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자료 :: 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글의 제목이 부끄럽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합니다.


먼저 다음 주 세미나가 마지막이 된 사연을 말씀드릴게요.


모든 일이 그렇듯, 이유는 단순합니다.

세미나 회원이 저만 남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제가 부실해서입니다. 능력 부족과 노력 부족이 이 부끄러운 사태를 가져왔네요.


많이 배워야한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그 전에도 알고 있었는데, 이번 계기로 더 잘 알게 되었습니다.


미숙한 시도라도, 해보도록 도와주신 분들이 있어요.

먼저 수유너머N이라는 공간에서 공부하도록 배려해주셨던 친구들, 고맙습니다.

또, 함께 책 읽어주었던 철이, 고맙다. ^^


여기에는 많은 공부 모임이 있습니다. 그 속에 파묻혀서 공부하다보면,

어느 새 니체 세미나도 “부활” 하게 되겠지요. 그 때에는 더 잘 읽고, 더 잘 생각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그런 이유로, 이 세미나는 <<비극의 탄생>> 한 권을 읽고 마칩니다.

다음 주 1월 14일, 목요일이 마지막 시간이구요. 오후 2시 30분 세미나 B실에서 합니다.

분량은 110쪽 - 180쪽입니다.


이상으로 마지막 세미나 예고를 마치고, 지난 시간 세미나 후기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4-13단락까지 읽고 이야기 나눴습니다.


1-4 장에서는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이 서로 상호 강화시켜나가면서

그리스의 본질을 이루었다는 내용이었는데요. 이것을 니체는 네 단계로 나눕니다.

거인들의 투쟁과 잔혹한 민족 철학이 지배했던 청동기 시대,

개별화의 원리에 바탕을 둔 아폴론적 시대, 호메로스라는 시인으로 대변되죠.

아폴론적인 것이 누르고 있던 디오니소스적인 것이 외부와 만나면서 부흥하던 시기,

이것에 대처하며 아폴론적인 것이 더욱 공고하게 다져졌던 도리스 예술 시기.

그리하여 도리스 예술 시기 이후에 두 충동의 공동 목표로서 무언가 드러났다는 겁니다.

헤겔적 분위기를 조금 풍깁니다.


그 무엇이 무언가. 바로 아티케 비극과 연극적 디오니소스 주신 찬가라네요.


비극의 원시적 형태는 합창이었다고 해요. 연극은 나중에 나타났다지요. 여기서 생각의 전도가 엿보입니다.

보통 연극이 먼저고, 관객이 생겨난다고 생각하는데, 니체가 보기에 그리스 비극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거죠.


원시 비극의 합창단, 즉 사티로스들이 불렀던 합창의 내용물에 대해 먼저 언급합니다.

그것의 뿌리가 호메로스와 아르킬로코스에게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는 서사 시인인 호메로스에 비해 아르킬로코스는 주관적이지 않은가 하는 점이죠. 주관성이 강한 서정 시인이 예술가로 가능한가라는 문제가 생깁니다. 니체는 아르킬로코스의 주관성은 디오니소스적 과정에서 포기된다고 봐요. “근원적 일자, 그리고 그의 고통 및 모순과 완전히 하나가 되어서 근원적 일자의 모상을 음악으로 만들어낸다.” 이 음악이 아폴론적 영향을 받아 서정시로 나타나는 거지요. 아르킬로코스가 호메로스와 어깨를 견주는 시인이 된 것은 문학에 민요를 도입했기 때문입니다. 민요는 음악과, 단절된 언어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결합입니다. 이 시가들을 사티로스들이 황홀한 도취 상태에서 불렀던 거겠죠.


그렇다면 이 사티로스 합창단과 관객은 어떤 관계였을까. 연극 혹은 공연과 관객의 관계에 대한 생각의 전도가 또 나타나는데요. 보통 관객은 진행되고 있는 공연을 실재라 생각하지 않고, 일정 정도 관조의 상태에서 지켜본다고 생각하는데, 그리스 시대는 그렇지 않았다는 겁니다. 관객은 사티로스가 실제하고 있고, 무대 위의 자연물들이 실재하고, 그 곳에 신이 실재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죠. 또한 합창단과의 거리가 없어서, 관객들은 자신들도 사티로스라 여긴 겁니다. 이러한 도취 상태에서 인간 사이의 간극이 통일 감정에 밀려나고, 아폴론적 개별화의 원리가 깨집니다. 


그러나 이것이 완성이 아닙니다. 관객들은 사티로스로 변신하고, 사티로스로서 다시금 신을 보게 됩니다. “새로운 환영을 아폴론적 완성으로 보는 것이다. 이로써 좁은 의미의 연극이 시작된다.” 서사적으로 형상화된 디오니소스가 무대에 등장하게 되면서 합창단에게 새로운 과제가 떨어집니다. 관객이 가면 쓴 배우에게서 신의 모습을 보도록 고취시키는 일입니다.


이러한 연극 무대에 올랐던 두 비극이 있습니다.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와 아이스킬로스의 프로메테우스입니다.


소포클레스는 보다 아폴론적입니다. 개별화의 법칙(그리스적 절도)이 깨지면서 자연의 운명에 거역하고, 과도한 지적 능력을 뽐냈던 오이디푸스는 비극적 인물입니다. 그러나 소포클레스는 그를 고귀한 인간으로 이해해요. 그의 능동적이고 영웅적 행위가 사실은 운명에 의해 이미 결정지어졌다는 게 드러납니다. ‘죄는 지었지만, 그 죄는 내 죄가 아니여’ 정도의 감각일까요? 운명에 따를 수밖에 없는 인간의 수동성을 삶의 변증법으로 승화시킨 겁니다. 여기에서 그리스인들의 명랑성이 드러난다고 니체는 말합니다.


이와 반대로 아이스킬로스의 프로메테우스는 보다 디오니소스적입니다. 그는 인간의 능동성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모든 문화의 근본인 불, 이것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것은 신적인 자연에 대한 모독이자 약탈을 의미했나 봐요. 또한 프로메테우스는 예술의 거장으로 나타납니다. 인간을 창조하고, 신을 멸망시키려는 거인적 충동 자체인 거죠. 신적인 것에 대한 ‘모독’과 ‘개별적인 것에서 보편적인 것이 되려는 영웅적 충동’에 품위를 부여하며, 그것을 악으로 단죄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아리아인 종족의 본질이 드러난다고 니체가 그러는데요. 이를 셈족의 원죄 신화와 비교하며 기독교를 은근 비판하더군요. 이와 같은 거인적 충동은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공통됩니다.


디오니소스적인 것이 아폴론적으로 형상화 되는 과정 한편으로 그리스 청년기 역사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있습니다. 신화적인 꿈으로 여겨졌던 그리스 청년기가 역사적-실용적 청년기 역사로 바뀌는 과정에 들어선 거죠. 종교가 사멸하면서 신화는 비극이 됩니다.


“디오니소스적 진리는 신화의 전체 영역을 자신의 인식을 표현하는 상징으로 넘겨받는다.”


디오니소스적 진리란 뭘까요? “[거인에 의해] 갈가리 찢긴 신, 디오니소스를 통해, 개별화의 상태를 모든 고통의 원천으로, 비난받을 만한 것으로 생각해야만 한다. 그러나 디오니소스의 부활에 희망을 걸고, 이제 그의 부활을 개별화의 종말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 이런 희망이 있어야 개체들로 조각난 세계의 얼굴 위에 기쁨의 빛이 환하게 빛날 수 있다.”

음...여기에는 염세주의적 세계관의 모든 구성 요소가 들어있다고 니체가 말합니다...가상에 대한 긍정이 읽히는데요. 한편으로 왜 당시의 니체가 바그너에게 경도되었는지 조금 알 것 같아요. 하지만, 디오니소스적 진리, 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잘 나가던 비극에 몰락이 찾아옵니다. 작가 에우리피데스와 소크라테스가 주범입니다.

니체는 이들에 대해 비극을 이해하지 못한 인간들, 이라 평합니다.


먼저 에우리피데스의 경우, 그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이해도 못했고, 그것이 극 속에서 너무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비극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분리합니다. 이제 무대는 더 이상 디오니소스가 가장한 인물들이 등장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개인들이 무대로 올라옵니다. 이러한 연극에서 관객은 극에 몰입하지 못하고 관조하게 됩니다. 이는 비극의 진보가 아니라 몰락이라며 니체가 통탄하지요. 더 근본적인 문제는 이렇습니다. “비극의 종말과 함께 그리스인은 자신의 불멸성에 대한 믿음뿐만 아니라 이상적 미래에 대한 믿음까지 포기했다. 노년의 그리스 정신. 그것은 어려운 것을 책임지지 않고, 원대한 꿈을 추구하지 않으며, 지나간 것이나 미래에 올 것을 현재 있는 것보다 높이 평가하지 않는 노예들의 명랑성.” 아티케 희극에 나타난 명랑성은 진정한 그리스적 명랑성도 아니고, 되어서도 안 된다는 거죠.


그러나 좀 더 죄질이 좋지 않은 사람이 있어요. 바로 소크라테스이지요.

에우리피데스는 가면에 불과합니다. ^^ 미학적 소크라테스주의 시인일 뿐!


“아름답기 위해서는 모든 것이 이성적이어야 한다.” 이것은 소크라테스로부터 나온 말입니다. “통찰 부족과 망상의 권세” 소크라테스가 통렬히 비판했던 것이죠. 기존의 예술이나 윤리를 단지 본능에 의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한쪽으로 치워버립니다. 이에 대한 니체의 비판이 재밌어요. 역시 전도된 발상이죠. 그가 무엇에 근거해서 비판하고 있는지 보자는 겁니다. “다이몬(마신)” 그는 논리적 충동 본능이 과도하게 발달한 비신비주의자라는 거죠. 그 역시 “단지 본능에 의해” 판단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상으로 그리스 비극의 탄생과 심화 그리고 몰락에 대해 배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 [신학과 정치] 알랭 바디우, <사도바울>,1~3장 발제 file BHJ 2011.02.11 2150
157 [문학세미나] 2월 7일 후기 및 2월 14일 공지 [1] file 2011.02.09 2622
156 [문화연구] 기나긴혁명 1장 - 창조적 정신 발제 개님 2011.02.09 1444
155 [칸트 세미나]2월 10일 발제문입니다. [1] file 정호 2011.02.09 1306
154 [블랑쇼세미나] 미래의 책 발췌문입니다. ^^ file papanaya 2011.02.09 6279
153 [라캉세미나] 2월10일 2시에 만나요^^18장 발제 박진우님 차차 2011.02.08 1799
152 [문학세미나]늦은 발제문 [2] 요로나 2011.02.07 1438
151 [문학세미나] 미메시스 - 두 개의 리얼리즘_발제문 및 후기 및 다음 세미나 공지 [3] erasmo 2011.02.02 1480
150 [벤야민 프로잭트] 에세이 [1] 안은하 2011.01.29 1296
149 [영화사 세미나] 1월 26일 후기 [3] file 김다예 2011.01.28 1437
148 <문학세미나2>미메시스 발제 [1] file cinamon87 2011.01.26 1241
147 [문학세미나] 1월24일 후기/ 1월31일 공지 [1] file 최수영 2011.01.26 1304
146 [영화사 세미나] 1월 19일 후기입니다. [2] 佛酵炙 2011.01.24 1450
145 영화세미나 발췌문입니다. file 佛酵炙 2011.01.24 6004
144 횡단정신분석-1.21 발제 [1] file papercut 2011.01.21 1039
143 문화연구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3장 "문화연구 : 두 가지 패러다임" 발제문 file 몽사 2011.01.19 7725
142 [문화연구세미나] 발제문(서문 + 1장) [3] file 기린 2011.01.18 1450
141 [문학세미나] 1월17일 후기/ 1월24일 공지 [2] 칸나 2011.01.18 1293
140 [문학 세미나] 1월17일 미메시스 발제 file 칸나 2011.01.18 1267
139 [문학 세미나]1월 17일 발제문 file eunshil 2011.01.17 135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