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니체라는 사람에 대해, 니체의 철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제대로' 마음을 먹고 니체에 대해 공부한 것은 이번 수유너머 니체 세미나가 처음이었습니다.

니체 세미나를 처음 신청할 때, 혼자서는 읽기 힘든 니체를 같이 읽으면 좋겠다는 단순한 마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막 첫 번째 책 읽기를 마치고

두 번째 책 읽기를 시작하려는 지금, 제 마음과 생각은 처음보다는 많이 복잡합니다. 그 복잡한 마음을 조그미나마 글을 통해 정리하고 표현해보려고 합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첫 번째 책 읽기 과정을 매듭짓고, 다음 책 읽기 과정을위한 마음의 준비를 하려고 합니다.

또, 그동안 다른 세미나 참석자분들께서 올려주신 후기를 읽으면서 저도 생각과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나에게 묻는 질문1. 나는 왜 니체 세미나를 신청했을까?​ 니체 세미나, 니체 읽기(공부)를 통해 내가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니체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처음에는 니체와 니체의 철학에 대해서 더 자세히, 제대로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세미나에 참석해서 책을 읽고 다른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니체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 나에게, 나의 현재 삶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내가 니체 공부를 계속하게 하는 원동력은 무엇일까를 더 깊이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그리고 제 마음을 끄는 니체 철학의 매력은 무엇일까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그 고민은 아마도 세미나를 하고 니체를 공부하는 동안 계속하게 될 거 같습니다.

처음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단순히 니체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니체의 철학을 공부하는 과정을 통해서 제 사유의 흐름, 사고방식, 그리고 삶의 태도를 점검하고

바꿔가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니체 철학을 깊이, 정확히 이해하고 공부하는 것만큼 혹은 그보다 더 중요하리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

저는 석사과정에서 철학을 공부하면서, 철학 책(텍스트)과 제 삶 사이의 간극에 대해 생각해보곤 했습니다.

그리고 수업 시간에 토론을 하면서 "텍스트 기반 토론을 진행하세요!"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텍스트에 기반한 토론은도대체 뭘까? 철학 텍스트를 정확하게 이해

하는 게 가능할까? 때때로 그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저는 철학이라는 학문이 좋고, 철학 텍스트를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즐겁습니다.

이번 세미나 전반부 시간을 통해서 텍스트에 기반한 토론의 텍스트는 꼭 철학 텍스트가 아니라 제 삶이라는 텍스트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철학 개념을 내 삶과 보다 밀접하게 연결시켜보는 작업이 중요하다는 깨달음도 얻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철학 개념을 더 깊이, 풍부하게 이해한다는 것이 저에게는 다소 낯선 과정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개념을 왜곡하거나 자의적으로 해석을 할 위험이 있지 않을까?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그 과정이 삶과 분리된, 관념과 학문으로서의 철학이 아니라 내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철학 공부를 위해 꼭 필요한 단계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남은 세미나 시간을 통해서는 니체의 텍스트를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함과 동시에 니체의 철학이 제 삶에 선물하는 울림을 온몸으로 느껴보려고 합니다.​​

 

## 비개체적, 비인격적 실험과 영원회귀라는 니체의 개념을 머리가 아니라 온몸과 마음으로, 삶으로서 수용할 수 있는가?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을 공부하면서, 저에게 '나'라는 독립적 개체, 실체로서의 '나'라는 개념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끊임없이 나와 나 아닌 것의 경계를 구분하려고 하고, 나의 진짜 욕망과 주입되거나 부과된 가짜 욕망을 구분해내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래서 진짜, 순전히, 100%, 진정한 나의 욕망을 찾고 추구하고자 했습니다. 니체는 그러한 집착이 다다를 수 있는 곳은 '수동적 니힐리즘'뿐이라고 지적합니다.

저도 그 점을 지금은 '머리'로만 아주 조금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저는 제가 중요합니다.

눈으로는 니체의 책을 읽고 머리로는 영원회귀라는 개념과 비개체성, 무구한 차이와 생성의 흐름을 생각하고, 입으로는 능동적 니힐리즘을 이야기하지만,

여전히 저는 저라는 인간의 실존, 소멸, 죽음에 대해 생각하면 두렵고 무섭고 공포에 휩싸입니다. 그래서 때때로 부끄러워지기도 합니다.

니체를 공부하면서도 계속 이런 생각을 하는 제 자신이요. 하지만 그럴수록 더 니체를 읽고 열심히 제 삶 속에서 그런 사유와 실천의 괴리,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지. 하면서 마음을 다잡고 있습니다.​


 

"욕망은 니체가 ‘거리의 파토스’라는 말로 표현했던 차이의 열정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차이의 열정은 다른 사람들이 의지하는 것과 전혀 다른 새로운 것을 의지하는 열정이다. 마찬가지로 욕망은 다른 사람들이 욕망하는 것과 다른 새로운 것을 욕망하는 것, 즉 욕망함 그 자체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것은 욕망이론에서 순응주의를 제거하고 새로운 가치들의 창조로서 욕망을 정의하는 것이다."

니체, 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진은영), 208-209쪽

 

니체 공부를 통해서 다른 사람들이 욕망하는 것, 자본주의 사회가 욕망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 이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 그 자체를 욕망하며 생성을 무한히 긍정하는 삶의 태도를 익혀가고 싶습니다.​

니체를 공부하고 니체적 삶의 태도를 익히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곧 다른 모든 삶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부정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다만 한 가지, 지금 저에게 분명한 것은 니체 읽기가, 니체적 삶의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마지막 시간까지 지치지 않고, 열심히 함께 배워나가면 좋겠습니다. ^^ 다음 세미나 때 건강하게 뵙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205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77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83
978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잘> 욕망이론과 이행 초보(신정수) 2023.02.15 68
977 <청인지 #15 -9주차 발제> 존재함을 왜 다시 묻는가? file 초보(신정수) 2023.02.14 75
976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알려지지 않은 고졸자의 눈물과 소수자-되기 file 김정래 2023.02.11 74
975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멀어짐으로써 완성되는 빛의 자리로 file 영원 2023.02.10 62
974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일상을 여행하기 file 바라 2023.02.10 46
973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담론이란 무엇인가. 김구름 2023.02.10 67
972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라깡의 무의식 개념 변화에 따른 주체의 변화 file 홍지연 2023.02.10 52
97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편지는 항상 그 목적지에 도달한다 file 소형 2023.02.10 64
970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역량과 나의 삶 file 네오 2023.02.10 52
969 [청인지 15-8주차 발제] 제2장 어떻게 하면 타자와 서로 인정할 수 있을까? – 승인론 file 네오 2023.02.07 102
968 [청인지 15-7주차 발제] 10장 자본주의 공리계와 그 외부 김정래 2023.02.03 28
967 [청인지 15-7주차 발제] 8장 들뢰즈와 현대예술 : 추상과 추상적 선의 개념에 관하여 file 조성아 2023.02.03 37
966 [청인지 15-6주차 발제]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file 리베인데 2023.02.03 66
965 [청인지 15-6주차 후기] '혁명의 욕망, 욕망의 혁명'과'유목주의' 후기 진희 2023.02.02 44
964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후기 이상진 2023.01.25 52
963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file 경덕 2023.01.13 70
962 [청인지15-4주차 [후기]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두뷰 2023.01.10 76
961 [청인지15-4주차 발제] 권력의 미시정치학과 계급투쟁 file 바라 2023.01.06 72
960 [청인지15-3주차 후기] 푸코, 담론, 에피스테메 [1] 수진 2023.01.04 110
959 [청인지15-3주차 발제] 푸코의 담론이론: 표상으로부터의 탈주 file 진영 2022.12.30 9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