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_철학.예술 :: 철학과 예술 분야의 리뷰입니다!


[시읽는 목요일] 처음 읽는 시집-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수유너머웹진 2019.01.03 13:34 조회 수 : 103

처음 읽는 시집

-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문학과지성사, 1981) 




이혜진/수유너머 104 회원




 3. <> 처음 피어나는 소리

                                           

                                                                                                                                김혜순


 

 우리 물 속에서라도 말을 해 봐. 초록색 뱀장어 한 마리 물 뱉는 소리 들리지? 우리 뱀장어처럼 속삭여 봐.

 

죽은 사람들의 대답을 듣고 싶어. 죽은 사람들의 말이 불을 켜고 떠나며 우리들을 간질러, 물 먹은 그 말들이 세모만 만들며 뛰어다니면 파도가 높아.

 

진초록 세모벽은 갯벌에 부서지고, 부서지는데 우리들의 목울대는 터지지 않아. 초록색 뱀 한 마리 물 속에 우두커니, 우리를 봐.

 

우리, 불을 켜고 돛단배라도 띄울까? 어서 입을 벌려 봐. 파도 소리, 돛단배 떠나는 소리. 초록, 초록 물 한 방울, 말 한마디. , , , 한 마리. 세모꼴 부서지는 소리. <> <> <> 입이라도 벌려 봐.

                                                                                                          


 

    시인 김혜순은 1979년 계간 <문학과 지성>을 통해 등단한 작가로 현재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문단의 대표적인 여성 시인 중 한 사람이다. 발표한 11권의 시집에서 한 편씩 골라 소개하는 것으로 그의 시 세계를 다 알 수는 없지만 발표 연도 순서대로 살펴보면 그의 시어가 어떻게 변해가는지는 가늠할 수 있을 거 같다.

    그의 첫 시집, <또 다른 별에서>에서 고른 이 시는 특히, 언어의 회화성에 음악적 요소를 가미한 창작 방식이 돋보여 소개한다. 우선 서평을 써 주신 오규원 시인의 글을 살펴보겠다.

 

    "그의 작품들은 퍽 일관성 있는 방법론을 갖추고 있다. 그것은 시적 대상을 어떤 관념으로 파악하거나 재해석하는 게 아니라 그 대상을 주관적으로 왜곡시켜 언어로 정착시키는 작업을 통해서 대상을 새롭게 드러냄과 동시에, 그 새롭게 드러난 대상을 있게 하는 언어의 존재 또는 언어의 아름다움이 어떤 것인가를 우리 앞에 내보임-바로 그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에서 우리가 어떤 분명한 메시지를 읽고자 하면 그가 노리고 있는 세계를 모두 놓치는 결과를 빚는다." (오규원, 또 다른 별에서,  97)

 

    그런데 이 시를 읽으면 서평을 문자 그대로 읽을 수 없는 건 왜 일까? 분명한 메시지를 읽으려면 그가 노리고 있는 세계를 모두 놓친다고 했는데 그가 노리고 있는 세계는 과연 어떤 세계일까? 이런 질문을 나만 하고 있을까?

 

    , 3 <> 처음 피어나는 소리, 이 시는 1981년 발표된 시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4 4 16일 이후에 쓴 게 아닐까? 하는 착각을 하게 한다. 세월호 같은 결정적 사건이 아니어도 왜곡시킨 언어로 대상을 새롭게 드러내는 방법으로 이십 대의 김혜순이 시를 쓰고, 오규원 시인이 이렇게 서평을 쓴 것은 이 시집이 발표된 1980년대를 살았던 그들이 노리는 세계를 드러내는 언어의 선택은 아니었을까? 물론, 그러한 시대 배경에만 고착해서 시를 읽는다면, 서평에서 말한 대로 언어가 주는 즐거움이 빠진 채 시의 메시지만 짚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그래서 눈으로만 읽지 않고 세모꼴로 입을 벌려 소리를 내보았다.

     <> <> <> 입이라도 벌리면 소리는 피어난다고 시인이 우리에게 적극적으로 청유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바깥의 문학] 재현의 정치성에서 상상의 정치성으로― 김시종과 김혜순의 시 수유너머웹진 2019.02.24 222
142 [인문학리뷰] 『아픔이 길이 되려면』,『우리는 왜 분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위험한 정치인』 수유너머웹진 2019.02.24 194
141 [과학기술리뷰] 과학잡지 『에피』 6권 리뷰 - ‘필드 사이언스’와 ‘수능 리뷰’를 중심으로 수유너머웹진 2019.02.24 218
140 [바깥의 문학] 주소 없는 편지― 2018년 신인들의 시적 감응에 대하여 수유너머웹진 2019.01.29 133
139 [시읽는 목요일] 처음 읽는 시집- 김혜순,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수유너머웹진 2019.01.22 93
138 레비나스&화이트헤드_<타인의 얼굴> 5,6,7장 후기 수유너머웹진 2019.01.21 153
137 <삶을 위한 철학 수업>의 "삶과 자유", "만남과 자유" 후기 수유너머웹진 2019.01.21 145
136 장자세미나_잡편 33.천하편 - 조정현 수유너머웹진 2019.01.16 101
135 장자세미나_인간세 편 - 조정현 수유너머웹진 2019.01.16 166
134 [바깥의 문학] 염려하는 주체와 언어의 형식―김복희와 안태운의 시 수유너머웹진 2019.01.06 196
» [시읽는 목요일] 처음 읽는 시집- 김혜순, <또 다른 별에서> 수유너머웹진 2019.01.03 103
132 [책리뷰] 공동의 슬픔 -바오 닌, 전쟁의 슬픔을 읽고 file 수유너머104 2017.12.21 1382
131 [영화리뷰] 80년대 오우삼의 영화들은 왜 그렇게 비장했나? (부제:오빠들 왜 그렜어요?) [2] file 마빈 2017.11.25 210
130 [전시리뷰] 수행의 간격- 통상적인 신체와 장소의 전복 [5] file 큰콩쥐 2017.11.12 660
129 [탐방기] 공간탐방기 - 서문 file 장한길 2017.11.06 442
128 [강연리뷰]그들의 1960년대, 대안적 앎의 공간으로서의 전공투2 [7] file 큰콩쥐 2017.10.26 573
127 [강연리뷰]그들의 1960년대, 대안적 앎의 공간으로서의 전공투1 [2] file 큰콩쥐 2017.10.25 871
126 [탐방기] 냉전의 인질로 붙들린 사람들의 이야기2 file 큰콩쥐 2017.10.13 400
125 [탐방기] 냉전의 인질로 붙들린 사람들의 이야기1 [5] file 큰콩쥐 2017.09.28 1394
124 [책리뷰]바흐친에 접근하는 세 가지 키워드 [2] file Edie 2017.09.13 16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