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자료 :: 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subiectum

Hegel 철학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 평이한 text라 생각됩니다.


[ Text 비판 ]

1. 다만 이는 주어와 술어나 (핵심적으로는) subiectum과 obiectum의 관계를 일반적으로 해명하는 사유라기 보다는 그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관계들 중 극히 제한적으로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 양태의 하나인 계사문에/을 통해 기술되는 개별자-보편자 관계만을 다루고 있음에 먼저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어-술어, 또는 subiectum-obiectum의 일반 관계에서 개별-보편은 극소수의 특수 관계에 불과할 뿐이어서 주어-술어 그 자체에 대해서는 거의 말해 주는 게 없는 별개 문제로 보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이렇게 주어-술어 관계가 개별-보편 문제로 전치되는 이유는 subiectum과 obiectum (관계) 자체의 성질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계사의 특성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타 명제나 비명제 진술문, 비진술문 등등은 아예 차치하고라도 심지어 이 계사 명제일 경우조차 단적으로 다음의 예문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ex) "Socrates는 Prothagoras가 아니다." ( : 모순률 계사문)


요점은 

    모든 주-술, 주-객 관계가 계사문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계사문들조차도 모두 개별-보편 관계로 전치되지 못한다

    계사문들 중 개별-보편 관계를 표현하는 것은 동일률 계사문들 중 일부인 충분조건 범주판단문 뿐이다

    최단 기본문으로서 계사문의 원래 기능은 비교판단(문)이고 그 결과로서 동일률과 모순률을 (1차) 생산(하고 다소 비약적으로 배중률을 2차 생산)할 뿐이다 

라는 것입니다.



2. 개별-보편 관계조차도 고전 철학의 한계 안에 고스란히 갇혀 있어 현대적 관점에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기에 더욱더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주어-술어 관계 자체에 대하여서도 이 text만으로는 거의 유의미한 구체적 답변을 발견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즉, 이 text가 설명하고 있는 개별-보편 문제도 좀 더 엄밀히 분석해 보면 충분조건(에 기반한) 범주판단 계사문일 뿐이라고 말씀드렸는데 이에 대해 현대 철학이 제기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중 대표적인 것은 범주의 불완전 및 불확정성/모호성과 개방성, 교차성, (획일적) 규범성 등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이 범주들 중 일부는 단순한 추상을 넘어 완전히 상상적이고 조작된 공동체에 불과하기까지 합니다.

즉, 이 개별-보편 관계는 더이상 고전철학에서 처럼 두 실체나 존재들 간 관계, 특히 본질로서 간주되기 보다 한 존재자 대 그 존재자를 둘러싼 여러  속성들(을 포착하기 위해 이를 반영해 짜 만들어진 개념의 그물망) 중 하나인 정체성으로 사고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정체성이란 그 존재자가 맺는 관계들의 특정 유형에 붙힌 이름을 가리키며 복잡한 층위/계층 구조와 교차 구조들로 얽혀 있습니다.


    ex) 계층 범주 교차 보다는 덜 현실적이지만 text 문맥을 존중해 종 범주 교차로 예를 만들면,

Socrates는 인간이자 동시에 동일 층위에서 수컷 영장류이고 고대북반구 지중해생태계 albino포유류 등등으로서 교차되며 이 중 무엇이 본질이라 말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Neanderthalensis나 Cyborg등 Post/Transhuman이 인간인가 아닌가는 더욱 말하기 어렵습니다.

인간 범주의 본질이 언어나 지능, 의식, cogito라면 늑대소년이나 무뇌아, 식물인간은 인간입니까 아닙니까? 인공지능은 인간입니까 아닙니까?

또 다른 측면에서 수정란이나 배아는 인간입니까 아닙니까? 낙태는 살인입니까 아닙니까?



3. 결정적으로 주어와 주체는 이미 분리된 지 오래이고 이후 줄곧 주체는 주어가 아니라 화자의 자리를 가리켜 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어는 주체보다 더욱더 주름이고 매듭이며, 그들 중의 잠정적 촛점에 불과합니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2항 관계론으로 일반화된 Hegel적 사유의 기본구도와 방법론만은 철학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할 뿐 아니라 Derrida등을 통해 여전히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 Text 해설 ]

이상의 관점에 입각하면서 제시해주신 Text 내용 중 다소 난해할 여지가 있거나 흥미로울 부분을 조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양대 철학 계보의 서로 다른 종합으로서의 Kant 대 Hegel


제시된 text에서 그 중 난해하다할 수 있는 부분은 세 번째 문단, 즉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는 첫째, 일반적으로 판단에 의한 술어화는 "머리 바깥에 자존하는 대상에 대해서 머리 안에 있는 이런 저런 술어를 부가하는"[같은 책 6. 304] 주관적인 표상에서의 조작이 아니라 오히려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이 그 자신의 존재에서 "구별화와 규정성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되는[같은 책 6. 307] 사태 그 자체에서의 현실적인 규정의 진전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를 채택함으로써 헤겔이 의도하고 있는 것은 사태가 판단작용(더 나아가서는 인식 전반)의 도달범위를 초월하여 그 피안에 있는 '사물 자체'적인 존재에 빠져든다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인데 이 부분은 Kant주의를 비판하면서 차별성을 강조하는 Hegel주의에  대한 요약이고,


네째 문단, 즉

"둘째, 헤겔은 이상과 같은 규정의 진전이 구체적으로는 (1) 주어에 의해서 표시된 개별자가 그 자신에서 술어에 의해서 표시된 보편자 속으로 '자기 내 반성'함과 동시에, (2) 역으로 또한 보편자가 개별자로 자기를 외화한다는 개별자와 보편자 간의 상호적인 회귀 운동으로서 생기한다고 주장한다. "개별자는 판단에 의해서 보편성으로 고양되며, 역으로 또한 단지 즉자적[=잠재적]인 데 불과한 보편자는 개별자라는 형태로 현존재로 끌어내려진다"."

는 Hegel주의적 종합에 대한 상술이며,


그 이하 두 문단은 Platon주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우 평이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text 마지막 문단이 위 [ text 비판 ]부 4항에서 언급한 개별-보편론을 넘어서는 일반화한 Hegel주의( 주-객 관계론으)로의 도약과 관련 있는 부분이므로 가장 중요합니다.



2. 객관주의의 붕괴


(

[ 더 생각해 볼 문제 ]

1. 객관주의와 유물론의 괴리?

; 객관주의가 붕괴하는 추세 속에서, 오히려 상관주의를 공격하는 (신)유물론의 발생 mechanism


a. 철저한 유물론적 주어

b. 비언어적 인식론

c.


2. 전기 Deleuze, 특히 [차이와 반복]에 대한 과대평가 

3. 철학사의 재구성 ; 철학의 제3계보?

4. 베륵손 계보의 정체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