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세미나자료 :: 기획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많이 늦었지만, 청인지 15-5주 차의 후기입니다. 

 

5주 차에는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이 어떻게 '역사 유물론'으로 연결되는지에 관한 장입니다. 이날 4주 차에 못했던 마지막 부분을 하고 진행했는데, 저는 이 뒤에 도착하여 이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을 설명하기 위하여 히치콕의 현기증이라는 영화를 매개체로 설명했습니다. 감사하게도 유튜브에서 영화 링크를 공유해주셔서 보고 이해하며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내용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경덕쌤의 발제문을 읽으며 더 쉽게 이해했던 듯합니다.

 

들뢰즈의 사건에 대해 논의할 땐 사건의 의미가 중요하다면 그것을 분석하는 분석학으로서 봐야 하는 것이 아닌지에 관해 얘기를 나누었고, 그렇다면 사고인지 사건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어디에 있는지에 관해 얘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담론이 형성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푸코의 사건과 카오스에서 코스모스가 되기 위해 필요한 지점으로서의 들뢰즈의 사건에 대한 차이점도 짚고 넘어갔습니다.

 

이중인과성 부분에선 플라톤의 사유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217p 그리하여 모든 것에 관여하는 특권적인 항을 제거함으로써 또다시 플라톤 적 사유를 전복한다 (중략)이 두 가지 접경지대가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하나의 연속체를 이룬다는 것을,

이 부분에서 본다면 플라톤의 사유를 전복했다고 하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하나의 연속체를 이룬다고 하면서 다시 가져오는 것이 아닌지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여기선 각각이 의미하는 지점에 다르다는 결론을 내며 다음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양식과 공통감각과 이념적 사건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갔습니다.

양식: 224p 의미를 생각하는 이러한 계열화에 특정한 하나의 방향성을 부여

공통감각: 226p 한 방향이 아니라 기관

이념적 사건: 234p 동일한 특징을 갖는 사건들의 집합

이러한 개념적인 차이점을 한 번에 확실히 짚고 넘어가니 이해되지 않던 부분들이 더 잘 이해되는 기분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뜨거운 감자였던 화두는 특이점의 미분에 대한 부분입니다.

234p 특이점은 수학적으로는 미분 불가능한 점을 지시하고 -

235p 특이성이란 이처럼 계열 내 항들 간의 관계에 대응하며, 계열 내 항들의 관계는 이웃 관계를 통해, 결국은 특이점들의 분포를 표시하는 미분적 관계를 통해 포착될 수 있다.

이 두 부분의 문장을 본다면 특이점은 미분이 불가능하다고 했는데 '특이점들의 분포를 표시하는 미분적 관계'라는 문장이 등장하며 이해가 안 되는 면이 있었습니다. 미분을 설명해주시려 공부하고 계시던 선생님도 데리고 와서 미분에 대한 정의를 들었으나 정확히 이해되지 않는 것은 매한가지였습니다. 결국 이 문제는 나중에 이진경 선생님께 여쭤보는 것으로 미제로 남겨두게 되었습니다.
 

원래라면 5주 차에 한 장을 더 해야 했는데 모두의 오해와 시간적인 이유로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만 다루게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 꽤 많은 양을 나가게 될듯한데, 최대한 잘 읽어서 유익한 시간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금요일에 만나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2북클럽자본 :: 자유의 파토스, 포겔프라이 프롤레타리아 [1] oracle 2022.12.22 180
공지 [에세이자료집] 2020니체세미나 :: 비극의 파토스, 디오니소스 찬가 [2] oracle 2020.12.21 364
공지 [에세이자료집] 2019니체세미나 :: 더 아름답게! 거리의 파토스 [2] oracle 2019.12.19 670
983 [청인지 15 에세이] "나는야 춤을 출거야, 우리는 투명한 가방끈!" file 김정래 2023.02.24 83
982 한국 퀴어 담론 내부의 새로운 담론 형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file 두뷰 2023.02.24 62
98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혁명의 순간 모습을 보이는 실존에 대하여 알렌 2023.02.17 58
980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을 통한 탈주의 가능성 진영 2023.02.17 64
979 푸코와 퀴어담론 두뷰 2023.02.15 79
978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잘> 욕망이론과 이행 초보(신정수) 2023.02.15 66
977 <청인지 #15 -9주차 발제> 존재함을 왜 다시 묻는가? file 초보(신정수) 2023.02.14 74
976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알려지지 않은 고졸자의 눈물과 소수자-되기 file 김정래 2023.02.11 74
975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멀어짐으로써 완성되는 빛의 자리로 file 영원 2023.02.10 62
974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일상을 여행하기 file 바라 2023.02.10 46
973 [청인지15 에세이 프로포절] 담론이란 무엇인가. 김구름 2023.02.10 67
972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라깡의 무의식 개념 변화에 따른 주체의 변화 file 홍지연 2023.02.10 52
971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편지는 항상 그 목적지에 도달한다 file 소형 2023.02.10 64
970 [청인지 15 에세이 프로포절] 역량과 나의 삶 file 네오 2023.02.10 52
969 [청인지 15-8주차 발제] 제2장 어떻게 하면 타자와 서로 인정할 수 있을까? – 승인론 file 네오 2023.02.07 96
968 [청인지 15-7주차 발제] 10장 자본주의 공리계와 그 외부 김정래 2023.02.03 28
967 [청인지 15-7주차 발제] 8장 들뢰즈와 현대예술 : 추상과 추상적 선의 개념에 관하여 file 조성아 2023.02.03 37
966 [청인지 15-6주차 발제]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file 리베인데 2023.02.03 65
965 [청인지 15-6주차 후기] '혁명의 욕망, 욕망의 혁명'과'유목주의' 후기 진희 2023.02.02 43
» [청인지15-5주차 발제]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후기 이상진 2023.01.25 5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