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2023년 11월 15일 

 [신유물론 개념과 역사] 2장 2절 이분법을 횡단하기 (후기)

 

*이분법을 횡단하기 위해서는 횡단성이 필요하다. 횡단을 통해 이분법에서 벗어나고 차이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절을 만들 수 있다. 회절은 경계를 만들지 않는 것이고, 경계 자체를 불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횡단을 통해, 무언가를 만들고 실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화하여 회절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해야 한다.

 

*회절적 독해라는 말은 수행적 독해를 말한다. 이분법 안에서 실체화된 차이를 모호하게 만들고 이론과 실천 사이의 간극을 모호하게 만들어 거기서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다.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에서 주체로서의 사유 실체를 도출해 내는 과정이 수행적 독해의 시도이다. ‘Je’는 여러 가지로 분열되어 있다. 이를 통한 데카르트적 이분법이 정념이라는 새로운 장 안에서 무너지는 것이 수행적 독해의 사례이다. 탈데카르트적 결과를 데카르트의 텍스트를 통해 증명하고 있다.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들. 헤라클레이토스의 글은 다른 사람의 기록 안에만 남아 있다. 그 의미화 과정이 회절화 과정과 일치한다. “우리는 같은 강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 헤라클레이토스의 흐름(로고스)을 신유물론적 방식으로 독해하면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다. 문화-자연의 이분법을 허무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헤라클레이토스의 흐름이 로고스이고, 로고스는 이성이기도 하고 자연이기도 하다. (여기서의 자연은 현대적 의미의 자연주의가 될 수 있다.) 자연과 이성은 따로 떨어져 있는 게 아니라, 내재성의 평면 안에 함께 존재한다.

 

*플라톤의 <이온>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표면적인 것은 음성적-인식적인 것의 이분법을 허무는 과정이다. 담론으로서의 음성과 물질적인 효과로서의 변형 과정을 <이온> 안에서 길어올리고 있다.

 

*사이보그에서 회절은 혼종성과 연결할 수 있다. 물질적 측면을 건드린다. 신유물론의 주체는 관계가 있고, 그 안에서 힘들이 생기는 집합적 개체로서의 주체다. 관계망 안에서만 의미가 있는 주체다. 섹스-젠더-섹슈얼리티 간의 분할을 모호하게 만든다. 이때 회절은 새로운 신체를 갖는 주체이고 그게 바로 사이보그다. 사이보그는 주체의 중심성을 무너뜨린다. 이 주체는 수행되는 과정에서 사건(물질, 담론)을 만들며 무수히 많은 새로운 신체성을 만든다.

 

*신유물론의 정치는 아방가르드가 아니라 플랑가르드이다. 아방가르드는 앞서서 치고 나가는 것이라 쉽게 중심화된다. 플랑가르드는 측면에서 치고 나가며 측면을 주름 잡히게 하는 것이다. 플라톤적 방식에서는 부차적이고 필요없는 것을 버리는데, 들뢰즈는 그것을 살려서 재등장시켰다.

 

*신유물론의 방식은 사태를 바라볼 때 가장 쟁점이 되는 것을 보는 게 아니다. 담론이 형성되고 쟁점이 되는 과정에서 분화되어 나가는 것을 보는 것이다. 분화된 개념 속에서 배제되는 담론을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섹슈얼리티 안에는 항상 중산층-백인-남성의 섹슈얼리티가 강화되어 있고, 장애인은 배제된다. 이게 횡단성의 본질이다. 이분법적인 구별, 응결되어 반복되는 담론 안에 전제된 것들을 가로지르는 것이다. 배제된 것을 호명하는 것이다. 변방을 치고 나가며 새로운 정치적-존재적 사유가 생겨날 수 있고, 회절적 독서가 바로 그 방법이다.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서도 배제된 기호와 상징을 봐야 한다. 신유물론 안에서 이분법을 횡단하는 것은 애매모호하게 만들고 그 안에서 새로운 것을 발명해 나가는 것이다.

 

*회절의 애매모호함에 관한 질문

과학적으로는 회절에 일정한 패턴이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엑스레이에서는 패턴을 보고 물질이 무엇인지 알아낸다. 철학에서 말하는 회절은 애매모호한 것이라고 하여 의문이 든다.

-> 과학에서 쓰는 회절과 철학적(인문학적) 회절은 다르다. 존재론적 방식으로 도약한 철학적 개념이다. 회절은 애매모호한 것에 머무는 게 아니라 응결되기 전, 전체화되기 전의 주체성 상태에 있는 것이다. 유동적인 개념이다. 응고되지 않은 과정으로 주체성이 계속 생기도록 하는 것이 횡단이고 회절적 수행이다.

철학은 복잡하게 만들고, 대상을 문제시하는 학문이다. 과학처럼 단순 명쾌하지 않다. 세상이 단순명쾌하게 환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애매모호함 가운데 생기는 게 새로운 개념과 실천이다. 애매모호함은 과정이고, 단칼에 잘라서 말할 수 없는 것들이 애매모호함이다. 역사-개인사에서도 단칼에 잘라 말할 수 있는 게 없다. 이 애매모호함을 통해 무언가 발견-발명되는 게 신유물론 안에서의 사건이다. 예술적-정치적 실천 안에서 더욱 물질화되는 게 중요하다. (시공간의 재배치에 관련하여) 새로운 것이 발명-발견되면 그 새로운 것에 의해 시공간이 재배치된다.

 

메모하며 놓친 부분이 많은 것 같아요 ㅠㅠ 말씀 감사히 들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179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63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69
1042 내 자신에게 건네는 마지막 인사 [4] 우주영웅 2023.11.25 51
1041 신유물론은 역사가 존재하는가? [4] 우주영웅 2023.11.23 59
» [신유물론 개념과 역사] '이분법을 횡단하기' 후기 [3] 지혜 2023.11.21 73
1039 [신유물론 개념과 역사]'이분법을 횡단하기' 발제 [2] 하얀 2023.11.15 84
1038 신유물론의 '새로움'이란 무엇인가? 스피아노 2023.11.05 50
1037 [신유물론, 개념과 역사] 신유물론, 물질의 존재론과 정치학 1부 1장 3절 발제문 file 네오 2023.11.01 32
1036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의 패러다임 8장 발제문 file 이희옥 2023.09.06 73
1035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패러다임 10장 발제(약간수정) EJkim 2023.09.06 33
1034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패러다임 9장 발제 EJKim 2023.09.06 29
1033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패러다임 11장 발제 샤크 2023.09.06 42
1032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패러다임 2장 발제 이민형 2023.08.30 28
1031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패러다임 7장 발제 Siri 2023.08.30 26
1030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패러다임 6장 발제 file teapond 2023.08.30 47
1029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의 패러다임』 3장 발제문 file 이희옥 2023.08.23 46
1028 [신유물론-존재론, 행위자 그리고 정치학] 1장 발제문 이랑집사 2023.08.16 58
1027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신유물론 서론 발제 박수 2023.08.09 54
1026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결론 발제 file 이재훈 2023.08.02 60
1025 신유뮬론 4강 발제문 - 철학이란 무엇인가, 6장 전망과 개념들 file 이현주 2023.08.02 48
1024 신유물론은 주체의 실종을 이야기하는가? [14] 우주영웅 2023.07.26 305
1023 신유물론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 철학이란 무엇인가 4장 발제 myunghwa 2023.07.26 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