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7장 우리의 덕 후기

 전설적인 삼국지의 모형 게임에서 덕이 등장인물 능력으로 표시된다. 면접채점표같은 지력, 덕성, 체(무력), 충성도 평가항목에서 군주에게는 덕 항목이 으뜸이다. 유비의 덕 능력치가 제일 높다. 나관중의 언더독 신드롬 관점을 따라 게임에서 유비에게 군주의 좋은 특성을 부여했다. 역사와 다른 가상의 스토리라인을 구성해 재미를 얻는 모형 게임에서 유비를 주인공으로 선택한 게임이 드라마틱하다. 천하통일을 위해 불리한 위치에서 인재를 포섭하는 능력으로 성군으로 성장하는 이야기가 대중적이다. 하지만 실상 게임에서 덕은 매력적인 능력이 아니다. 지략과 무력으로 적을 무찌르는 것도 아니고 눈에 띄는 화려함이 덕에는 없다. 어떻게 보면, 유비가 게임과 소설에서 제일 매력없는 인물이다. 조연역할에 잘 어울리는 가상 주인공같이 보인다. 게임에서 뛰어난 인재를 포섭하고 민란을 잠재우는 덕성은 중요한 능력이지만 인간적인 매력이 없었다. 

 니체의 덕은 삼국지 게임 속 유비를 말하지 않을 것이다. 각자의 특이성으로 빛나는 생성의 가치는 게임 속 수치와 다르다. 우주의 이치를 꿰뚫고 지략이 뛰어난 제갈공명이 덕에서 유비보다 점수가 낮을 이유가 없다. 자기 파괴를 할 정도로 자기 창조적인 과로를 해가며 스스로 수명을 줄인 제갈공명의 덕이 빛난다. 천하통일 대업을 위해 북방 토벌에서 반복과 차이로 실험을 끊이지 않고 이어온 힘을 드러낸 제갈공명이 실제 삼국지의 주인공이다. 대세인 유비에 대한 추종 속에서 제갈공명의 매력이 계속 게임을 하게 만든 기억이 생각났다. 삼국지에서 덕을 다시 발견했다.      

 세미나 시간에 덕에 대한 다양한 의견 교류가 흥미로웠다. 종합적으로 힘에 의지를 유지, 관리하는 덕의 의미를 살펴봤다. 스스로 드러나는 것이 힘이라고 봤을 때 덕은 역량과 같은 의미가 된다고 했다. 그리스 철학에서  주지주의에서 주의주의로 발전할 때 앎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의지이자 믿음이 실현되는 정신의 힘이 덕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살인을 하지마라의 진정한 의미를 알게 되면 정당방위처럼 살인을 초월하게 된다는 어렴풋한 이해가 뒤따랐다. 믿음, 앎, 실천이 개체 안에서 합쳐지면 엄청난 힘이 생기는 것이다. 지금도 아리송하지만 제갈공명의 덕이 부연설명을 해준다. 제갈공명은 천하통일을 정직하게 믿고 지헤를 닦고 묵묵히 실행했다. 정직, 믿음, 앎, 덕, 힘, 행동 각 개념들이 머리 속에서 흩어졌다 결합하기를 반복한다. 

 맹목적인 힘이 덕일 수 있다. 피천득 수필 ‘동전 한잎’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맹목적인 힘이 매력적인 건 원초적이기 때문이다. 동전 한잎만큼 작은 것일지라도 온전히 원하는 것이 있다면 모험을 시작할 수 있다. 긍정의 힘으로 자기 창조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자신을 넘어 힘이 확장하려면 세상의 이치를 깨우쳐야 한다. 장인의 기술이 필요하다. 배움과 앎이 요구되는 것이다.  연금술사와 유대설화 속 문지기 일화의 농부는 비슷하다. 평생을 걸어 앎을 탐구했다. 다른 차원의 이행을 시도했다. 무한한 가능성을 향한 질주에서 말 고삐를 놓을 수 있는 용기가 있었다. 그들은 세상에 힘을 드러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211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83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90
978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잘> 욕망이론과 이행 초보(신정수) 2023.02.15 68
977 <청인지 #15 -9주차 발제> 존재함을 왜 다시 묻는가? file 초보(신정수) 2023.02.14 75
976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알려지지 않은 고졸자의 눈물과 소수자-되기 file 김정래 2023.02.11 74
975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멀어짐으로써 완성되는 빛의 자리로 file 영원 2023.02.10 62
974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일상을 여행하기 file 바라 2023.02.10 46
973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담론이란 무엇인가. 김구름 2023.02.10 67
972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라깡의 무의식 개념 변화에 따른 주체의 변화 file 홍지연 2023.02.10 52
97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편지는 항상 그 목적지에 도달한다 file 소형 2023.02.10 64
970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역량과 나의 삶 file 네오 2023.02.10 52
969 [청인지 15-8주차 발제] 제2장 어떻게 하면 타자와 서로 인정할 수 있을까? – 승인론 file 네오 2023.02.07 102
968 [청인지 15-7주차 발제] 10장 자본주의 공리계와 그 외부 김정래 2023.02.03 28
967 [청인지 15-7주차 발제] 8장 들뢰즈와 현대예술 : 추상과 추상적 선의 개념에 관하여 file 조성아 2023.02.03 37
966 [청인지 15-6주차 발제]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file 리베인데 2023.02.03 66
965 [청인지 15-6주차 후기] '혁명의 욕망, 욕망의 혁명'과'유목주의' 후기 진희 2023.02.02 44
964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후기 이상진 2023.01.25 52
963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file 경덕 2023.01.13 70
962 [청인지15-4주차 [후기]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두뷰 2023.01.10 77
961 [청인지15-4주차 발제]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file 바라 2023.01.06 73
960 [청인지15-3주차 후기] 푸코, 담론, 에피스테메 [1] 수진 2023.01.04 110
959 [청인지15-3주차 발제] 푸코의 담론이론: 표상으로부터의 탈주 file 진영 2022.12.30 9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