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모집 :: 강좌소개, 강사인터뷰를 위한 게시판입니다!


2019 겨울강좌_전각 수정181216.jpg

 

 

 

돌에 새기는 이야기-서예와 전각(篆刻)의 만남

 

한자어를 사용하는 동양에서는 고대부터 동물의 뼈나 돌에 상형문자를 새기거나(갑골문 胛骨文), 청동에 명을 새기는(금문 金文) 전통이 있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전자(篆字)로 기관명, 호와 이름 등의 인장(印章)을 돌이나 나무, 금이나 옥 등 다양한 재료에 새기는 것을 '전각(篆刻)'이라 한다. 전각이 예술로서의 그 독립적인 가치를 갖는 것은, 서예의 획(劃)을 칼이라는 도구를 통하여 표현하는 정도와 그 장법(章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글이나 그림에 그 작가나 소유자, 화제자들의 서명과 인장을 통틀어 낙관(落款)이라고 한다. 서예 작품이나 부채, 문장이나 편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각자의 이름과 경문, 호 등을 선택하여 총 2개의 전각 작품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사 고윤숙

 

2019년 1월 4일 금요일 개강/주1회 금요일 오후 7:30

 

기간- 6주/회비-180,000(* 재료비 별도 - 추후 별도 공지)

정원- 15명

개인 - 칼, 돌, 세필3자루, 포스터 칼라와 먹용 작은 접시 3개, 솔, 연필, 지우개, 자, 수건

공용 - 원고지, 포스터 칼라, 인주, 한지, 먹물

전각대자전(수유너머104 서예동아리 제공)

 

◎주차별 계획

1강. 전각의 구성 요소-전서 연습

2강. 전각의 기초-인고 연습

3강. 이름 새기기-음각

4강. 호, 경문 새기기-양각

5강. 전각의 수정과 방각

6강. 낙관 마무리와 작품 전시

 

1강-1월 3일

전각의 특징과 역사를 전각 작품들을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전각의 가장 중요한 기본 서체인 전서의 필법을 익힌다.

 

2강-1월 10일

전각의 크기와 모양은 매우 다양한데, 0.9cm부터 6cm까지의 돌을 보통 작품에 사용한다. 본 강의에서는 3cm 내외의 돌을 사용하여 인고, 즉 내용을 배치하고 구성하는 연습을 한다.

인고의 과정은 돌에 칼을 대기 전에 최대한 완성된 형태로 수정을 거듭해야 한다. 3강과 4강에서 새길 내용을 완성한다.

 

3강-1월 17일

칼을 사용하는 법을 익히고, 음각으로 각자의 이름을 새긴다.

 

4강-1월 24일

호 또는 선택한 경문을 양각으로 새긴다.

 

5강-1월 31일

전각 작품의 수정과 돌의 옆면에 낙관을 방각한다.

 

6강-2월 7일

인주로 각자의 작품을 낙관하여 마무리하고, 전시와 품평회를 갖는다.

 

 

◎강사소개:고윤숙(수유너머104회원, 화가,서예가)

어린 시절부터 그림 그리기와 이야기에 심취했고, 스무 살부터는 사회과학과 철학 등을 공부하며 세상과 자신의 삶에 관하여 실천적인 고민을 하다. 수유너머와는 약 15년 전부터 인연을 맺어 동양 고전과 서양 철학을 공부하다. 동시에 이대 열림서예연구회와 동묵헌에서 서예와 전각, 다양한 공부 모임 등에서 서양 고전 공부를 하며 그림과 서예 전시를 하다. 현재, <수유너머104 서예동아리>에서 여러 회원들과 서예공부를 하고 있고, 동양미학의 원천인 동아시아 사상에 관심을 가지고 유학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2004년 거듭나기(경인미술관, 서울)부터 2018년 강섭월출(牨 涉月出)_물소는 거닐고 달은 뜨다 (불일미술관 1, 2관, 서울)까지 총 9회의 개인전과 18회의 서예대전에 참여했으며, 법보신문 <철학자 이진경 선어록을 읽다> 그림을 연재했다.

 

◎신청방법

 신청하러가기->클릭또는

아래 QR코드를 스캔해서 구글 독스로 신청해주세요.

워크샵 ②전각 워크샵 QR코드.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수유너머 104의 정규강좌란? 어떻게 참여할까요? [2] vizario 2017.03.18 4799
공지 정규강좌 수강신청시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vizario 2017.03.21 1626
204 [2019봄워크숍] 강좌소개 :: 바깥의 시쓰기 / 송승환 / 4.5(금) file 효영 2019.03.14 884
203 [2019봄강좌] 강좌소개 :: 예술과 커먼즈: 어펙트시대의 문학과 정치 / 김대현, 김미정, 김지윤, 이성혁, 최진석 / 4.4(목) file 효영 2019.03.14 850
202 [2019봄강좌] 강좌소개 :: 벤야민×어펙트: 예술과 감응의 탈주선 / 권용선 / 4.3(수) file 효영 2019.03.14 783
201 [2019겨울워크숍] 강사인터뷰 :: 전각 워크숍 / 고윤숙선생님 file 효영 2018.12.19 446
200 [2019겨울강좌] 강사인터뷰 :: 어펙트이론 입문 / 최진석선생님 file 바스락 2018.12.18 720
199 [2019겨울워크샵] 강사인터뷰 :: 최초의 시쓰기 / 송승환시인 file Jae 2018.12.16 617
198 [강좌신청방법] 신청방법이 새롭게 바뀌었어요 file 효영 2018.12.16 598
» [2019겨울워크숍] 강좌소개 :: 전각워크숍 / 고윤숙 / 1.4(금) file 효영 2018.12.07 569
196 [2019겨울워크숍] 강좌소개 :: 최초의 시쓰기 / 송승환 / 1.2(수) file 효영 2018.12.07 966
195 [2019겨울강좌] 강좌소개 :: 어펙트affect 입문 / 최진석 / 1.4(금) file 효영 2018.12.07 1013
194 [2019겨울강좌] 강좌소개 :: 바깥의 문학 / 이진경, 송승환, 최진석, 진은영 / 1.10(목) [4] file 효영 2018.12.07 2180
193 [2018가을강좌] 강사인터뷰 :: 가라타니 고진, 그 가능성의 중심 / 조영일선생님 file lectureteam 2018.09.12 662
192 [공개강좌] 6가지 키워드로 읽는 포스트인문학 10/6(토) 개강 file lectureteam 2018.09.05 1888
191 [2018 가을강좌2] 가라타니 고진, 그 가능성의 중심(조영일) 매주 금요일저녁7시30분_10/5일 개강 file lectureteam 2018.09.05 1073
190 [2018 가을강좌1] 맑스와 미래의 기념비들 (고병권 최진석 이진경)_매주 수요일 19:30~(10/10 개강) file lectureteam 2018.09.05 1178
189 [2018 여름강좌 강사 인터뷰] 영화촬영미학1 : 빛으로 영화읽기 - 박홍열 선생님 차시은 2018.06.30 781
188 [2018 여름강좌 강사인터뷰]스피노자의 「윤리학」 읽기-현영종 선생님 file lectureteam 2018.06.26 927
187 [2018 여름강좌 강사 인터뷰] 문학과 예술의 존재론 - 이진경 선생님 sora 2018.06.23 1127
186 [2018 여름강좌 강사 인터뷰] 다른 삶들은 있는가 :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마주침 - 송승환 선생님 file ㅈㅎ 2018.06.22 2045
185 [2018 여름강좌 강사 인터뷰] 정체성 해체의 정치학 :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읽기 - 조현준 선생님 file 도경 2018.06.21 89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