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도덕의 계보] 제2논문 후기 - 못다한 이야기

정웅빈 2020.03.26 23:26 조회 수 : 484

"거칠고 자유롭게 방황하는 인간의 저 본능을 모두 거꾸로 돌려 인간 자신을 향하게 하는 일을 해냈다. 적의, 잔인함과 박해, 습격이나 변혁이나 파괴에 대한 쾌감 - 그러한 본능을 소유한 자에게서 이 모든 것이 스스로에게 방향을 돌리는 것, 이것이 '양심의 가책'의 기원이다." <도덕의 계보>, 제2논문 16절

 

니체는 양심의 가책을, "야만, 전쟁, 방랑, 모험" 등과 같은 인간의 본능이, 외부를 향해 발산되지 못하고 내부로 향하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하나의 병"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니체에 따르면 양심의 가책은 흔히 생각하듯이 위법 행위에 대한 형벌이 아니라, 계약 관계로부터 만들어진, 조상에서 신으로 이어지는 '채무감정'으로부터 발생한 것이다.

("죄(Schuld)라는 저 도덕의 주요한 개념이 부채(Schulden)라는 극히 물질적인 개념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을 막연하게나마 생각해본 적이 있었던가?")

 

원초적인 채권-채무자의 계약 관계에서는 '주체에 대한 미신'과 더불어 '고통을 통한 보상'이라는 사상이 나타난다. 왜냐하면 "가치를 재고 평가하고 측정하는 존재"인 인간은, "모든 것은 대가로 지불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떻게 '고통'까지도 부채에 대한 보상이 될 수 있을까? 그것은 인간이 고통을, 잔인함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고통을 보는 것은 쾌감을 준다.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은 더욱 쾌감을 준다.- 이것은 하나의 냉혹한 명제이다.", "이는 자신의 권력을 무력한 자에게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는 쾌감이기도 하며, "악을 저지르는 즐거움을 위해 악을 저지른다"는 육욕적 쾌락이기도 하고 폭행을 즐기는 것이기도 하다.") 채권자는 형벌로써 잔인함을 통해, 채무자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하고 자신에 힘을 의식한다. '비극적 연민', '십자가에 대한 향수', 무아, 자기 부정, 자기희생과 같은 모순된 개념들을 수행하는 '금욕주의적 이상' 또한 마찬가지로 양심의 세계속에서 "정신적인 것으로 번역되어 드러나는" 그러한 잔인함에 대한 쾌감인 것이다.

 

이렇게 채권-채무자의 계약관계는, 개인과 공동체와의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며, 양심의 가책이 "가장 무섭고 가장 숭고한 정점"에 이르게 되는 것은 바로 채권-채무자의 관계가, 채무 감정이 조상을 넘어 신에 대해 나타나는 경우이다. 민족의 번영과 존속은, 조상의 희생과 공헌에 빚지고 있다. 이러한 채무 감정은 민족의 승리가 커질수록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결국 "가장 강력한 종족"의 조상은,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신의 존재로 변형된다. 신에 대한 채무 감정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신에 대한 부채는 조상에게 하듯이, 복종과 예배를 통해 상환될 수 없다. 신 앞에 서게 된 인간은, 더 이상 자신의 자연적인 본능을 "좀더 자연적인 출구"를 통해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 인간의 본능은 "사유, 추리, 인과의 결합, 계산, 의식"으로 대체되었으며, 스스로를 죄인이라 여기고 스스로를 괴로워하게 되었다.

 

"그는 비이기적이라고 불리는 그 행위만을 할 수 있을 뿐인 존재, 그리고 사심 없는 사유 양식을 지속적으로 의식하면서 사는 존재, 즉 신과 자신을 비교한다. 이 밝은 거울을 들여다봄으로써 그에게는 자신의 본질이 지극히 흐리고, 이상하게 일그러져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징벌의 공정함으로 그의 환상에 떠다니는 한, 자신의 본질을 생각한다는 것은 그를 불안하게 만든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제3장 132절

"인간은 너무 오랫동안 자신의 자연적 성향을 '나쁜 눈'으로 보아왔기 때문에, 이 성향은 인간에게서 마침내 양심의 가책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정반대의 시도 자체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시도를 할 만큼 강한 사람이 있는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212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84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90
982 한국 퀴어 담론 내부의 새로운 담론 형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file 두뷰 2023.02.24 63
98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혁명의 순간 모습을 보이는 실존에 대하여 알렌 2023.02.17 58
980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을 통한 탈주의 가능성 진영 2023.02.17 64
979 푸코와 퀴어담론 두뷰 2023.02.15 80
978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잘> 욕망이론과 이행 초보(신정수) 2023.02.15 68
977 <청인지 #15 -9주차 발제> 존재함을 왜 다시 묻는가? file 초보(신정수) 2023.02.14 75
976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알려지지 않은 고졸자의 눈물과 소수자-되기 file 김정래 2023.02.11 74
975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멀어짐으로써 완성되는 빛의 자리로 file 영원 2023.02.10 62
974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일상을 여행하기 file 바라 2023.02.10 46
973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담론이란 무엇인가. 김구름 2023.02.10 67
972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라깡의 무의식 개념 변화에 따른 주체의 변화 file 홍지연 2023.02.10 52
97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편지는 항상 그 목적지에 도달한다 file 소형 2023.02.10 64
970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역량과 나의 삶 file 네오 2023.02.10 52
969 [청인지 15-8주차 발제] 제2장 어떻게 하면 타자와 서로 인정할 수 있을까? – 승인론 file 네오 2023.02.07 102
968 [청인지 15-7주차 발제] 10장 자본주의 공리계와 그 외부 김정래 2023.02.03 28
967 [청인지 15-7주차 발제] 8장 들뢰즈와 현대예술 : 추상과 추상적 선의 개념에 관하여 file 조성아 2023.02.03 37
966 [청인지 15-6주차 발제]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file 리베인데 2023.02.03 66
965 [청인지 15-6주차 후기] '혁명의 욕망, 욕망의 혁명'과'유목주의' 후기 진희 2023.02.02 44
964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후기 이상진 2023.01.25 52
963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file 경덕 2023.01.13 7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