강좌] 강사인터뷰: 이것은 나의 ‘첫’ 시_김경후 시인 file 낙타 2021.02.23 684
258 [2021봄강좌] 시워크숍 :: 이것은 나의 '첫'시 / 4.7(수) 개강! [6] file 강좌팀 2021.02.07 1006
» [2021봄강좌] 강독강좌 :: 차라투스트라1 / 4.9(금) 개강 [22] file 강좌팀 2021.02.07 1651
256 [개강연기] 헤겔을 넘어선 헤겔(1/6(수)-> 1/13(수) 효영 2020.12.31 270
255 [강좌취소] 화엄의 철학, 연기성의 존재론 생강 2020.12.29 407
254 [모집마감] 화엄의 철학, 연기성의 존재론 생강 2020.12.29 194
253 [2021겨울강좌③] 『의미의 논리』 읽기2: 강사인터뷰 file Jae 2020.12.18 501
252 [2021겨울강좌④] 들뢰즈 철학의 절단면들2: 강사 인터뷰 lllll 2020.12.17 553
251 [2021겨울강좌②] 헤겔을 넘어선 헤겔: 강사인터뷰 (오지호선생님) [1] file 효영 2020.12.16 659
250 [2021겨울강좌②] 헤겔을 넘어선 헤겔[일정 조정] 1/13(수) 개강 file compost 2020.12.09 725
249 [2021겨울강좌①] 화엄의 철학, 연기성의 존재론 [8] file compost 2020.12.09 568
248 [2021겨울강좌③] 『의미의 논리』 읽기2. 2021. 1. 8(금) 개강-총6강 [4] file compost 2020.12.01 924
247 [2021겨울강좌④] 들뢰즈 철학의 절단면들2. 2021. 1. 7(목) 개강 [2] file compost 2020.12.01 1154
246 [2020가을강좌] 강사인터뷰: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읽기_변성찬 선생님 [1] file 탁선경 2020.09.18 1293
245 [2020가을강좌] 강사인터뷰: 해러웨이: 코로나 시대, 공-산의 사유_최유미 선생님 file 효영 2020.09.17 472
244 [2020가을강좌] 들뢰즈 [의미의 논리] 읽기 file 생강 2020.09.01 1205
243 [2020가을강좌] 해러웨이, 코로나시대 공-산의 사유 file 생강 2020.09.01 717
242 [곧 마감] 들뢰즈 철학의 절단면들 효영 2020.07.09 466
241 [2020여름강좌③] 강사인터뷰 : 천정환 선생님 이에스 2020.07.03 31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