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자료 :: 세미나의 발제ㆍ후기 게시판입니다. 첨부파일보다 텍스트로 올려주세요!


<김시종을 읽자>세미나 2월 23일 발제

하얀 2017.02.23 15:51 조회 수 : 114

<김시종을 읽자>세미나 223일 목요일(16일 분량에 추가) 발제자:송하얀

 

사건의 강도와 생존자(광주시편)

한때 나는 죽은 자들을 죽인 자들, 광주시편3부에 나오는 <그리하여 지금>, <미친 우의寓意>공수부대 병사들이나 가해자를 이해해보려는 논의가 불편하다. 그들도 국가권력의 희생자라 말하는 것이 말이다. 지금도 그들을 이해하는 것보다 우리에게 더 필요한 일들이 많이 남아있다고도 생각한다.

하지만 지난 시간 세미나 발제 중 수인의 생존자의 증언이라는 말을 통해서 깨달은 바가 있었다. 나 역시 피해자/가해자 프레임에 갇혀있었구나 하는 것이었다. ‘피해자/가해자 프레임은사건 속에 휘말렸던 이들을 모두 수동적으로 만든다. 그렇기에 나는 거기에는 언제나 내가 없다./있어도 상관없을 만큼/주위는 나를 감싸고 평온하다./일은 언제나 내가 없을 때 터지고/나는 나 자신이어야 할 때를 그저 헛되이 보내고만 있다.”(<바래지는 시간 속>)고 말한 김시종의 5행에서 최근까지도 꼼짝달싹하지 못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 사건 속에 늘 없던 나는 피해자가 아니며, 평안하게 지냈기에 양심의 가책을 느꼈고, 나도 가해자를 생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사건의 현장에 있지 않았지만, 그것의 시공간에 나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지만 그 머나먼 과거가, 그리고 현재들이 주는 슬픔에 늘 몸을 떨어야하면서도 나는 나를 가해자라 인식했다. 혹은 아픔을 같이 하는 자로 나를 정의하기엔 그것이 연민의 말이 될까봐 어떤 행동도, 언어도 사용할 수가 없이 침묵했다. 특히 광우병 촛불 집회 이후 이러한 나의 행동은 더욱더 심화되었다. 그리고 지금도 나는 그러하고 있다. 그리고 나의 이러한 말과 행동이 바로 피해자/가해자 프레임이 갖는 한계라는 것을 지난 세미나를 통해 알게 되었다. 우리는 피해자가 아니니, 죽은 자가 아니니 모두 가해자인가? 이 구도를 적극적으로 돌파할 수 있는 사고가 바로 생존자의 증언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생존자란 무엇인가? 김시종 역시 광주로부터, 한국으로부터 벗어나 일본에 살고 있지만 광주에 대해 시를 쓴다. 그는 <광주시편>의 도입부에 나는 잊지 않겠다. 세상이 잊는다 해도 나는, 나로부터는 결코 잊지 않게 하겠다고 말한다. “세월 속에서 옹이지는 것”, “가버리고 만 해에 더욱 눈을 뜨오늘의 어제를 눈여겨보”(날들이여, 박정한 저 내장안內障眼의 어둠이여)자고 한다. 어제가 포개져 오늘이고, 오늘이 포개져 내일인데 우리에게 오늘과 내일 속 어제들의 옹이가 끊임없이 발에 걸린다. 발에 걸리는 옹이의 감각을 알아차리는 자, 그것이 생존자이다.

우리 모두는 사태의 시공간 속에서 많이들 비껴있다. 518의 광주라는 사태에 대해 사람들은 그 당시 사람들 모두를 피해자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들 역시도 다들 사태의 처음부터 끝까지 복판에 있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한 사태의 현장 속에서도 많은 이들이 비껴있다. 어떤 이가 도청에 있었다면 어떤 이는 정부를 대변하는 언론사에 있다. 어떤 이가 거리에서 싸우는 이들에게 주먹밥을 나눠주고 있다면 어떤 이는 자신의 집에서 가족들과 식사를 하고 있다.

세월호 사태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떤 애타는 마음을 부여잡고 팽목항으로 갈 때 어떤 이는 가라앉는 배로부터 홀로 탈출하고, 팽목항에 있진 않지만 어떤 이가 가라앉는 배를 티비로 보며 숨죽이고 있을 때 어떤 이는 관저에 누워 미용시술을 받고 있다. 이것이 바로 사건이다. 사건은 시공간의 현장에 얼마나 가까이 있냐와만 관련이 있지 않다. 518이라는 사건 현장 안에 있었다 할지라도 잊고 잘 살아가는 이들이 있고, 김시종과 같이 현장과 전혀 상관없는 일본에 있었지만 잊지 못하는 자가 있다. 사건은 강도적이다. ‘사건의 강도를 얼마나 느끼는가가 사건의 증인이자 생존자이다라고 말 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 옹이를 펼쳐낼 때 오늘과 내일이라는 시간이 비로소 운용된다. 멈춘 우주 속에서 자위하며 살지 말 것, 아니, 그렇게 살더라도 시간의 옹이를 몸으로 기억하는 것, 그래서 다른 옹이를 마주할 때 옹이들의 시간을 다시 펼쳐내는 것, 그것이 시간의 옹이가 갖는 힘이자, 시간의 옹이를 감각하는 자인 시인이 하는 행위이며, 생존자는 다시금 시간의 불을 지핀다.

 

반기억, 침묵하기(잃어버린 계절)

그런데 참 이상한 일이다. 기억하는 것, 오래도록 지켜보겠다는 생존자는 누구인가? 그인가? 나인가?(<기다릴 것도 없는 팔월이라고 말하면서>), 인간인가? 아니라면 감인가? 소라껍질인가?(<녹스는 풍경>), 자연인가?(<마을>) 그것도 아니라면 별인가? 나인가?(<여름이 지나고>) 우주인 이 세계 전체인가. <마을>2연을 보자. “자연은 아름답다,라는/ 가고 또 가는 여행의 심리는 문질러 떼어내야 하다./머물려 해도 머물 수 없었던 사람과/거기에서가 아니면 이어나갈 수 없는 목숨과의 사이에서/자연은 항상 풍부하고 말이 없다./시끄러움의 나날을 사는 사람이라면/알고 있을 것이다 정적의 경계가 얼마나 먼가를./일직선으로 왜 도마뱀이 벽을 기어오르고/매미가 왜 천년의 이명을 울리고 있는지도./사람이 다 나간 마을에서/이제 정적은 어둠보다 깊은 것이다.” 일본풍토기<젊은 당신을 나는 믿었다>를 읽으며 당시 나는 이 시의 화자에 대해 갑작스레 당혹스러웠었다. ‘라는 것이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노파의 자식인지, 단지 관찰자인지 말이다. <마을>에서도 나는 똑같은 당혹을 느낀다. 이 시의 화자가 누구인가, 머물 수 없던 자인가 머무를 수 밖에 없던 자이가, 그렇다면 이 마을은 왜 사람이 다 나가버리 텅빈 마을인가? 텅빈 마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이 사람일 수 있는가? 그럴 수 없다면 이 시는 자연이 쓴 시이다.

자연이 쓴 시이다라고 말하고 나니 참 생경하다. 김시종의 시를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 자연의 순리가 아닌 사건이 통과하는 시공간대를 새롭게 형성해가고 있는 시인의 시를 말이다. 그런 점에서 <한 장의 잎>(p.26)은 우리가 갖은 자연관, 자연의 순리라는 것을 의심하게 한다. 나무에 싹이 트고, 잎이 펴고, 잎이 떨어지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이러한 순리를 김시종은 무기질적인 패배라고 말한다. 과연 자연이라는 것이 그런 것일까? 흙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가로수로, 자동차 바퀴로, 바람을 타는 뛰쳐나가고 싶은 나머지 비틀어진 그 수많은 자연들을 우리는 바로 본적이 있을까. 흙에 박힌 나무에서 태어났지만 다양한 삶의 방식을 갖는 것이야말로 자연 아닌가. 자연은 어떠한 필연적인 법칙으로 살아가지 않는다.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그것들의 무리를 우리는 이름 짓지 못해 자연이라고 말한 것일 뿐이다. 그렇다면 김시종은 자신의 후기처럼 자연의 찬미로서가 아닌 다른 종류의 서정시를 쓰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테다.

 

-생존자로서 김시종은 하는가. 어조, 울림, 소리 <창공의 심지에서>p.13 <구멍>p.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8 <정신현상학 독어 강독 세미나> Subjekt에 대하여 [1] 보어 2017.02.28 224
2377 [인공지능]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나? 9장 file 현수 2017.02.27 184
2376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나 8장 file 솔라리스 2017.02.26 515
» <김시종을 읽자>세미나 2월 23일 발제 file 하얀 2017.02.23 114
2374 인공지능세미나,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나 11장 결론 file choonghan 2017.02.23 141
2373 영영 세미나 4장 후반부(209~228) 발제문 리를빅 2017.02.23 205
2372 [일요닐엔 논어를 읽자] 후기-효제에 대하여 [1] 카본 2017.02.22 184
2371 [김시종을 읽자]2월 16일 후기와 2월 23일 공지 [1] 하얀 2017.02.21 156
2370 [푸코 다 읽기 세미나] 후기 및 공지 (금 7시30분) [1] 카본 2017.02.21 244
2369 기본소득세미나_발제_『모두에게 실질적 자유를』(파레 이스) 1장-2장_미라 uglyonion 2017.02.19 223
2368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5장 하이픈에서 접합으로 file 승환 2017.02.19 147
2367 [이진경의 노마디즘 읽기] 첫번째 세미나 후기와 두번째 세미나 공지 입니다(2월 18일(토) 저녁 7시) 리씨쯔키 2017.02.17 192
2366 김시종을 읽자 광주시편 2번째 file 하얀 2017.02.16 107
2365 지젝_분명여기에뼈하나가있다_Absolute Recoil_제9장 여기에서 덴까지_발제 file 미네르바부엉이 2017.02.16 164
2364 [일요일엔 논어를 읽자]논어강독 정리겸 후기~ [3] 카본 2017.02.15 190
2363 논어_문법 file hector 2017.02.12 162
2362 ≪김시종을 읽자≫세미나 2월 9일 후기 및 16일 공지 유니콘 2017.02.10 141
2361 김시종을 읽자<광주시편> file ㅎㅇ 2017.02.09 214
2360 [푸코 다 읽기 세미나] 2월7일 후기 file hangiljang 2017.02.08 156
2359 [일요일엔 논어를 읽자] 정리 겸 후기 [3] 카본 2017.02.06 173
CLOSE