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이번의 세미나에서 나온 주요 주제

[도덕] 강자의 생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의 도덕 vs 약자의 생리적으로 병든 상태의 도덕
[동정] 강자의 이기심에서 나오는 동정 vs 약자의 이타심에서 나오는 동정
[자유로운 죽음] 자살/안락사 vs 자연사
[자유] 약자의 자유 vs 강자의 자유
[평등] 약자의 평등 vs 강자의 거리의 파토스

 

다양한 주제에 대해 나누면서 그것들 사이로 흐르는 공통된 핵심을 볼 수 있었다.
내가 '나' 자신으로 사는가 , 그 '나' 자신이 어디로부터 온 것인가, 그것은 진짜 나인가.
사회적 통념, 가까운 사람들의 기대치, 보고 배우고 자란 교육환경 등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 아닌
니체가 그렇게 만나고 싶어 했다던 내 안의 내재하고 있는 여러 모습들의 진짜 '나'.

여러번의 시행착오와, 좋든 싫든 어떤 한 분야의 깊은 곳까지 체험한 사람은 그 '나'를 찾는데 좀더 가까워질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단번에 젊고 어린 나이에 그 '나'를 한번에 찾아낸 사람들은 행운이자 축복이라고 할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해서 나를 찾아 진정한 나로서 살아가는 사람은 
생리적으로 강한 도덕적인 사람이고, 강자이고, 강자로서 동정을 배풀수 있고,
자유롭고 평등하고, 예술과 미에 가까운 사람이라고 나는 생각했다.

 

현실의 나 = 내 안의 '나' = 강자.
강자가 자신이 진정으로 즐거워서 하는 일(=공부,작업,운동,연주 등)을 하는데 남탓이나 상황탓을 할 새는 없을 것 같다. 강자에게 '이타심에 의한 동정' 같은 것 없지 않을까. 내가 내 것에 몰두하기도 바쁠테니, 모든 일상이 그 도취 속에서 살아갈테고 불합리한 상황이 있다면 탓을 하기보단 개선해내려는 힘에 의지가 발동할 것이고, 혹은 그 불합리한 상황 마저 초월해버리는 즐거움 혹은 도취가 자리할테니 말이다.

 일례로 책을 쓰고 공부하는 것이 즐거운 작가가 있다. 유명세를 위해서 연구활동과 출판활동을 하지 않는다. 그저 작가는 그 공부가 재밌고  혼자 알기 아까워서 나누고 싶기도 하고 또 자신 혼자 공부하며 생각한게 혹시 한계는 없지 않을까 하면서 여러 사람과 나눈다.
 그 나눔은 이타심에 의한 동정이 될 수 없을 것이다. 강자가 스스로 즐거워서 나눈 이기적 동정일 것이다.
 가정이 있음에도 돈벌이가 적다는 시대적 도덕적 잣대로도 그 작가를 비판할 수 없다. 자본의 논리에 의해 훌륭한 작품이 있음에도 인정받지 못하는 사회구조를 깨기 위해 그 작가는 대가없이 노력할 수도 있고, 혹은 그러한 인정조차 웃어 넘기며 갈망하지 않는 초월의 도취가 있을 수도 있을것이다. 
 이렇듯 그는 강자이기에 자유롭다. 자유롭기에 죽음도 두렵지 않다. 자신으로 살지 않을때  매일의 괴로움(살아도 죽어있는 삶)과, 실제 죽음에 의한 허망함. 이 둘중에 무엇이 더 두려운 일일까. 살아도 죽어있는 삶과 몸의 죽음은 무엇이 다른가.
 강자가 자유롭게 선택하는 자살을 옹호한다는 것은 논쟁의 소지가 있지만, 그 범주를 벗어나 논한다면 강자는 죽음으로부터 조차도 자유롭다고 생각한다. 그 자유는 예술을 야기할 수 할 수 있고, 예술을 해야겠다 마음먹어서 예술이 아니고, 그 자체가 예술이고 아름다움이 아닐까.

 

책을 읽으면서 또 세미나를 하면서 내내, 강자는 내 안의 진짜 '나'대로 사는 사람이라는 관점에 매료되어서
너무 모든 주제에 다 연관 짓는 단순함을 범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짦은 후기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저도 니체의 말처럼 그 많은 진짜 나를 빨리 더 많이 만나보고 싶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203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76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81
966 [청인지 15-7주차 발제] 8장 들뢰즈와 현대예술 : 추상과 추상적 선의 개념에 관하여 file 조성아 2023.02.03 37
965 [청인지 15-6주차 발제]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file 리베인데 2023.02.03 66
964 [청인지 15-6주차 후기] '혁명의 욕망, 욕망의 혁명'과'유목주의' 후기 진희 2023.02.02 44
963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후기 이상진 2023.01.25 51
962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file 경덕 2023.01.13 69
961 [청인지15-4주차 [후기]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두뷰 2023.01.10 76
960 [청인지15-4주차 발제]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file 바라 2023.01.06 72
959 [청인지15-3주차 후기] 푸코, 담론, 에피스테메 [1] 수진 2023.01.04 110
958 [청인지15-3주차 발제] 푸코의 담론이론: 표상으로부터의 탈주 file 진영 2022.12.30 94
957 [청인지15-2주차 후기] 상징계를 탈주하기 [2] 이희옥 2022.12.29 99
956 청인지 2강 발제 (무의식의 이중구조와 주체화) file 초보(신정수) 2022.12.23 72
955 [청인지15 - 1주차 후기] 라캉으로 시작! [2] 경덕 2022.12.20 186
954 [북클럽 자본_에세이] 포겔프라이(vogelfrei) file 손현숙 2022.12.19 82
953 [북클럽자본_에세이] SPC사건, 다시 보기 file 파도의 소리 2022.12.17 76
952 [북클럽자본_에세이] 인공지능의 침묵 file 사이 2022.12.16 90
951 [북클럽자본_ 에세이] 옥수수 연대기, 비누연습 file 용아 2022.12.15 68
950 [북클럽자본_에세이] 괴물 씨앗 file 에이허브 2022.12.15 125
949 [청인지 15] 1강 발제 file 감쟈 2022.12.14 171
948 [북클럽자본_에세이] 미지의 마르크스를 향하여 [1] file 초보(신정수) 2022.12.12 17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