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토요일에 만나는 인문학(1/7-3/18)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 강사 인터뷰!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난이래 <자본>을 부단히 읽어왔다."  

루이 알튀세르, <자본을 읽자> 중-

 

맑스_내 마음을 받아줘.png

 

 

Q. 연구실에서 공부하다 보면 주로 현대 철학자들의 책을 많이 읽게 되는데요

요즘의 시대를 사유하는 현대 철학자들이 아닌 맑스를 기획하게 된 이유를 듣고 싶어요.

 

 

2007bbc 설문조사에서 맑스가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혔어요.

 

marx_I1.jpg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자 자본의 위기에 대한 관심으로 맑스의 <자본>이 더 많이 읽혔다고 하죠.

 

약 맑스주의자라면 맑스 이전과 맑스 이후로 시대 구분을 하겠지만,

비단 맑스를 좋아하는 사람 뿐만 아니라 맑스를 싫어하는 사람도 맑스의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매번 다시 읽게 되는 맑스는 같은 맑스는 아닐 겁니다. 맑스주의 내에서도 굉장히 다양하게 맑스를 읽어왔던 길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맑스라는 거대한 '숲'을 향하는 길이 아니라 맑스라는 좁은 '오솔길'을 내는 작업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루이 알튀세르라는 프랑스 철학자가 1960년대에 한 작업이 그런 것이었죠.

스탈린주의에 잠식된 맑스가 아니라 새로운 맑스로 난 오솔길을 내었던 것처럼요.

그 오솔길을 따타 현대 정치철학들은 각자 더 많은 구불구불한 길들을 내고 있습니다.

지젝은 자신이 맑스주의자라고 하고, 바디우와 랑시에르도 알튀세르의 제자로서 맑스주의자의 오솔길을 만들고 있죠.

발리바르 역시 알튀세르의 가장 성실한 제자로서, 스승의 오솔길을 따르면서 그 옆에 또 구불거리는 길을 내고 있습니다.

네그리는 말할 필요도 없고요.

 

 

 

 

 

알튀세르 등 등.png

 

 

알튀세르 이전, 그러니까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전통에 있는 맑스는 '정통성'의 맑스였습니다.

하지만 그때에도 단 하나의 맑스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스탈린은 하나이길 원했지만 말이죠.

알튀세르는 <자본을 읽자> 서문에서 지금까지 맑스를 어떻게 읽어왔고, 또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간략하게 서술했습니다. 굉장히 인상적인데요.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난이래 건강하거나 아프거나, 죽어서나 살아서나 우리에게 <자본>을 읽어줬던 사람들

즉 엥겔스, 카우츠키, 플레하노프, 레닌, 로자 룩셈부르크, 트로츠키, 스탈린 그리고 그람시 등과 같은 

노동자 조직의 지도자나 그 지지자 또는 반대자

요컨대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가들의 저술이나 연설을 통해 <자본>을 부단히 읽어왔다.”

 

 

, 맑스주의 내에서 알튀세르 이전과 이후로 맑스의 독해는 아주 달라지게 됩니다.

그만큼 알튀세르는 맑스의 독해를 아주 새로운 방식으로 읽었고, 그 영향력이라는 것은 맑스 독해의 방향을 바꾸어 버렸습니다.

자본론 읽는 맑스.png 9-1알튀세르.jpg

 

 

 

 

그러니까 알튀세르 이후 우리는 거대한 맑스라는 숲을 형성하려는 독해가 아니라 다양한 오솔길들로 더 멀리 나갈 수 있게 됩니다.

알튀세르는 맑스에게 없는 것을 맑스의 것이 아닌 사유들-가령 정신분석이 그렇죠-을 통해 과감하게 공백을 드러내고

그 공백을 맑스 사상과는 이질적인 것들로 채우면서 새로운 독해를 시도합니다.

 

그런 알튀세르가 전통적인 맑스주의들, 심지어 스탈린까지 포함해 자신에게 <자본>을 읽어줬던 사람들을 하나하나 언급하며

<자본>을 부단히 읽어온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난 이래' <자본>을 부단히 읽어 왔으며, 읽어갈 것이다. 라고 선언하는 듯 합니다. 

맑스를 계승하거나, 변형하거나 심지어 왜곡하는 것 역시 맑스의 독해이고 그러한 '읽기'의 역사위에 자신의 '읽기'를 놓는거죠.

보통 자신의 주장을 쎄게 말하기 위해서 과거의 다른 사상가들의 사유를 부정하거나 비판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런면에서 알튀세르의 <자본>읽기는 맑스주의의 역사를 복원하면서 동시에 그 위에서 자신의 독특한 읽기를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그 후 맑스 읽기는 굉장히 멀리 나아가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오늘날 맑스를 읽는다는 것은 현대 철학자들이 멀리 나간 맑스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Q. 토요인은 처음 시작하는 인문학이 모토인데요. 텍스트는 맑스의 원전을 다루고 있더라고요

맑스 사상에 입문하려는 수강생들에게 이것이 부담이 되진 않을까요? 책이 너무 두꺼워 겁이나요.

 

<자본>이 좀 뚱뚱한 책이죠^^.

우리가 이번에 읽을 분량은 자본 1, 2, 3권 중 1권만 읽습니다. 그런데 1권도 워낙 두툼해 2권으로 출판되어 있습니다.

자본 책--.jpg

 

맑스 사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나 자본의 집필의도, 그리고 자본을 읽을때 염두에 두어야 할 지점들은 강의때 말씀드릴 예정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길잡이 삼아 읽는 것은 저와 여러분이 함께 하는 것입니다. 처음이기 때문에 오히려 맑스와 직접 만날 것을 제안드립니다.

왜냐하면 그 어떤 훌륭한 해설서도 맑스 자신만큼 풍부하게 씌여있지는 않으니까요.

 

예고편 많이 보면 영화의 재미가 반감되는건 당연한 것이죠. 저는 <자본>이 여전히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생각합니다.

<자본>을 누구와 함께 읽느냐에 따라 자본의 메시지가 매번 다르게 와닿는 지점이 있어요.

그런 의미에서 저 역시 이번에 읽는 <자본>이 너무 기대됩니다.

맑스 뿐만 아니라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함께 읽을 친구들이 매우 중요하죠. 처음 읽기 때문에 무엇보다 함께 읽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또 하나, <자본>은 맑스가 당대의 노동자들을 위해 쓴 책입니다.

처음 가치문제가 나오는 상품편을 제외하고는 어렵다고 항변하지 말라고 서문에 쓸 정도니까요. (물론 다 읽고나서 항의하는 사람 꽤 봤습니다만..^^).

그러나 함께 읽는 친구들을 밑천삼아 꾸준히 읽어 나간다면 그리 난해한 텍스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Q. 맑스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편견 중 하나는 맑스가 모든 문제를 경제의 문제로 환원시킨다는 점입니다

그런 편견 때문인지 맑스는 정치, 경제를 공부하는 사람 외에 철학이나 예술 분야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는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 같아요. 강사님은 어떤 사람이 맑스주의를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이런, 엄청난 오해군요. 맑스는 모든 문제를 경제 문제로 환원하지 않았습니다. <자본> 표지를 봅시다.

 

 

htm_20080614013342a000a200-001.jpg 8937604329_1.jpg


 

 

 

거기에는 부제가 딸려있죠. ‘정치경제학 비판이라는 부제는 <자본>의 의도가 오늘날 경제학을 의미하는 정치경제학에 있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는 당대의 애덤 스미스나 리카도의 정치경제학을 비판하려는 목적으로 <자본>을 서술했습니다.

그런데 맑스가 수행한 비판이 매우 중요하고 또 독특합니다. 그건 강의때 자세하게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겁니다.

 

맑스는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정치경제학을 '비판'하며 자본주의의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을 분석합니다.

하지만 자본주의가 경제적인 영역만이 아니듯이 - 자본주의는 경제적 시스템을 넘어 우리 삶의 양식들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죠

 <자본>은 역사적으로 등장한 생산양식이라는 구조가 우리의 의식 바깥에서 우리의 의식을 어떻게 규정하게 되는가를 분석합니다.

 

여기에는 혁명의 문제가 놓여있습니다. 우리는 박근혜 정권을 퇴진시키는 것만으로 새로운세상이 도래할 것이라는 순진한 믿음을 가지고 있지 않죠.

또 자본주의를 붕괴시킨다고 해서 그것이 곧 우리가 희망하는 세상을 열어주지는 않습니다.

물론 혁명은 경제적인 영역을 건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경제적인 영역을 아무리 파헤친다고 하더라고 혁명을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맑스는 혁명을 위해 <공산당 선언>을 썼고, ‘혁명이 가능한 조건을 분석하기 위해 <자본>을 썼습니다.

혁명을 위해 자본의 심층으로 들어간 것이죠. 그래서 그것은 자본의 바깥에서 쓰여진 자본에 대한 책입니다

 

정치와 철학, 예술도 마찬가지입니다.

늘 그 시대의 지배적인 통념들에 맞서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이 어떻게 예술이 되며, 철학이 되고, 정치가 될 수 있을까요?

당대에 각광받을지라도 단언컨대 <자본>처럼 오래동안 사람들에게 사유의 재료가 되지는 못할 거에요. 

모든 것을 혁명의 수단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정치와 철학, 예술의 고유한 정치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은 지배적인 예술의 바깥에서 예술을 창안할 때 한 시대의 문제의식을 뛰어넘는 급진적인 실천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맑스의 사상이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지적인 영감을 불어넣는 이유 중의 하나는

그가 살았던 근대, 자본주의의 한 가운데에서 자신의 시대와 대결하기를 멈추지 않았으며,

그리하여 그 시대성을 뛰어넘는 문제의식을 보여주었다는데 있습니다.

그는 단 한번도 데카르트로부터 시작하는 근대의 주체철학에 대한 글을 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유에는 근대의 주체적 기획을 넘어서는 지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자본>을 '철학적'으로 독해하려는 알튀세르와 그의 제자들이 있는 것이죠.

 

Q. 이 강좌를 듣게 될 수강생 중에는 맑스의 이론이 생소한 수강생도 많을 것 같은데요. 

그 분들이 맑스와 친숙해질 수 있도록 추천해주고 싶은 텍스트가 있으신가요?

 

무엇보다도 <자본>이죠^^. 우선 강의가 시작하기 전에 <자본>의 서문을 눈으로 훓어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맑스의 전반적인 사상이나 맑스 이후 맑스주의의 전개를 알고 싶다면 한형식 선생님이 쓴 <맑스주의 역사 강의>와 같은 책이 있습니다.

맑스가 정말로 처음이라는 분은 <마르크스는 처음입니다만>이라는 최근 나온 책도 추천합니다. 그 외에도 <자본>에 대한 훌륭한 책들은 정말 너무 많죠.

맑스주의 역사강의.jpg마르크스는 처음입니다만.jpg

 

 

 

강의 때마다 추천할 예정이지만, 무엇보다 <자본>을 드문드문 들춰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저 잡지 책 뒤적거리듯이요^^

 

 

 

 

Q. 마지막으로, 이번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의 맑스 입문을 돕는다는 취지도 있겠지만

강사님 스스로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번 강의에 걸고 있는 기대가 있으신가요?

 

 

시절이 하수상하니 모든게 새롭게 보이는 시기입니다.

 

 

article.jpg

 

 

박근혜 퇴진 투쟁이 이렇게 일어나지 않았다면 아마 <자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읽었을 것입니다.

 

<자본>을 다시 읽어야 하는 시점에서 다시, 민주주의라는 구호가 남다르게 다가옵니다.

우리가 민주주의를 다시 이야기할 때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또 다른 삶의 조건 속에서 민주주의를 이야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가계부채가 1300조를 돌파하고 있고, 신자유주의는 신고립주의로 변형되고 있습니다.

 

 

20160224003446_0.jpg

 

 

이러한 경제적인 문제는 삶의 양식을 바꾸고도 남지만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경제의 위기는 자본과 노동 사이에 그어지지 않고 이주민과 소수자들을 향해 더 많은 분할과 차별의 선을 긋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정치와 경제의 문제를 함께 사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탄핵 정국이 소강상태로 접어들면 글로벌 경제위기 담론이 또 다시 한국사회의 촛불을 꺼뜨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니 지금 우리는 <자본>을 읽되, 맑스가 혁명을 위하여 자본을 서술했던 것처럼 

새로운 민주주의를 위하여 <자본>을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정치경제학 비판으로서의 <자본>, 비판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좀 더 염두에 두면서 읽어가려고 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자본>에서 전면적으로 쓰여지지 않은 국가의 문제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봅니다

 

 

 

강좌는 오는 1월 7일 토요일을 시작으로 10주간 매주 토요일 3시에 시작된다.

해 맞이! 주저 말고 수유너머N 토요인 강좌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 』을 읽자!>를 클릭하시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5048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688
331 [2015이철교 시즌2-7] 마지막수업 ::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 3.28(토) [7] file 수유너머N 2015.03.02 147352
330 [이진경의 철학교실] 시즌1 :: 1~6기 / 시즌2 :: 1~7기 수유너머N 2015.03.02 147345
329 [2011이철교 시즌1-1] 수업안내 :: 근대철학을 넘어 / 1.4(화) [32] file 수유너머N 2010.12.03 63998
328 세미나 및 강좌 참여 안내 수유너머104 2009.10.14 62155
» [강사인터뷰]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_강사 전주희 인터뷰 [8] file 수유너머N 2016.12.08 60105
326 [겨울강좌] 디아스포라의 정치와 신학 [5] file 수유너머N 2012.11.29 57428
325 [수유너머104] 강좌는 개강 후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2009) 수유너머104 2009.10.09 39693
324 [겨울강좌 마스터 클래스] 이진경의 '건축과 사유의 지평을 찾아서' [7] file 수유너머N 2012.11.29 33069
323 [토요인문학] 시즌 1-5 처음 만나는 맑스, 『자본』을 읽자! (1월 7일 개강!) [2] file 수유너머N 2016.11.20 28349
322 [2012이철교 시즌1-4] 수업안내 :: 자본을 넘어선 자본 / 1.28(토) [16] file 수유너머N 2012.01.03 27528
321 [수유너머104] 2017년 강좌ㅣ 신청글양식 수유너머104 2011.12.13 26122
320 [겨울강좌] 바흐친, 미드의 사회학, 복잡계와 생명정치, 살사 (춤 강습) [9] file 수유너머N 2010.12.10 22614
319 [2011이철교 시즌1-2]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5.7(토) [22] file 수유너머N 2011.04.07 22597
318 [2011이철교 시즌1-2] 수업안내 :: 노마디즘1 / 5.7(토) [1] 수유너머N 2011.04.07 20779
317 [헤겔 강독] 헤겔의 <정신현상학> 읽기! 2013년 1월 9일 수요일 개강 안내 [83] file 수유너머N 2012.11.23 19401
316 7/6 개강! 인류학 강좌 강사 인터뷰 [6] 인류학팀 2011.06.28 19320
315 :::::::::::::::::|수유너머N 2013겨울강좌|::::::::::::::::: file 수유너머N 2012.11.29 19307
314 [2012이철교 시즌1-5] 수업안내 :: 코뮨주의 / 6.23(토) [12] file 수유너머N 2012.06.02 17956
313 [강독 강좌] 헤겔 <정신현상학>2권 개강 안내 3월 22일 금요일 [41] file 수유너머N 2013.02.12 17449
312 [2013 수유너머N 여름강좌 ①] 현대비평이론 읽기 - 프로이트에서 들뢰즈까지 [5] file 수유너머N 2013.06.01 1719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