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일정 :: 기획세미나 일정공지 게시판입니다. 결석/지각은 일정공지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oracle

[토론주제] 선악의 저편 :: 서문, 1장

 

1.(서문) 독단적 철학은 무엇이며, 니체가 이것과 대결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관점주의와 연관하여!

(p9) "진리가 여성이라면 독단주의 철학자의 경우, '그들이 여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혐의는 근거 있는 것이다!

그들이 진리에 접근할 때 가졌던 소름끼칠 정도의 진지함과 서툴고 주제넘은 자신감은 여성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졸렬하고 부적당했다."

(p10) "우리의 과제는 깨어있음 그 자체이며, 우리는 독단론자들의 오류와 투쟁함으로써 엄청나게 단련된 힘을 모두 상속받는 것이다.

플라톤의 순수정신과 선....은 진리를 전복하고 모든 생명의 근본조건이 관점주의적인 것을 스스로 부인함을 의미했다."

 

2. (1장 #1) '철학자들의 편견'이란 어떤 태도를 말하는가? 의지의 원인과 진리의 가치를 문제삼는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p15) "진리에의 의지. 모든 철학자는 경의를 표하며 말해왔고, 우리에게 어떤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의지의 원인) "우리 안에서 무엇이 도대체 '진리를 향해' 의욕하고 있는 것일까?"

(진리의 가치) "우리는 진리를 원한다고 가정했는데, 왜 진리가 아닌 것을 원하지 않는가?

왜 불확실성을 원하지 않는가? 왜 무지를 원하지 않는가? ......이 문제는 아직까지 단 한 번도 제기된적이 없다."

 

3. (1장 #2) 형이상학이란 무엇이고 니체가 말하는 새로운 철학과는 어떻게 다른가? 특히 가치의 문제(가치평가, 가치대)와 관련하여.

(p16 가치평가) "어떤 것이 어떻게 그 반대되는 것에서 생겨날 수 있을 것인가? 진리가 오류에서, 진리에의 의지가 기만에의 의지에서?

이런 종류의 발생은 불가능하다... 최고의 가치를 지닌 것은 다른 독자적인 기원을 가져야 한다.

... 이러한 방식의 판단이 전형적인 편견을 낳는데, 이러한 편견은 모든 시대의 형이상할자들의 정체를 알수 있게 만든다."

(p17 가치대립) "형이상학자들의 근본적인 믿음은 가치들의 대립에 관한 믿음이다."

 

4. (1장 #4) 삶의 조건으로서 비진리(오류)를 용인하는 것은, 우리를 선악의 저편에 서게 한다!?

(p19) "잘못된 판단이 생명을 촉진시키고 유지하며, 종을 보존하고 육성할지도 모른다.

가장 잘못된 판단이 우리에게는 가장 필요 불가결한 것이며, 논리적 허구의 승인 없이 인간을 살 수 없을 것이다.

잘못된 판단을 포기하는 것은 삶을 포기하는 것이다. 삶의 조건으로서 비진리를 용인하는 것,

습관화된 가치감정에 저항하는 철학은 그것만으로도 이미 선과 악의 저편에 서 있게 된다."

 

5. (1장 #6~9) 철학자의 특성은 인식충동이 아니라, 내면충동(도덕적 의도)에 나타난다!?
칸트, 스피노자, 에피쿠로스, 스토아 철학의 내면충동은 무엇인가?

 

6. (1장 #10~12) 니체는 현대의 철학사조에 대해, 한계에 대한 부정과 동시에 관점적 긍정을 하고 있다.

#10 반현실주의, #11 칸트의 선험적 종합판단, #12 원자론에 대한 비판점과 관점적 긍정점은 무엇인가?

운명론적 원자론에 대한 자연주의자들의 미숙함과 니체의 관점적 긍정은 어떻게 다른가?

(p30~31) "운명론적 원자론(영혼의 원자론)은 영혼을 없애버릴 수 없는 그 무엇, 영원한 것, 불가분할자, 하나의 단자, 하나의 원자로 여기는 믿음"

"우리끼리 하는 말이지만, '영혼'의 문제에 접촉하자마자 영혼도 잃어버리고 마는 자연주의자들의 미숙함과 마주치곤 하는데,

여기서 '영혼' 자체를 버리고 단념할 필요는 전혀 없다. 영혼의 가설을 새롭게 파악하고 세련되게 만드는 길은 열려있다. 

'사멸하는 영혼, 주체복합체로서의 영혼과 충동과 정동의 사회구조로서의 영혼' 같은 개념들은 앞으로 학문에서 시민권을 갖고자 할 것이다."

 

7. (1장 #13) 유기체의 기본본능은 자기보존인가, 힘에의 의지인가?

 

8. (1장 #14) 물리학의 대중적 감각주의에 대한 니체의 비판방식(플라톤의 사유방식)에 주목하자!

 

9. (1장 #16~17)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대해 니체는 직접적 확실성의 오류와 문법적 환상으로 비판했다!

 

10. (1장 # 19) 의지의 구성요소 :: 감정, 사고, 정서란 무엇인가?

      '의지의 자유'는 어떤 전제 속에서만 성립하는가?

 

11. (1장 #21) 자유의지와 부자유의 의지에 대한 니체의 비판점은 무엇인가?

 

12. (1장 #22) 자연의 합법칙성에 대한 물리학의 관점과 니체의 관점은 어떻게 다른가?

 

13. (1장 #23) 심리학의 도덕적 편견은 무엇이고, 우리는 어떻게 도덕을 넘어가게 되는가?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