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명 | |
---|---|
성함 | |
연락처 | -- |
이메일 | |
입금일 | |
진동휠체어 사용여부 | |
비밀글 |
수유너머 104의 인문사회과학연구원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과 사회, 인간과 공동체, 자연과 환경 등의 관계 일반에 관한 횡단학문적(trans-disciplinary)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2011년 ‘불온한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여, 수유너머N의 인문사회과학연구원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문사회과학연구원은 수유너머의 정규강의나 세미나 등이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지적 욕구를 채우고, 삶에 대한 형성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공부 프로그램입니다. ‘함께 나누는 공부’와 더불어 ‘함께 만드는 삶’이라는 수유너머의 이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합니다.
봄과 가을, 매년 두 번의 학기에 걸쳐 각각 2-4과목을 개설하여, 예술, 철학, 사회, 정치, 과학 등에 이르는 폭넓은 분과들을 통합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강사 위주의 일방적인 강의를 지양하고 수강생 자신이 직접 텍스트를 읽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한편, 공부한 내용을 다른 수강생들과 공유하며 온전한 지식공동체의 장으로 발전하기를 욕망합니다. 출석과 독해, 토론과 글쓰기의 다방면에 걸쳐 서로 함께 구성해 가는 ‘앎과 함의 일치’를 목표로 노력할 것입니다.
인문사회과학연구원에는 연구과정과 일반과정이 있으며, 개강 전의 인터뷰를 통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구과정은 강사의 직간접적인 지도를 받는 동시에 학기말에 글쓰기 과제를 부여받음으로써 최종 결과물을 제출하는 과정이고, 일반과정의 경우는 강사로부터 모든 동등한 지도를 받을 수 있되 최종적인 글쓰기 과제만을 면제하고 있습니다.
정해진 기간 내에 총 8개 과목을 모두 이수하고 최종적인 글쓰기 과제를 제출한 수강생에 대해서는 수유너머 104의 동료 연구자로서 함께 활동하기를 적극 제안하고자 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들은 인사원 담당자와 함께 논의해 주십시오.
※ 2017년 인문사회과학연구원은 9월 가을학기부터 시작됩니다.
연도 |
1학기 |
2학기 |
2016 |
예술철학 이데올로기와 주체 |
데리다와 철학적 (비)인간학 레비나스의 서구 형이상학 비판과 타자성의 윤리 |
2015 |
들뢰즈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강독 민주주의의 지형학 |
정신분석과 분열분석 데이터와 통계의 시대: R로 파헤쳐 보기 |
2014 |
현대 영화이론: 디지털 시대, 예술의 정치를 위하여 철학의 사유: 철학은 어떻게 외부와 만나고 헤어지는가? |
감성의 계보 한국 사회의 호모 에코노미쿠스 |
2013 |
부정신학: 사유 불가능한 것에 대한 사유 국제워크숍 대체 (프랑코 비포 베라르디)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독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강독 |
2012 |
들뢰즈 <차이와 반복> 강독 벤야민 <아케이드 프로젝트> 강독 |
신자유주의 연구 들뢰즈 <의미의 논리> 강독 |
2011 |
들뢰즈 & 가타리 <안티 오이디푸스> 강독 맑스 <자본론> 강독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연구과정을 선택하신 경우 지원서를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1] | 효영 | 2018.02.23 | 334 |
» | 인문사회과학연구원 안내 [1] | vizario | 2017.03.20 | 1448 |
143 | ----------------------2019 1학기 인사원 신청방법---------------------------- | 효영 | 2019.02.09 | 29 |
142 |
니체 입금했습니다.
![]() | 곽태경 | 2018.09.19 | 2 |
141 |
늦었지만 니체 신청합니다. 입금하면 가능한가요?
[2] ![]() | 산책 | 2018.09.11 | 22 |
140 |
--니체, 대기자도 만원이에요ㅜ 마감합니다, 입금서둘러주세요---
![]() | 효영 | 2018.09.11 | 4 |
139 |
니체 강좌 신청합니다
[2] ![]() | 나우 | 2018.09.11 | 14 |
138 |
니체, 대기자 신청합니다.
[2] ![]() | floor | 2018.09.10 | 18 |
137 |
니체 강좌 신청합니다.(대기)
[1] ![]() | gow | 2018.09.10 | 15 |
136 |
니체 강좌 신청합니다.
[1] ![]() | 도치기 | 2018.09.08 | 18 |
135 |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신청합니다. [1] | 선완규 | 2018.09.05 | 90 |
134 |
늦어서 죄송합니다
[2] ![]() | 화엄 | 2018.09.03 | 31 |
133 |
니체 강의 신청합니다-권수락샘
![]() | 효영 | 2018.09.03 | 6 |
132 |
니체 강좌심청합니다-김연희샘
[1] ![]() | 효영 | 2018.09.03 | 10 |
131 |
강좌 신청합니다.
[1] ![]() | 김수진 | 2018.09.03 | 12 |
130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읽가 산청합니다
![]() | 민혁 | 2018.09.03 | 14 |
129 |
니체의 철학 신청합니다^^
![]() | 달공 | 2018.09.03 | 10 |
128 |
니체의 철학 신청합니다.
[1] ![]() | 토미토미톰톰 | 2018.09.03 | 12 |
127 |
니체 강좌 신청합니다.
![]() | 희령 | 2018.09.03 | 10 |
126 |
니체 강의 신청
![]() | varsa | 2018.09.03 | 11 |
125 |
니체 강의 신청
![]() | 손효정 | 2018.09.01 | 14 |
124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읽기 신청합니다! [1] | 휘파람 | 2018.09.01 | 107 |
연도
1학기
2학기
<시몽동 저작 강독>
<들뢰즈의 철학적 계보>
<아감벤의 정치철학: 탈신성화와 메시아적 시간 >
<<슬라보예 지젝과 무의식의 정치학 >
<폭력의 철학>
<들뢰즈 저작 강독>
<차이와 반복>
<상상된 도시>
2016
예술철학
이데올로기와 주체
데리다와 철학적 (비)인간학
레비나스의 서구 형이상학 비판과 타자성의 윤리
2015
들뢰즈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강독
민주주의의 지형학
정신분석과 분열분석
데이터와 통계의 시대: R로 파헤쳐 보기
2014
현대 영화이론: 디지털 시대, 예술의 정치를 위하여
철학의 사유: 철학은 어떻게 외부와 만나고 헤어지는가?
감성의 계보
한국 사회의 호모 에코노미쿠스
2013
부정신학: 사유 불가능한 것에 대한 사유
국제워크숍 대체 (프랑코 비포 베라르디)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독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강독
2012
들뢰즈 <차이와 반복> 강독
벤야민 <아케이드 프로젝트> 강독
신자유주의 연구
들뢰즈 <의미의 논리> 강독
2011
들뢰즈 & 가타리 <안티 오이디푸스> 강독
맑스 <자본론> 강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