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일정 :: 기획세미나 일정공지 게시판입니다. 결석/지각은 일정공지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oracle

[토론주제] 도덕의 계보. 3논문 #11~22

1. (#3-11) 금욕주의적 삶이란, 어떤 점에서 자기모순적이며 역설적인가?

2. (#3-12) 칸트의 금욕주의적 인식과 니체의 관점주의적 인식은 어떻게 다른가?

3. (#3-13) 성직자의 금욕주의는 ‘삶을 거스르는 삶’으로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퇴화되어 가는 삶에 대한 반어본능에서 생겨난 것이다!?

[‘삶을 거스르는 삶’이라는 금욕주의는 퇴화되어가는 삶의 생리적 장애피로에 대항하는 본능의 투쟁수단이다. ...... 금욕주의가 생겨난 사정은 금욕주의를 찬양하는 자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정반대이며, 삶은 금욕주의 속에서 금욕주의를 통해 죽음에 대항하여 싸운다. 금욕주의는 삶을 보존하기 위한 기교이다.]

4. (#3-14) 강자에게 닥치는 재앙은 가장 강한 자에게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가장 약한 자에게서 온다!?

[두려워해야 할 것은 인간에 대한 커다란 공포가 아니라, 인간에 대한 커다란 혐오이며 인간에 대한 커다란 동정이다. ...... 인간의 가장 커다란 위험은 병자이며, 악인이나 ‘맹수’가 아니다. 인간에 대한 혐오와 동정이 교미한다면, 인간의 ‘최후의 의지’인 허무를 지향하는 허무주의가 세상에 나타나게 될 것이다.]

5. (#3-14) 약자들의 ‘힘을 향한 의지’란 무엇인가?

6. (#3-15) 금욕주의적 성직자는 원한의 방향을 변경시킨 자이다!?

[성직자적 실존의 가치는 말한다면, 성직자란 원한의 방향을 변경시킨 자다. ······ 고통스러운 자는 고통스러운 감정에 대한 구실을 꾸미는데 열중하며 독창적이다. 그들은 오래된 상처를 찢고, 오래전에 치유된 상흔에서 피 흘린다. 그들은 친구ㆍ아내ㆍ아이들ㆍ주변 사람들을 악인으로 만든다. 병든 양은 이렇게 생각한다. “나는 괴롭다. 누군가가 이것에 대해 틀림없이 책임이 있다.” 그 목자인 금욕주의적 성직자는 이렇게 말한다. “맞다! 누군가가 그것에 대해 틀림없이 책임이 있다. 그 누군가가 너 자신이며, 오로지 너 자신이야말로 너의 고통에 책임이 있다. 너 자신이 오로지 너 스스로에 대해 책임이 있다!” 이것은 뻔뻔스럽고 그릇된 말이지만, 이것으로 원한의 방향이 변경되었다.]

7. (#3-16) 삶을 치료하는 의사의 본능이 금욕주의적 성직자를 통해 무엇을 시도했는가? 삶의 본능은 무엇 때문에 금욕주의적 성직자에게 ‘죄책-죄-죄스러움-타락-영원한 벌’ 같은 역설적인 개념들을 폭압하는 것이 필요했는가?

8. (#3-17) 금욕주의적 성직자는 어째서 의자라고 부를 수 없는가? 금욕주의적 성직자는 고통(깊은 우울ㆍ납덩이 같은 피로ㆍ암담한 슬픔이라는 장애감정)을 완화하기 위해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가?

9. (#3-18) 기계적 활동(노동)은 우울증을 방지하고 고통을 경감시킨다!?

[고통에 대한 감수성(*감각)을 총체적으로 약화시키는 것이 최면이라면, 우울증을 방지하기 위한 좀더 수월한 훈련이 기계적 활동이다. 기계적 활동으로 고통스러운 생존이 경감되는데, 사람들은 ‘노동의 축복’이라 부른다. 고통의 경감이란, 고통받는 자의 관심이 고통에서 다른 곳으로 전환되고, 반복되는 한 행위만이 의식에 들어오며, 결과적으로 고통이 들어설 여지가 없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의식은 협소하기 때문이다.]

10. (#3-19, #3-20) 생명감의 총체적 약화(위로, 최면, ‘해방’, ‘깊은 잠’)과 기계적 활동(노동), 작은 즐거움, 이웃사랑의 즐거움, 공동체 힘에 대한 자각(#3-17, #3-18)이 불쾌와 싸울 때의 '순진한 수단'이라면, 감정의 무절제함은 고통을 치료하는 '죄있는 수단'이다!? 감정의 무절제함은 어째서 죄있는 수단인가?

[지금까지 금욕주의적 성직자의 수단인 생명감의 총체적 약화-기계적 활동-작은 즐거움-특히 이웃사랑의 즐거움-무리조직-공동체 힘에 대한 자각을 알아봤다. 이러한 결과, 개인의 자신에 대한 불만공동체의 번영에 대한 쾌감으로 인해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것이 불쾌와 싸울 때의 순진한 수단이라면, 감정의 무절제함은 고통을 치료하는 죄 있는수단이다.]

11. (#3-21, #3-22) 금욕주의적 성직자의 처방효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금욕주의는 영혼의 건강을 망가뜨렸다!? 금욕주의는 예술과 문학의 취미도 망가뜨렸다!?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