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왜 나에게 니체는 망치가 아닌가.

#516 요약하면, 논리학은 논리학 자체가 “진리자체”에 관해 무엇인가를 선언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조금의 의심도 품지 않는다.

요약하면 주체는 근대철학의 출발점이요. 진리는 그 목표점입니다. 철학과 굴뚝청소부, 데카르트中

‘권력의지’라는 책을 통해, 철학은 무엇을 하는, 무엇을 위한 학문이었는가를 배워가고 있다. 세미나에서 발언했듯, 나는 니체를 망치로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못했다”하고 표현했듯, 나는, 내가 그 정도의 이해능력을 갖추지 못해서. 라고 여기고 있었다. 세미나에서의 발언 이후, 내 발언에 대해 되돌아보며, 내가 못한것인지, 안한것인지를 정리해 봐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니체는 망치”라는 표현은 근대 철학이 추구해온 ‘진리’ 자체를 파괴했기 때문이다. 라고 정리하여 시작한다. (전제)

그렇다면, 나의 ‘진리’는 무엇일까? 나는 어떠한 ‘진리’를 추구하고 싶은 욕구가 있을까? (some kind of truth), 나는 ‘진리’를 추구하고 싶어할까? (any truth)

1. 나에게 신학은 진리가 아니다. 나는 무신론자이기에.

그럼 ‘무신’이 나의 진리일까. ‘신’을 믿는 사람에게는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다. 나는 “신의 역할을 하는 것”은 존재한다고, 존재할 수 있다고, 어쩌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이 예수가 될 수도, 돌이 될 수도 나무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본다. (이런 나를 무신론자로 분류해도 되는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이것이 ‘대중적 진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현실이 그렇지 않기에). 반면 ‘도덕’이 되었으면, 하는 욕망은 존재한다.

2. “truths와 Truth” 니체가 말하는 과학적 방법론은 이해하게 해준 개념이었다.

과학의 진리는 최선의 진리라고 생각한다. ‘더 나은’, ‘더 설명이되는’ 진리가 나타나면, 기꺼이 물러나는 진리. 명왕성이 왜소행성으로 퇴출되어진 것에 큰 감정적 동요가 없는 것. ‘행성’이라는 타이틀이 주어지는 기준의 재정비 쯤으로 나는 받아드렸다. 물리학과 뇌과학 또한, 현상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지. “Truth”가 되기를 추구하는 학문은 아니라 느껴진다.

3. ‘진리’가 ‘인간 존재가치’와 연결되어 생각되어져 왔다는 느낌이든다.

요즘엔 인간의 가치가 “우리가 이렇게 지구를 사용해도 되겠어?”, “우리가 동물을 착취하고 섭취해도 될까?” 그리고 “복제인간은 인간일까?” 들의 질문들로 생각되어 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질문들이 ‘진리’를 향한 질문은 아닌 것 같다.

(이런 관점에서 #515 “우리끼리 하는 말인데, 아무도 우리 인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존재라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에우클레이데스의 공간뿐만 아니라 이성도 단지 동물들 중 어느 특별한 한 종(種)의 특이성에, 그러니까 수없이 많은 특이성들 중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 재미있게 읽혔다.)

 

진리의 유무를 제쳐두고, 나는 별로 진리를 추구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고 파악되어지는데, 나는 철학적 태도를 가지지 않은/못한 것일까?

‘진리’를 추구하던 니체 이전의 철학자들은 어떠한 이유가 있었을까.

철학은 무엇을 위한 학문일까.

내가 이러한 내용을 몰라 니체를 망치로 느끼지 못하는 것일까.

 

이글은 결론이 없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든다. 어쩌면 적어도 올해는 결론을 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든다. ‘철학’에 대한 나의 지식이 부족한데 감히 그래도 될까. 라는 생각이 일차적 이유이며, ‘정돈된 결론’이라는게 무엇인지 모르겠는게 두번째 이유이다.

또 개인이 글을 쓰며 ‘능력부족’으로 결론을 내는 것이 발생가능한 일일까. 라는 생각도 들며 시작부터 모순되지 않았는가. 생각해본다.

 

문외한임을 드러내는 것 같아 망설여지지만, 초보자이기에 할 수 있는 질문이라 생각되어 용기내어 덧붙여 본다.

#444를 읽고 문뜩, 철학과를 나와 떡볶이집을 창업하여 이름을 소크라테스 떡볶이로 지었다는 이야기, 무인도에 각 직업군의 사람들이 떨어진다면, 철학자를 가장 먼저 구워먹을 거란 이야기가 떠올랐다.

내가 철학의 영역에 들어오지 않아서, 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철학의 ‘발견’들 어떠한 이슈들은 크게 대중화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이 지금 뿐인 이야기인지, 아니면 데카르트, 니체가 살던 시기에도 이 책들은 소수에 의해서만 읽혀지고, 이야기 되었는지. 그것들이 얼마큼의 파급력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든다.  그것이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공부해 보고 싶다.

‘파급력’의 면에서, ‘발견’에서의 역할이 철학자에서 과학자로 옮겨왔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렇다면 파급력을 이루는 다수는 Truth가 아닌 truths를 ‘믿고’ 있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든다.

문장의 시작을 질문이라 해놓고 맺음을 질문으로 하지 못하였다. 세미나를 하면서도 항상 ‘물음표로 끝나는 질문’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아는것과 모르는것 그리고 알고 싶은 것의 구분이 어렵고, 내가 듣고자 하는 것이 지식인지, 의견인지에 대한 판단도 어렵다. 이 또한 그동안 해주셨듯, 넓은 아량으로 받아주시기를 기대하며, 제 생각의 틀을 건들여주시길 부탁드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205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77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83
980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을 통한 탈주의 가능성 진영 2023.02.17 64
979 푸코와 퀴어담론 두뷰 2023.02.15 80
978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잘> 욕망이론과 이행 초보(신정수) 2023.02.15 68
977 <청인지 #15 -9주차 발제> 존재함을 왜 다시 묻는가? file 초보(신정수) 2023.02.14 75
976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알려지지 않은 고졸자의 눈물과 소수자-되기 file 김정래 2023.02.11 74
975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멀어짐으로써 완성되는 빛의 자리로 file 영원 2023.02.10 62
974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일상을 여행하기 file 바라 2023.02.10 46
973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담론이란 무엇인가. 김구름 2023.02.10 67
972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라깡의 무의식 개념 변화에 따른 주체의 변화 file 홍지연 2023.02.10 52
97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편지는 항상 그 목적지에 도달한다 file 소형 2023.02.10 64
970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역량과 나의 삶 file 네오 2023.02.10 52
969 [청인지 15-8주차 발제] 제2장 어떻게 하면 타자와 서로 인정할 수 있을까? – 승인론 file 네오 2023.02.07 102
968 [청인지 15-7주차 발제] 10장 자본주의 공리계와 그 외부 김정래 2023.02.03 28
967 [청인지 15-7주차 발제] 8장 들뢰즈와 현대예술 : 추상과 추상적 선의 개념에 관하여 file 조성아 2023.02.03 37
966 [청인지 15-6주차 발제]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file 리베인데 2023.02.03 66
965 [청인지 15-6주차 후기] '혁명의 욕망, 욕망의 혁명'과'유목주의' 후기 진희 2023.02.02 44
964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후기 이상진 2023.01.25 52
963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file 경덕 2023.01.13 70
962 [청인지15-4주차 [후기]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두뷰 2023.01.10 76
961 [청인지15-4주차 발제]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file 바라 2023.01.06 7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